정력자(葶藶子)[본경/동의보감]

2023. 9. 24. 21:14[신농본초경]/하경(下經)

정력자(葶藶子)[본경/동의보감]

 

 

 

재쑥/정력자(葶藶子)

 

 

재쑥

 

 

 

이명:[당근냉이]

학명: Descurainia sophia (L.) Webb ex Prantl

분류군: Cruciferae(십자화과)

일어: クジラグサ

영문: Flixweed Tansymustard

 

 

 

잎은 엽병이 없으며 길이 3~5cm, 2-2.5mm로서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최종열편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3-5mm, 1-1.5mm로서 톱니가 거의 없다.

 

열매

암술은 자라서 길이 15-25mm, 1mm정도의 열매로 된다. 열매는 장각으로서 약간 휘어져 있으며, 종자가 들어있는 곳이 약간 튀어 올라온다. 열매는 옆으로 퍼진 소과경에 위를 향해 달리며 종자는 갈색이고 긴 타원형으로서 15-20개의 종자가 1줄로 나열된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으로서 가지 끝이나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0-15mm이다. 꽃받침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3mm정도이며 꽃잎은 좁은 주걱모양이고 길이는 꽃받침과 같거나 약간 짧다. 4강웅예(4強雄蘂)이고 1개의 암술은 꽃잎 위로 더 나온다.

 

줄기

높이 30-70cm이고 곧게 자라며 전체에 백색털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2년생 초본

크기

높이 30~70cm

 

 

학명 Descurainia sophia (L.) Webb ex Prantl

Nat. Pflanzenfam. [Engler & Prantl] 3(2) : 192 (Engl. & Prantl, 1891)

1. Descurainia sophia var. glabrata N.Busch

Fl. URSS 8: 83 (Komar., 193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Sisymbrium sophia L.

Sp. pl. 659 (175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재쑥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4)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1. 당근냉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영문명 : Flixweed Tansymustard

일본명 : クジラグサ

북한명 : 재쑥

 

Descurainia sophia ( L. ) Webb ex Prantl

Nat. Pflanzenfam. [Engler & Prantl] iii. 2. 192. 1891 [Mar 1891]

iii. 2. 192 1891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파낭호(播娘蒿)

 

Descurainia sophia (Linn.) Webb. ex Prantl

 

 

이명(異名)

 

 

Sisymbrium sophia L.

Descurainia sophia var. glabrata N. Busch.

Discurea sophia (L.) Schur

Hesperis sophia (L.) Kuntze

Sisymbrium parviflorum Lam.

Sisymbrium persicum Spreng.

Sisymbrium tripinnatum DC.

Sophia lobelii Rupr.

Sophia parviflora (Lam.) Standl.

Sophia sophia (L.) Britton

Descurainia sophia var. brachycarpa (Boiss.) O.E. Schulz

Descurainia sophia var. sophia (L.) Webb ex Prantl

Sisymbrium sophia var. brachycarpum Boiss.

Arabis sophia (L.) Bernh.

Crucifera sophia (L.) E.H.L.Krause

Descurainia sophia var. macrophylla (Barnéoud) Prantl

Phryne sophia (L.) Bubani

Sophia chirurgorum Garsault

Sophia multifida Gilib.

Sophia vulgaris Fourr.

 

 

一年生草本30-70厘米有叉狀毛莖直立多分枝密生灰色柔毛葉狹卵形3-5厘米2-2.5厘米二回至三回羽狀深裂末回裂片窄條形或條狀矩圓形3-5毫米1-15毫米下部葉有柄上部葉無柄花淡黃色直徑約2毫米萼片4直立早落條形外面有叉狀細柔毛花瓣4淡黃色2-2.5毫米長角果窄條形2-3厘米寬約1毫米無毛果梗長l.-2厘米種子1矩圓形至卵形l.毫米褐色有細網紋

 

分布在華北西北華東四川亞洲其他地區歐洲非洲北部及北美也有

 

生於山坡田野種子含油達40%,油工業用也可食用種子藥用有利尿消腫祛痰定喘之效

 

&&&&&&&&&&&&&&&&&&&&&&&&&&&&&&&&&&&&&&&&&&&&&&&&&&&&&&&&&

 

다닥냉이/ 정력자(葶藶子)

 

 

다닥냉이

 

 

학명: Lepidium apetalum Willd.

