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성초(魚腥草)[동의보감]

2023. 6. 6. 19:31[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어성초(魚腥草)[동의보감]

 

 

 

약모밀/ 어성초(魚腥草)

 

약모밀

 

 

이명:[삼백초] [십자풀] [어성초] [즙채] [집약초]

학명: Houttuynia cordata Thunb.

분류군: Saururaceae(삼백초과)

일명: ドクダミ

영문: Heartleaf Houttuynia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8cm, 3-6cm로서 뚜렷한 5출맥이 있고 연한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밑부분은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탁엽이 엽병 밑에 붙어 있다.

 

열매

열매는 삭과이며 3개로 화주 사이에서 갈라져 연한 갈색 종자가 나온다.

 

6월경에 원줄기 끝에서 짧은 화경(花莖)이 나와 그끝에 길이 1-3cm의 수상화서가 발달하며 백색의 꽃이 달린다. 포는 4개이고 화서 밑에 십자형(十字形)으로 달려 꽃같이 보이며 길이 1.5-2cm이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떨어지지 않는다. 꽃은 화피가 없고 3개의 수술이 있어 황색으로 보이며 자방은 1개이고 상위로서 3실이며 3개의 암술대가 았다.

 

줄기

원줄기는 잎과 더불어 털이 없으며 길이 20-50cm로서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있고 몇 개의 세로줄이 있다.

 

뿌리

뿌리는 백색이고 연하며 옆으로 길게 뻗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일본, 대만, 히말라야, 쟈바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울릉도, 남부지역의 습지에 자생하며 중부지방에서도 자란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크기

높이가 20-50cm정도 된다.

 

 

생육환경

습지에서 잘 번식한다. 부식질이 풍부하고 보습성이 적당한 토양에서 주로 자라며 반그늘에서부터 양지까지 광선조건은 다양하다.

 

광선

양생

 

내한성

중간

 

토양

비옥

 

수분

습윤

 

/번식방법

가을에 지하경을 잘라서 심는다.

 

재배특성

부식질이 풍부하고 보습성이 적당한 토양에 재배한다. 중부지방에서는 내한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짚이나 왕겨 등으로 겨울철에 멀칭을 해주는 것이 안전하다. 가끔 지상부가 동해를 받아 봄철에 새싹이 나오는 것이 늦어지는 경우도 있다.

 

결실기

9

 

이용방안

 

식물의 성질이 강건하고 꽃이 관상가치가 있으므로 지피식물로 식재할 수 있다. 화분식물로 재배가 가능하다.

 

항생물질이 내재되어 있어 약용으로 사용한다. 뿌리가 달린 全草(전초)魚腥草(어성초)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 가을에 전초를 뿌리째 뽑아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려서 잘라 쓴다.

 

성분 : 전초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었는데 그 중에는 항균성분으로 decanoyl acetaldehyde, methyl-n-nonyl-ketone, α-pinene, linalool camphene, d-limonen, bornyl acetate, caryophyllene, myrcene, laurin aldehyde 등이 함유되어 있고 이외에 cordarine도 함유되어 있다. 花穗(화수) 果穗(과수)에는 isoquercitrin, 잎에는 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고, ··과실의 flavonoid는 같으며 어느 것이나 quercitrin, quercetin, isoquercitrin, reynoutrin, hyperin이 함유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根莖(근경)精油(정유)에도 decanoyl acetaldehyde가 함유되어 있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 利尿(이뇨),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폐렴, 肺膿瘍(폐농양), 熱痢(열리), 말라리아, 水腫(수종), 淋病(임병), 白帶(백대), 癰疽(옹저), 痔瘡(치창), 脫肛(탈항), 濕疹(습진), 禿瘡(독창), 疥癬(개선)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생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서 즙을 내어 마신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熏洗(훈세) 또는 짓찧어서 붙인다.

