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인(桃仁)[본경/동의보감]

2023. 3. 12. 03:03[신농본초경]/하경(下經)

도인(桃仁)[본경/동의보감]

 

 

 

산복사나무/도인(桃仁)

 

 

 

산복사나무

 

 

이명/[산복사] [산복성] [산복숭아나무]

학명/Prunus davidiana (Carriere) Franch.

분류군/Rosaceae(장미과)

일어/ノモモ

영문/David Peach

 

 

 

잎은 어긋나기하고 좁은 난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4c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어린 잎에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엽병에 간혹 꿀샘이 있다.

 

열매

핵과는 둥글며 지름 3cm로서 잔털이 있고 7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2.5cm로서 연한 홍색이고 1개씩 달리며 짧은 꽃자루가 있고 꽃받침열편은 긴 달걀모양이며 둔두로서 털이 없고 겉은 적갈색이며 길이 5mm이다. 꽃잎은 달걀모양 또는 원형이고 길이 13-15mm로서 원두 또는 미요두이며 수술은 길이 8-12mm이고 수술대는 백색이며 털이 없다. 암술은 길이 10mm이고 암술머리가 둥글며 암술대와 더불어 적색이고 암술대 기부 및 씨방에 융털이 있다.

 

줄기

일년생가지는 회갈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지름 2-4mm이고 껍질눈은 가늘며 길고 둥글다.

 

원산지

한국

 

분포

지리산, 관악산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 활엽 소교목

 

크기

높이는 5m 정도로 자란다.

 

 

 

 

 

학명 Prunus davidiana (Carriere) Franch.

Nouv. Arch. Mus. Hist. Nat. 2. 5: 255 (1884)

 

1. Amygdalus communis Bunge

Enum. Pl. Chin. Bor. 21 (Bunge, 1833)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2. Persica davidiana Carr

Rev. Hort. 1872 : 74 (1872)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3. Prunus persica var. davidiana (Carr) Maxim.

Mem. Acad. Imp. Sci. Saint Petersbourg, 11: 667 (1883)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문헌정보

기재문

문헌명 : Nouv. Arch. Mus. Hist. Nat. 2. 5: 255

 

국명 산복사나무

1. 산복사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산복성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산복숭아나무

북한명 산복숭아나무

외국명 영문명

David Peach

일본명

ノモモ

 

 

 

Prunus davidiana Franch.

 

Pl. David. i. 103. 1884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산도(山桃)

 

Amygdalus davidiana (Carr.) C. de Vos ex Henry

 

 

이명(異名)

 

Persica davidiana Carrière

Prunus persica var. davidiana (Carrière) Maxim.

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Amygdalus davidiana Hort. ex Dippel

 

Handb. Laubholzk. iii. (1893) 606.

 

 

 

&&&&&&&&&&&&&&&&&&&&&&&&&&&&&&&&&&&&&

 

 

복사나무/도인(桃仁)

 

 

 

복사나무

 

 

이명/[복숭아나무] [복성아나무] [복사]

학명/Prunus persica (L.) Batsch

분류군/Rosaceae(장미과)

일어/モモ

영문/ Peach

 

 

잎은 어긋나기이며,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로, 길이와 폭은 각 8 ~ 15cm × 15 ~ 35mm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고, 잎자루 길이 1 ~ 1.5cm이고, 꿀샘이 있다.

 

열매

열매는 핵과로, 달걀상 원형이고, 털이 많으며, 지름은 5cm, 등황색이다. 종자는 과육으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으며, 7월 말 ~ 9월 중순에 성숙한다..

 

꽃은 4월 중순 ~ 5월 초에 잎보다 먼저 피고, 지름은 2.5 ~ 3.3cm, 연한 분홍색이며, 1 ~ 2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털이 많으며, 씨방에 털이 밀생한다.

 

원산지

중국 원산

 

분포

일본, 중국 등지에서 널리 식재;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과수로 재배.

 

형태

낙엽 활엽 소교목.

 

크기

높이 6m.

 

 

 

 

 

 

 

학명 Prunus persica (L.) Batsch f. persica

Beytr. Entw. Pragm. Gesch. Drey Natur-Reiche 29 (1801)

 

1. Amygdalus persica L.

Sp. Pl. 472 (1753)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2. Persica vulgaris Mill.

Gard. dict. ed. 8 : n (176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Prunus persica var. vulgaris Maxim.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9: 82 (188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문헌정보

기재문

문헌명 : Beytr. Entw. Pragm. Gesch. Drey Natur-Reiche 29

 

국명 복사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복사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복성아나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복숭아나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북한명 복숭아나무

외국명 영문명

Peach

일본명

モモ

 

 

 

Prunus persica ( L. ) Batsch

Beytr. & Entwurfe Pragm. Gesch. Naturr. 30 (1801); cf. E. H. Wilson in Journ.Arn. Arb. 1927, viii. 125.

30 (1801); cf. E. H. Wilson in Journ.Arn. Arb. 1927, viii. 125 0

Original Data:

Notes: Amygdalus Persica

 

 

 

 

출처:국가표준식물목록.IPNI

 

 

() Amygdalus persica Linn.