분류군: Cruciferae(십자화과)

일어: ヒメクンバイナズナ

영문: Pepperweed, Peppergrass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짙은 녹색이며 한군데에서 많이 나와 방석같이 퍼지고 길이 3-8cm로서 우상복엽이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밑부분에서 위로 가면서 기수우상 및 도피침상의 단엽을 거쳐 선형으로 되며 길이 1.5-5cm, 2-10mm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열매

단각과는 길이 2.5-3mm, 2mm정도로서 타원상 원형이며 납작하고 끝은 약간 오목한 2실이며 2개의 연한 홍갈색 종자가 있으며 6-7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적갈색으로서 작으며 원반형이고 가장자리에 있는 백색 막질의 날개가 젖으면 점질로 된다.

 

꽃은 5-7월에 피며 흰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작은 십자화가 총상화서로 많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로 녹색이며 같은 수의 꽃잎은 거의 퇴화된다. 6개의 수술중 4개는 길며 1개의 암술은 자라서 지름 3mm정도로 되고 끝이 오목하게 파진 원반형의 열매로 된다.

 

줄기

높이 30-60cm이며 털이 없고 줄기는 곧추서며 상부에서 많은 가지를 쳐 빗자루모양으로 된다.

 

원산지

북아메리카 원산

 

분포

한국, 중국,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네팔, 부탄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2년생 초본

크기

높이는 30-60cm가량 자란다.

 

 

생육환경

산비탈 메마른 모래자갈 땅이거나 암석지에서 자란다.

 

결실기

6,7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꽃다지, 재쑥의 종자를 정력자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에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종자를 떨어내어 체로 쳐서 불순물을 제거한다.

 

성분 : 다닥냉이의 종자에는 脂肪油(지방유), sinalbin, 단백질, 糖類(당류)가 함유되어 있고 재쑥의 종자에는 benzyl-siothiocyanate, allyl-isothiocyanate, diallyl disulfide로 이루어진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지방유의 收得率(수득율)15-20%이고 지방유 중에는 linolenic acid 7.54%, linoleic acid 32.5%, olein() 25.1%, erucic acid 21.4%, palmitin() 9.64%, stearin() 3.81%가 함유되어 있고 비감화부분에는 sitosterol 및 소량의 황색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또 종자에서 2종의 強心作用(강심작용)이 있는 배당체가 분리추출되었는데 그 하나는 helveticoside(erysimin)라고 하는 것이다.

 

약효 : 下氣(하기), 行水(행수)의 효능이 있다. 肺閉塞(폐폐새), 痰飮咳嗽(담음해수), 水腫脹滿(수종창만),積聚(적취), 結氣(결기), 음식으로 인한 寒熱(한열)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4.5-9g을 달여서 복용한다.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을 조합하여 붙이거나 또는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특징

한국에서 자라는 다닥냉이속 6종은 전부 북아메리카 또는 유럽에서 귀화한 식물이다.

 

 

 

 

 

학명 Lepidium apetalum Willd.

Sp. Pl., (ed. 4) 3(1) : 439 (1800)

1. Lepidium micranthum Ledeb.

Icon. Pl. Ross. 1: 22

1)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국명 다닥냉이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초본류) (정태현, 1965)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4)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5)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Pepperweed, Peppergrass

일본명 : ヒメクンバイナズナ

북한명 : 다닥냉이

 

 

Lepidium apetalum Willd.

Sp. Pl., ed. 4 [Willdenow] 3(1): 439. 1800

3(1): 439 180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독행채(獨行菜)

 

Lepidium apetalum Willd.

 

 

이명(異名)

 

Lepidium chitungense Jacot Guill.

Lepidium micranthum Ledeb.

Thlaspi apetalum (Willd.) Poir.