 

보호방안

자생지 보존이 필요하며, 번식이 용이한 식물이므로 인공증식에 의해 개체수를 대량으로 늘리고 자생지외 보존을 한다.

 

특징

우리 나라에는 1종이 있으며, 외국에서 개발된 원예종으로 무늬변종이 있다. 잎과 줄기에서 고약한 냄새가 난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이 주둔하던 병영지 주변에는 항시 약모밀을 재배하여 항생제 대용으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전초에서 독특한 악취가 난다.

 

 

 

 

 

학명 Houttuynia cordata Thunb.

Fl. jap. 234 (1965)

1. Polypara cochinchinensis Lour.

Fl. cochinch. 61 (1790)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2. Polypara cordata (Thunb.) Bueck

Index ad. DC. Prod. 4: 310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국명 약모밀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1. 삼백초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십자풀

3. 어성초

4. 즙채

5. 집약초

영문명 : Heartleaf Houttuynia

일본명 : ドクダミ

북한명 : 즙채

 

 

Houttuynia cordata Thunb.

Fl. Jap. (Thunberg) 234, t. 26. 1784 [Aug 1784]

234, t. 26 1784

Remarks: isonym of H. cordata Thunberg (1783).

 

Houttuynia cordata Thunb.

Kongl. Vetensk. Acad. Nya Handl. 4: 149 (152, t. 5). 1783 [Apr-Jun 1783]

4: 149 (152, t. 5) 1783

Distribution:

Japan (Eastern Asia, Asia-Temperate)

 

Remarks: as 'Houtuyni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즙채(蕺菜)

Houttuynia cordata Thunb.

 

 

이명(異名)

 

Polypara cochinchinensis Lour.

Polypara cordata Kuntze

Houttuynia cordata f. polypetaloidea T.Yamaz.

Houttuynia cordata f. viridis J.Ohara

Houttuynia cordata var. plena Makino

Houttuynia cordata var. variegata Makino

Houttuynia emeiensis Z.Y.Zhu & S.L.Zhang

Houttuynia foetida Loudon

 

 

多年生草本15-50厘米有腥臭味莖下部伏地生根上部直立通常無毛葉互生心形或寬卵形3-8厘米4-6厘米有細腺點兩面脈上有柔毛下面常紫色葉柄長1-3厘米常有疏毛托葉膜質條形1-2厘米下部常與葉柄合生成鞘狀穗狀花序生於莖上端與葉對生長約1-1.5厘米基部有4片白色花瓣狀苞片花小兩性無花被雄蕊3花絲下部與子房合生雌蕊由3個下部合生的心皮組成子房上位花柱分離蒴果頂端開裂

 

分布在長江以南各省區日本也有生於濕地或水旁全草入藥散熱解毒消癰腫幼嫩莖可作疏菜

 

 

^^^^^^^^^^^^^^^^^^^^^^^^^^^^^^^^^^^^^^^^^^^^^^^^^^^^^^^^^^^^^^^^^^^^^^^^^^^^^

 

獒菜

 

즙채(蕺菜)

 

 

性微溫味辛有毒

 

()은 미온(微溫)하고 미()는 신()하며, 유독(有毒)하다.

 

 

主堂杹尿瘡

 

구수뇨창(蠷螋尿瘡)에 주효(主效)하다.

 


處處有之生山中及田野間人好生食然久食損陽氣本草

 


여러 지방의 산과 밭, 들에서 자란다. 사람들은 즐겨 생식(生食)한다. 그러나 구식(久食)하면 양기(陽氣)를 손상(損傷)한다.[본초].

 

 

[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두구(草豆蔻)[동의보감]  (2) 2023.06.06
홍두구(紅豆蔻)[동의보감]  (1) 2023.06.06
율초(葎草)[동의보감]  (2) 2023.06.06
고차(苦茶)[동의보감]  (2) 2023.06.06
소합향(蘇合香)[동의보감]  (0) 2023.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