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미(靑梁米), 황량미(黃粱米), 백량미(白粱米)[동의보감]

2022. 8. 18. 23:21[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청량미(靑梁米), 황량미(黃粱米), 백량미(白粱米)[동의보감]

 

 

/청량미(靑梁米), 황량미(黃粱米), 백량미(白粱米)

 

 

 

 

 

이명 : [큰조]

학명 : Setaria italica (L.) P.Beauv.

분류군 : Gramineae(벼과)

일명 : アワ(Awa)

영명 : Foxtall Millet, Japanese Millet Italian Millet, Hungarian Millet, Bengal Grass

漢名 : (; 조 속)

 

잎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엽초로 된다.

 

열매

영과는 황색이고 둥글며 떨어진 다음 포영이 남는다.

 

화수(花穗)는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 15-20, 나비 2.5로서 한쪽으로 굽으며 짧은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꽃이 밀착한다. 1개의 소지에는 1개의 양성화와 불완전한 꽃이 달리고 밑부분에 가시 같은 털이 있으며 소수(小穗)는 길이 3정도로서 1개의 꽃으로 된다. 첫째 포영은 길이 0.8-1mm로서 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mm정도로서 5맥이 있으며 까락이 없다. 퇴화된 꽃의 호영은 5맥이 있고 까락이 없으며 둘째 포영과 비슷하다.

 

줄기

높이 1-1.5m이고 가지가 없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일년생 작물.

크기

높이는 1-1.5m

 

 

 

 

생육 환경

밭에서 재배한다.

결실기

9, 10

 

이용방안

 

곡류의 일종으로 식용된다.

 

 

 

특징

메마른 곳에 나는 것과 물기가 많은 곳에 나는 것이 다르게 나타난다.

 

 

 

 

 

 

학명 Setaria italica (L.) P.Beauv.

Ess. Agrostogr. 51, 170, 178.

 

 

1. Panicum italicum L.

Sp. Pl. 1 : 56 (1753)

1) Grasses of Japan and its neighboring regions (T.Koyama, 1987)

 

2. Pennisetum italicum (L.) R.Br.

Prodr. 195 (R.Br., 1810)

1) Grasses of Japan and its neighboring regions (T.Koyama, 1987)

 

국명 조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큰조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조

외국명 영문명

Foxtall Millet, Japanese Millet Italian Millet, Hungarian Millet, Bengal Grass

일본명

アワ

 

 

 

 

Setaria italica P.Beauv.

Ess. Agrostogr. 51. 1812

51. 1812

Original Data:

Notes: Reg. trop. et subtrop. (cult.)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

 

Setaria italica (Linn.) Beauv.

 

 

이명(異名)

 

 

Chamaeraphis italica (L.) Kuntze

Chamaeraphis italica var. germanica (Mill.) Kuntze

Panicum chinense Trin.

Pennisetum italicum (L.) R. Br.

Pennisetum germanicum (Mill.) Baumg.

Setaria germanica (Mill.) P. Beauv.

Chaetochloa germanica (Mill.) Smyth

Chaetochloa italica (L.) Scribner

Setaria italica var. metzgeri (Koern.) Jáv.

Setaria italica var. stramineofructa (F.T. Hubbard) Bailey

Panicum globulare (J.Presl) Steud.

Setaria melinis Link ex Steud.

Setaria italica subsp. moharica (Alef.) H.Scholz

Panicum italicum var. longisetum Döll

Panicum italicum var. erythrospermum Körn. & F.A.Werner

Panicum panis (Jess.) Jess.

Setaria itieri Delile

Setaria panis Jess.

Panicum italicum var. nigrum Körn.

Panicum itieri (Delile) Steud.

Pennisetum macrochaetum J.Jacq.

Setaria pachystachya Borbás

Setaria multiseta Dumort.

Setaria globularis J.Presl

Panicum moharicum (Alef.) E.H.L.Krause

Setaria italica subsp. nigrofructa F.T.Hubb.