Crucifera apetala (Willd.) E.H.L.Krause

 

一年或二年生草本5-30厘米莖直立分枝有乳頭狀短毛基生葉狹匙形羽狀淺裂或深裂3-5厘米1-1.5厘米葉柄長1-2厘米上部葉條形有疏齒或全緣總狀花序頂生果時伸長疏松花極小萼片早落花瓣絲狀退化雄蕊2-4短角果近圓形或橢圓形扁平長約3毫米先端微缺上部具極窄翅種子橢圓形長約1毫米平滑棕紅色

 

分布在東北華北西北西南亞洲其他地區歐洲也有生於路旁溝邊

 

種子可榨油入藥有利尿止咳化痰之效

 

 

 

&&&&&&&&&&&&&&&&&&&&&&&&&&&&&&&&&&&&&&&&&&&&&&&&&&&&&&&&

 

 

콩다닥냉이/정력자(葶藶子)

 

콩다닥냉이

 

 

이명:[콩말냉이] [좀다닥냉이]

학명: Lepidium virginicum L.

분류군: Cruciferae(십자화과)

일어: マメグンバイナズナ

영명: Pepper-grass

 

 

 

근생엽은 총생하여 수평으로 퍼지고 엽병이 길며 길이 3-5cm로서 1회우상복엽이고 열편 전연(前緣)에 톱니가 있으며 정열편은 넓은 난형이고 측열편보다 크며 꽃이 필 무렵에 없어진다. 경생엽은 도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른다.

 

열매

각과는 거의 둥글며 길이 3mm정도로서 윗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고 요두이다. 종자는 2개이고 적갈색이며 가장자리에 있는 막질의 날개가 젖으면 점액이 나온다.

 

꽃은 5~7월에 피며 백색이고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이고 녹색이며 타원형이다. 꽃잎도 4개이며 길이 2.5-3mm로서 꽃받침보다 길지만 불완전한 것도 있고 수술은 2개이거나 간혹 4개이다.

 

줄기

털이 없고 높이 30-50cm이며 상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원산지

북아메리카 원산

 

분포

유럽과 아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2년생 초본

크기

높이 30~50cm

 

 

생육환경

길가나 빈터에서 흔하게 자란다.

 

이용방안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꽃다지, 재쑥의 종자를 정력자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에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종자를 떨어내어 체로 쳐서 불순물을 제거한다.

성분 : 다닥냉이의 종자에는 脂肪油(지방유), sinalbin, 단백질, 糖類(당류)가 함유되어 있고 재쑥의 종자에는 benzyl-siothiocyanate, allyl-isothiocyanate, diallyl disulfide로 이루어진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지방유의 收得率(수득율)15-20%이고 지방유 중에는 linolenic acid 7.54%, linoleic acid 32.5%, olein() 25.1%, erucic acid 21.4%, palmitin() 9.64%, stearin() 3.81%가 함유되어 있고 비감화부분에는 sitosterol 및 소량의 황색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또 종자에서 2종의 強心作用(강심작용)이 있는 배당체가 분리추출되었는데 그 하나는 helveticoside(erysimin)라고 하는 것이다.

약효 : 下氣(하기), 行水(행수)의 효능이 있다. 肺閉塞(폐폐새), 痰飮咳嗽(담음해수), 水腫脹滿(수종창만), 積聚(적취), 結氣(결기), 음식으로 인한 寒熱(한열)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4.5-9g을 달여서 복용한다.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을 조합하여 붙이거나 또는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특징

전체에 털이 없음

 

 

학명 Lepidium virginicum L.

Sp. pl. 645 (1753)

국명 콩다닥냉이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좀다닥냉이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콩말냉이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영문명 : Pepper-grass

일본명 : マメグンバイナズナ

 

 

Lepidium virginicum L.

Sp. Pl. 2: 645. 1753 [1 May 1753]

2: 645 1753

Original Data:

Notes: Am. bo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북미독행채(北美獨行菜)

 

Lepidium virginicum Linn.

 

 

이명(異名)

 

 

Discovium gracile Raf.

Discovium ohiotense DC.

Lepidium diandrum Medik.

