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경(桔梗)의 법제

2023. 10. 22. 01:02백두산 환&단&약이야기/본초의 법제

길경(桔梗)의 법제

 

 

 

주치

 

 

 

칼로 찌르는 듯한 胸脇痛(흉협통), 服滿(복만), ()에서 골골하고 소리 나는 것, 驚恐(경공)悸氣(계기).

 

 

 

五臟(오장), (), ()()하고, 血氣(혈기)()하며, 寒熱風痺(한열풍비)除去(제거)하고, 溫中(온중), 穀物(곡물)消化(소화)시키며, 喉咽痛(후인통)治療(치료)하고, 蟲毒(충독)()한다.

 

 

 

下痢(하리)()하고, 破血(파혈)하며, 積氣(적기)()하고, 積聚痰涎(적취담연)()하며, 肺熱(폐열)氣促(기촉), 嗽逆(수역)()하고, 伏中(복중)冷痛(냉통)除去(제거)하며, 中惡(중악) 小兒(소아)驚癎(경간)主效(주효)하다.

 

 

 

一切(일체)()()하고, 癨亂轉筋(곽란전근), 心腹脹痛(심복창통)을 멈추고, 五勞(오로)()하고, ()()하며, ()除去(제거)하고, ()을 물리치며, 癥瘕(징가), 肺癰(폐옹)()한다. 養血(양혈), 排膿(배농)하고, 內漏(내루) 喉痹(후비)()한다.

 

 

利竅(이규)하고 肺部(폐부)風熱(풍열)除去(제거)하며, (), (), (), (), 胸膈(흉격)滯氣(체기) 痛症(통증)淸利(청리)하며, 鼻塞(비색)()한다.

 

 

 

寒嘔(한구)()한다.

 

 

 

口舌生瘡(구설생창), 赤目腫痛(적목종통)主效(주효)가 있다.

 

 

 

 

 

 

 

발명(發明)

 

 

桔梗(길경)()微溫(미온), ()苦辛(고신)하고, 또한 ()하고 ()()하여 陽中(양중)()이며 ()이다.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의 기분(氣分) 足少陰經(족소음경)에 들어간다.

 

 

길경(桔梗)은 폐기(肺氣)를 맑게 하고, 인후(咽喉)를 이롭게 하며, 그 색()은 희다. 따라서 폐부(肺部)의 인경약(引經藥)으로서 감초(甘草)와 더불어 사용(使用)하면 그 공력(功力)의 행()함은 실()로 배에 노와 같은 일을 해내는 약제(藥劑)가 된다.

 

 

대황(大黃)처럼 고(), ()하며 날카롭게 하부(下赴)하는 약()을 흉중(胸中), 최고(最高)의 부분(部分)까지 도달(導達)시켜서 주효(奏效)하는 데 필요(必要)한 수단(手段)은 신(), ()을 용제(用劑)하는 것으로, 말하자면 철()이나 돌을 대하중(大河中)에서 운반(運搬)하려면 주즙(舟楫)을 사용(使用)하는 방법(方法)이외(以外)는 달리 없는 것과 같다. 이러한 관계(關係)에서 제종(諸種)의 약중(藥中)에 이 길경(桔梗)의 일미(一味)가 첨가되면 하부(下部)로 침()하는 성질(性質)의 것도 침하(沈下)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朱肱(주굉)活人書(활인서)胸中(흉중)痞滿(비만)痛症(통증)이 없는 증상을 ()할 때에는 桔梗(길경), 枳殼(지각)()하는 것은 자체의 ()()하여 ()을 이롭게 하고, 下氣(하기)하는 功力(공력)利用(이용)하는 것이다.”

 

 

張仲景(장중경)傷寒論(상한론)寒實結胸(한실결흉)()함에는 桔梗(길경), 貝母(패모), 巴豆(파두)()한 것은 그 자체의 ()()하게 하여 穀物(곡물)消化(소화)하고, ()()하는 功力(공력)利用(이용)하는 것이다.

 

肺癰(폐옹)으로 ()()이 함께 나오는 것을 治療(치료)할 때에 桔梗(길경), 甘草(감초)()한 것은 그 自體(자체)(), ()()를 맑게 하고, (), ()()()하고, 또한 膿血(농혈)을 잘 排出(배출)하고, 內漏(내루)()하는 힘을 利用(이용)한 것이다.

 

 

 

少陰(소음)病證(병증)()~三日(삼일) 咽痛(인통)하는 것을 ()할 때도 역시 桔梗(길경), 甘草(감초)()한다. 그것은 (), ()으로 散寒(산한)하고, (), ()除熱(제열)하며, 二味(이미)功力(공력)倂用(병용)하여 능히 寒熱(한열)調整(조정)하는 것이다.

 

 

後世(후세)에 와서는 簡單(간단)하게 甘桔湯(감길탕)이라 부르며, 인후(咽喉), 口舌(구설)諸病(제병)()하는데 ()한다. ()仁宗皇帝(인종황제)荊芥(형개), 防風(방풍), 連翹(연교)()하여 그 效驗(효험)極讚(극찬)하였다.