 

 

 

 

 

이명(異名)

 

Amygdalus persica var. aganonucipersica (Schübler et Martens) Yü et Lu Amygdalus persica var. scleropersica (Reich.) Yü et Lu

Amygdalus persica var. compressa (Loud.) Yü et Lu

Persica vulgaris Mill.

Persica vulgaris var. compressa Loudon

Persica platycarpa Decne.

Prunus persica var. platycarpa (Decne.) L. H. Bailey

Prunus persica (L.) Batsch Prunus persica subsp.

platycarpa (Decne.) D. Rivera et al.

Prunus persica var. compressa (Loudon) Bean

Prunus vulgaris Mill.

 

Amygdalus persica L.

Sp. Pl. 1: 472. 1753 [1 May 1753]

 

 

 

 

 

^^^^^^^^^^^^^^^^^^^^^^^^^^^^^^^^^^^^^^^^^^^^^^^^^^^^^^^^^^^^^^^^^^^

桃核仁

 

 

味苦平

主淤血血閉瘕邪殺小蟲桃花殺注惡鬼令人好顏色

 

桃鳧微濕主殺百鬼精物初學記引雲梟桃在樹不落殺百鬼)。

 

桃毛主下血瘕寒熱積寒無子桃蠹殺鬼邪惡不祥生川穀

 

名醫桃核七月採取仁陰乾花三月三日採陰乾桃鳧一名桃奴一名梟景是實著樹不落實中者正月采之桃蠹食桃樹蟲也生太山

 

說文果也玉篇雲毛果也。《爾雅桃李醜核郭璞雲子中有核仁孫炎雲桃李之實類皆有核

 

 

[本經/下經]

 

 

^^^^^^^^^^^^^^^^^^^^^^^^^^^^^^^^^^^^^^^^^^^^^^^^^^^^^^^^^^^^^^^^^^^

 

 

桃核仁

 

 

 

복숑화 性平一雲溫味苦甘無毒

 

()이 평()하고 <(). ()는 고감(苦甘)하며 무독(無毒)하다.

 

 

主瘀血血閉破琋禮通月水止心痛殺三盤

 

어혈(瘀血), 혈폐(血閉)에 주효(主效)하며, 징가(癥痂)를 파()하고 월수(月水)를 통()하며, 심통(心痛)을 멎게 하고, 삼충(三蟲)을 살()한다.

 


處處有之七月採核破之取仁陰乾本草

 

어느 곳에나 있으며 칠월(七月)에 채()하여 핵()을 파()하고 인()을 취()해서 음건(陰乾)한다.[본초].

 

 


破滯血生新血逐瘀活血有功醫鑑

 

혈체(血滯)를 파()하고, 신혈(新血)을 생()하며, 어혈(瘀血)을 축()하며, ()을 활()하는 공()이 있다.[의감].

 

 


肝者血之海血受邪則肝氣燥經曰肝苦急急食甘以緩之桃仁味苦甘辛散血緩肝也綱目

 

()은 혈()의 해()로 혈()이 사기(邪氣)를 수()하면 간기(肝氣)가 조()해진다. 내경(內經)에 간()이 고급(苦急)하면 급()히 감()으로 완()하게 하라고 하였다. 도인(桃仁)은 미()가 고(), (), ()하여 혈()을 산()하고, ()을 완()한다. [강목].

 

 


入手足厥陰經湯浸去雙仁及皮尖硏如泥用湯液

 

(), 족궐음경(手足厥陰經)에 들어가는데 탕침(湯浸)하여 쌍인(雙仁) 및 피(), ()은 제거(除去)하고 니()와 같이 연()하여 사용(使用)한다.[탕액].

 

 

 

 

桃花

 

 

 

性平味苦無毒

 

()은 평()하고 미()는 고()하며 무독(無毒)하다.

 

 

破石淋利大小便下三盤殺狟惡鬼令人好顔色

 

석림(石淋)을 파()하고 대소변(大小便)을 통리(通利)하며, 삼충(三蟲)을 하()한다. 시주(屍疰), 악귀(惡鬼)를 살()히고 안색(顔色)을 좋게 한다.

 


桃花棋破積聚桃花落時以竹簽收取陰乾和恪作燒餠空心服太下積聚陳久之物醫說

 

도화기(桃花棋)는 적취(積聚)를 파()한다. 도화(桃花)가 떨어질 때 대바구니에 주어 담아 그늘에서 말려 밀가루로 반죽한 다음 떡을 만든다. 이것을 빈속에 먹으면 오래된 적취를 몰아낸다[의설].

 


三月三日採花陰乾勿用千葉花本草

 

삼월(三月)삼일(三日)에 채화(採花)하여 음건(陰乾)한다. 여러 겹 둘러싸인 꽃은 쓰지 못한다[본초].

 

 

 

 

桃梟

 

 

 

性微溫味苦

 

()은 미온(微溫)하고, ()는 고()하다.