Lepidium majus Darracq

Lepidium praecox (Raf.) DC.

Nasturtium majus (Darracq) Kuntze

Crucifera virginica (L.) E.H.L.Krause

Cynocardamum virginicum Webb & Berthel.

Dileptium diffusum Raf.

Dileptium precox Raf.

Lepidium arcuatum DC.

Lepidium exiguiflorum Clairv.

Lepidium micropterum Miq.

Nasturtiastrum virginicum (L.) Gillet & Magne

Nasturtium diandrum Moench

Senebiera mexicana Hook. & Arn.

 

 

二年生草本30-50厘米莖上部分枝具柱狀腺毛基生葉有長柄倒披針形羽狀分裂3-5厘米邊緣有鋸齒莖生葉具短柄倒披針形或條形1.5-5厘米2-10毫米先端急尖基部漸狹有鋸齒兩面無毛花小白色雄蕊2-4o短角果近圓形直徑2毫米扁平先端微缺無毛上方有窄翅果梗長2-3毫米種子微小圓形扁平紅褐色無毛邊緣有透明窄翅濕後成一粘滑膠膜

 

分布在內蒙古吉林遼寧江蘇浙江福建湖北北美原產生於雜草地種於有利水平喘之藥效全草可作飼料

 

^^^^^^^^^^^^^^^^^^^^^^^^^^^^^^^^^^^^^^^^^^^^^^^^^^^^^^^^^^^^^^^^^^^^^^^

 

亭歷

 

舊作葶藶,《禦覽作亭歷

 

 

味辛寒

 

主癥瘕積聚結氣飲食寒熱破堅

 

一名大室一名大適生平澤及田野

 

名醫一名下歷一名蒿生槁城立夏後採實陰乾得酒良

說文亭歷也。《廣雅狗薺大室亭藶也

爾雅:,亭歷郭璞雲實葉皆似芥

淮南子繆稱訓雲亭歷愈張西京雜記雲亭歷死於盛夏

 

 

[本經/下經]

^^^^^^^^^^^^^^^^^^^^^^^^^^^^^^^^^^^^^^^^^^^^^^^^^^^^^^^^^^^^^^^^^^^^^^^

 

熖嵫子

 

정력자(葶藶子)

 

 

두르나이性寒味辛苦無毒

 

()은 한()하고 미()는 신(), ()하며 무독(無毒)하다.

 

 

主肺癰上氣咳嗽定喘促除胸中痰飮療皮間邪水上溢面目浮腫利小便

 

폐옹(肺癰), 상기해수(上氣咳嗽)에 주효(主效)하며 천촉(喘促)을 멎게 하고, 흉중(胸中)의 담음(痰飮)을 제거(除去)하며, 피간(皮間)의 사수(邪水)가 상()하고 안면(顔面)으로 나와서 부종(浮腫)하는 것을 요()하고, 소변(小便)을 이()한다.

 


在處有之苗葉似薺三月開花微黃結角子扁小如黍粒色黃入夏後採實暴乾本草


곳곳에 있는데 묘(), ()이 제()와 비슷하고 삼월(三月)에 미황색(微黃色)의 꽃이 피고, 결각(結角)한다. 씨는 편평(扁平)하면서 작고, 서립(黍粒)처럼(미장(微長)하며) ()은 황색(黃色)이다. 입하(入夏) 후에 채실(採實)하여 폭건(暴乾)한다.[본초].

 


性急善逐水有苦甛二種苦則下泄甛則少緩湯液


()이 급()하며 수()를 잘 축()한다. (), ()의 이종(二種)이 있는데 고()한 것은 하설(下泄)하고 첨()한 것은 소완(少緩)한다.[탕액].

 


隔紙炒香或蒸熟用之此藥性急走泄爲功苦者尤甚甛者少緩入門

 

종이 위에 펴고 초향(炒香) 또는 증숙(蒸熟)하여 사용(使用)한다. 이 약()은 성()이 급()하여 주설(走泄)하는데 공()이 있으며, ()한 것은 더욱 심하고 첨()한 것은 소완(少緩)하다.[입문].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