 

 

 

 

왕호고(王好古)의 의루원융(醫壘元戎)에 매우 상세(詳細)하게 기재(記載)되었는데 실음(失音)에는 가자(訶子)를 가()하고, 말을 못 할때는 반하(半夏)를 가()하고, 상기(上氣)에는 진피(陳皮)를 가()하고, 연수(涎嗽)에는 지모(知母)와 패모(貝母)를 첨가하고, 해갈(咳渴)에는 오미자(五味子)를 가()하고, 주독(酒毒)에는 갈근(葛根)을 넣고, 소기(少氣)에는 인삼(人參)을 가()하고, ()에게는 반하(半夏)와 생강(生薑)을 가()하고, 타농혈(唾膿血)에는 자완(紫菀)을 가()하고, 폐위(肺痿)에는 아교(阿膠)를 가()하고, 흉격불리(胸膈不利)에는 지각(枳殼)을 가()하고, 심흉비만(心胸痞滿)에는 지실(枳實)을 가()하고, 목적(目赤)에는 치자(梔子)와 대황(大黃), 면종(面腫)에는 복령(茯苓), 부통(膚痛)에는 황기(黃芪), 발반(發斑)에는 방풍(防風), 형개(荊芥), 역독(疫毒)에는 서점자(鼠粘子)와 대황(大黃)을 불면증(不眠症)에는 치자(梔子)를 첨가한다.”라고 되어 있다.

 

 

건해수(乾咳嗽)는 담화(痰火)의 사울(邪鬱)이 폐중(肺中)에 있기 때문인데 고경(苦梗)을 용()하여 이것을 여는 것이 좋다. 이질복통(痢疾腹痛)은 폐금(肺金)의 기울(氣鬱)이 대장(大腸)에 있기 때문인데 고경(苦梗)을 용()하여 이것을 열어서 이약(痢藥)을 용()하는 것이 좋다. 이 약()은 기혈(氣血)을 개제(開提)하기 때문에 기약(氣藥)안에 이것을 용()하면 매우 좋다.

 

 

 

 

성미(性味)

 

味苦性平

 

 

귀경(歸經)

 

入肺胃經

 

공능(功能)

 

개선폐기(開宣肺氣)거담(祛痰)리인(利咽)배농(排膿)

 

 

주치(主治)

 

외감해수(外感咳嗽)인후종통(咽喉腫痛)폐옹토농(肺癰吐膿)흉만협통(胸滿脇痛)이질복통(痢疾腹痛)

 

 

 

 

 

@약리작용(藥理作用)

 

 

1. 거담작용(祛痰作用) 

 

2. 진해작용(鎮咳作用) 

 

3. 항염작용(抗炎作用) 

 

4. 강혈당작용(降血糖作用)

 

5. 강혈지작용(降血脂作用) 

 

6. 대중추신경적작용(對中樞神經的作用) 

 

7. 대심혈관적작용(對心血管的作用) 

 

8. 대위액분비화위궤양적작용(對胃液分泌和胃潰瘍的作用) 

 

@임상보도(臨床報道)@

 

 

1. 소아천식성지기관염(小兒喘息性支氣管炎) 

 

 

桔梗半夏枳殼陳皮各4g神曲茯苓各5g甘草1.5g此爲3歲小兒用量

 

每日可服12治療63總有效率爲88.9%。〔雲南中醫雜志 198452029

 

 

2. 폐염(肺炎) 

 

魚腥草36g桔梗15g煎至200ml每次30ml每日34口服

 

治療28其中大葉性肺炎11節段性肺炎8X線片狀陰影8輕型支氣管炎1均爲細菌感染),治愈26X線陰影於服藥後522天內吸收平均9.4白細胞恢複正常平均3.9本方與抗生素同用有協同效果。〔中華內科雜志 1963113):250

 

 

 

3. 뉴좌상(扭挫傷) 

 

桔梗30g研細末分爲2每日黃酒沖服1重症每日服2服後臥床休息使局部微出汗治療8全部治愈輕者服藥1重者服藥3。〔赤腳醫生雜志 1976;(5):22

 

 

4. 인후부급성염증(咽喉部急性炎症) 

 

桔梗生甘草防風炒僵蠶各6g荊芥穗薄荷各9g

 

水煎服每日1 隨證加減治療急性扁桃體炎扁桃體周圍炎急性咽炎急性炎和急性會厭炎共53結果痊愈 45好轉5無效3。〔中華醫學雜志 1962483):封三

 

 

5.실음(失音)

 

桔梗甘草當歸赤芍枳殼各9g柴胡玄參生地各12g桃仁紅花各15g

 

治療30結果痊愈14好轉13無效3。〔河北中醫 1990126):23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본초의 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삼  (1) 2023.10.31
기원황기  (1) 2023.10.22
황랍(黃蠟)  (0) 2023.10.22
흑도라지  (2) 2023.10.14
야생의 천연 산꿀  (0) 2023.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