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9. 5. 23:07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고량(高粱)[본초강목]
^^^^^^^^^^^^^^^^^^^^^^^^^^^^^^^^^^^^^^^^^^^^^^^^^^^^^^^^^^^^^^^^^^^^^^^^
蜀黍
(《食物》)
【釋名】
蜀秫(俗名)盧穄(《食物》)蘆粟(並俗)木稷(《廣雅》)荻粱(廣雅)高粱。
時珍曰︰蜀黍不甚經見,而今北方最多。按︰《廣雅》︰荻粱,木稷也。蓋此亦黍稷之類,而高碩如蘆荻者,故俗有諸名。種始自蜀,故謂之蜀黍。
蜀黍(촉서)는 經(경)으로 보이지 않지만 現在(현재) 北方(북방)에 가장 많다. 살펴보면 廣雅(광아)에 “荻粱(적량)은 木稷(목직)이다.” 라고 되어 있다. 하지만 이것도 역시 黍(서), 稷(직)의 類(유)로서 높고 큰 것이고, 蘆(노), 荻(적)과 비슷한 것이어서 흔히 그러한 諸名(제명)이 있는 것인데, 이것을 栽培(재배)하는 일이 蜀地方(촉지방)에서 始作(시작)되었으니 蜀黍(촉서)라고 한 것이다.
【集解】
穎曰︰蜀黍北地種之,以備缺糧,餘及牛馬。穀之最長者。南人呼為蘆穄 。
時珍曰︰蜀黍宜下地。春月布種,秋月收之。莖高丈許,狀似蘆荻而內實。葉亦似蘆。 穗大如帚。粒大如椒,紅黑色。米性堅實,黃赤色。有二種︰粘者可和糯秫釀酒作餌;不粘者可以作糕煮粥。可以濟荒,可以養畜,梢可作帚,莖可織箔席、編籬、供爨,最有利於民者。今人祭祀用以代稷者,誤矣。其穀殼浸水色紅,可以紅酒。《博物志》雲︰地種蜀黍,年久多蛇。
박물지(博物志)에 <土地(토지)에 蜀黍(촉서)를 심어서 오랜 시일이 지나면 蛇(사)가 많아진다.>라고 되어 있다.
米
【氣味】
甘,澀,溫,無毒。
【主治】
溫中,澀腸胃,止霍亂。粘者與黍米功同(時珍)。
온중(溫中)하고, 장위(腸胃)를 삽(澁)하며, 곽란(霍亂)을 멈춘다. 점(粘)하는 것은 서미(黍米)와 동공(同功)이다.
根
【主治】
煮汁服,利小便,止喘滿。燒灰酒服,治產難有效(時珍)。
자즙(煮汁)을 복용(服用)하면 이소변(利小便)하고 천만(喘滿)을 멎게 하고, 소회(燒灰)하여 주복(酒服)하면 난산(難産)을 치(治)하는데 유효(有效)하다.
【附方】新一。
小便不通,止喘︰紅秫散︰用紅秫黍根二兩,扁蓄一兩半,燈心百莖,上搗羅。每服半兩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죽엽(淡竹葉)[본초강목] (1) | 2022.10.05 |
---|---|
대맥얼(大麥蘖)[본초강목] (1) | 2022.09.17 |
옥촉서(玉蜀黍)[본초강목] (1) | 2022.09.05 |
의이인(薏苡仁)[본초강목] (1) | 2022.09.05 |
금귤(金橘)[본초강목] (0) | 2022.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