 

主殺百鬼精物五毒不祥療中惡心腹痛破血又治中惡毒氣蠱狟

 

온갖 귀정물(鬼精物), 오독(五毒), 불상(不祥)을 살()하는데 주효(主效)하며, 중악(中惡), 심복통(心腹痛)을 요()하고, ()을 파()한다. 또 중악(中惡), 독기(毒氣), 고주(蠱疰)를 치()한다.


一名桃奴是桃實已乾著木上經冬不落者名桃梟正月採之以中實者爲良一雲十二月採

 

일명(一名) 도노(桃奴)이다. ()의 실()이 목상(木上)에 붙은 채 건조(乾燥)되어 월동(越冬)한 것을 도효(桃梟)라고 한다. 정월(正月)에 채취(採取)한다. 속이 충실(充實)한 것을 양품(良品)으로 친다. 혹 십이월(十二月)에 채취(採取)한다.

 


一名鬼瘛庺是千葉桃花結子在樹上不落乾者於十二月採得可爲神妙本草


일명(一名) 귀촉루(鬼髑髏/가보방에서 ...)라고 한다. 천엽도화(千葉桃花)의 결자(結子)가 목상(木上)에서 떨어지지 않고 건조(乾燥)된 것을 십이월(十二月)에 채취(採取)하면 신묘(神妙)하다.[본초].


酒拌蒸以銅刀刮取肉焙乾用入門


술에 버무려 쪄서 구리칼로 살을 긁어 내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입문].

 

 

 

 

 

 

桃毛

 

 

 

 

性平

 

()은 평()하다.

 

主下血禮積聚殺惡鬼邪氣療崩中破癖氣

 

혈가(血瘕), 적취(積聚)에 주효(主效)하며, 악귀사기(惡鬼邪氣)를 살()하고, 붕중(崩中)을 요()한다. 벽기(癖氣)를 파()한다.

 


桃實上毛刮取用之本草

 

복숭아털을 긁어 쓴다[본초].

 

 

 

 

桃履

 

 

殺鬼抗邪氣不祥食桃樹盤也本草

 

()를 살()하고, 사기(邪氣)를 항()한다. 도두(桃蠹)는 도수(桃樹)의 좀벌레이다[본초].

 

莖白皮

 

 

 

 

 

除邪鬼主中惡心腹痛本草

 

사귀(邪鬼)를 제거(除去)하고, 중악(中惡), 심복통(心腹痛)에 주효(主效)하다.[본초].

 

 

 

桃葉

 

 

 

 

除屍盤出瘡中盤治小兒中惡客歑本草

 

시충(屍蟲)을 제거(除去)하며, 창중(瘡中)의 소충(小蟲)을 출()하고 소아(小兒)의 중악(中惡), 객오(客忤)를 치()한다. [본초].

 

 

 

 

桃膠

 

 

 

下石淋破血主中惡狟歑本草

 

석림(石淋)을 하()하고 혈()을 파()하며 중악(中惡), 시주(屍疰), 객오(客忤)에 주효(主效)하다.[본초].

 

 

 

桃實

 

 

性熱味酸微毒

 

()은 열()하고 미()는 산()하고 미독(微毒)하다.

 

 

 

益顔色多食令人發熱本草

 

안색(顔色)을 익()하며 다식(多食)하면 발열(發熱)한다.[본초].

 

 

 

急性子

 

급성자(急性子)

 

 

治小兒癖疾卽小紅桃子也回春

 

소아(小兒)의 벽질(癖疾)를 치료한다. 이것은 작은 홍도의 씨다[회춘].

 

 

 

 

 

@桃符

 

도부(桃符)

 

 

主鬼邪精魅煮汁服之是門上桃板符也桃者五木之精此仙木也本草

 

귀사(鬼邪), 정매(精魅)에 자즙(煮汁)을 복용(服用)한다. 문상(門上)에 도판부(桃板符)이다. ()는 오목(五木)의 정()으로 선목(仙木)이다.

 

 

금염(禁厭)

 

 

 

 

主十狟五屍鬼邪病取五十枚去尖皮水煮取汁頓服之當吐不吐再服

 

 

십훤(十狟) 오시(五屍), 귀사병(鬼邪病)에 주효(主效)하다. 오십매(五十枚)를 취()하여 피(), ()을 제거(除去)하고 수자(水煮)하여 돈복(頓服)하면 토()한다. ()하지 않으면 재복(再服)한다.

 


又桃仁作粥常食之妙本草

 

또 도인(桃仁)을 죽()을 쑤어 상식(常食)하면 묘()하다.[본초].

 

 

 

治大便血結血秘血燥秘澁不通硏取汁作粥服之湯液

 

혈결(血結), 혈비(血秘)와 혈조(血燥)로 변비가 되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갈아서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탕액].

 

 

 

 

止心痛取七枚去皮尖熟硏水一合和頓服良亦治三十年久痛本草

 

심통(心痛)을 멎게 한다. ()()을 제거(除去)한 도인(桃仁) 칠매(七枚)를 연숙(硏熟)하여 물 일합(一合)과 화()하여 돈복(頓服)하면 양()하다. 삽십년의 구통(久痛)도 치()한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