Setaria italica subsp. rubrofructa F.T.Hubb.

Setaria italica subsp. stramineofructa F.T.Hubb.

Alopecurus caudatus Thunb.

Setariopsis italica (L.) Samp.

Setaria italica subsp. moharia (Alef.) H.Scholz

Penicillaria italica (L.) Oken

Panicum vulgare Wallr.

Setaria japonica Pynaert

Panicum asiaticum Schult. & Schult.f.

Setaria viridis subsp. italica (L.) Briq.

Panicum melfrugum Schult. & Schult.f.

Ixophorus italicus (L.) Nash

Panicum maritimum Lam.

Setaria californica Kellogg

Echinochloa erythrosperma Roem. & Schult.

Panicum verticillatum var. major Thunb.

Panicum viride subsp. italicum (L.) Asch. & Graebn.

Setaria persica Rchb. Setaria violacea Hornem. ex Rchb.

Setaria maritima (Lam.) Roem. & Schult.

Setaria asiatica Rchb.

Echinochloa intermedia Roem. & Schult.

Panicum sibiricum Roem. & Schult.

Setaria moharica Menabde & Erizin

Panicum italicum var. inerme Döll

Paspalum germanicum (Mill.) Baumg.

Panicum erythrospermum Vahl ex Hornem.

Oplismenus intermedius (Hornem.) Kunth

Setaria compacta Schur

Setaria italica subsp. colchica Maisaya & Gorgidze

Setaria italica var. moharia (Alef.) A.Zimm.

Panicum viride var. italicum (L.) Backer

Pennisetum erythrospermum (Vahl ex Hornem.) Jacq.

Setaria italica var. colchica Dekapr. & Kaspar.

Setaria italica var. nigrofructa (K?rn. & H. Werner) L.H. Bailey

Setaria italica var. rubrofructa (F.T. Hubb.) L.H. Bailey

 

 

 

一年生稈高約1-1.5厘米葉片條狀披針形上面粗糙柱狀圓錐花序長10-40厘米小穗長約3毫米簇生於縮短的分枝上基部有剛毛狀小枝1-3成熟時自穎與第一外稃分離而脫落第一穎長爲小穗的1/2-1/3;第二穎略短於小穗第二外稃有細點狀皺紋歐亞大陸的溫帶有栽培

 

多栽種於北方主要供食用也可釀酒稈葉是牛馬的良好飼料有時有毒因莖中含有白瑞香類配糖體

 

 

 

 

&&&&&&&&&&&&&&&&&&&&&&&&&&&&&&&&&&&&&&&&&&&&&

 

 

()

 

Setaria italica var. germanica (Mill.) Schred.

 

 

 

 

Setaria italica ( L. ) P.Beauv. subvar. germanica Hubbard

 

Links:

nomenclatural synonym:Poaceae Panicum germanicum Mill. Gard. Dict., ed. 8. Panicum no. 1. 1768 [16 Apr 1768]

 

 

 

^^^^^^^^^^^^^^^^^^^^^^^^^^^^^^^^^^^^^^^^^^^^^^^^^^^^^^^^^^^^^^^^^^^^^^^^

靑粱米

 

청량미(靑梁米)

 

 

꿷동쏉性微寒味甘無毒

 

()은 미한(微寒)하고 미()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主胃痺熱中消渴利小便止泄痢輕身長年本草

 

위비(胃痺), 열중(熱中), 소갈(消渴)에 주효(主效)하고, 소변(小便)을 이()하며, 지설(止泄)하고 경신장년(輕身長年)한다.[본초].

 


靑粱殼穗有毛粒靑米亦靑而細於黃白粱夏月食之極淸涼本草

 

청량(靑梁)의 곡수(穀穗)에 모()가 있고, ()이 푸르며, ()는 역시 청()인데 황량(黃粱), 백량(白梁)보다 가늘고 하월(夏月)에 먹으면 극()히 청량(淸涼)하다.[본초]

 


粱有靑黃白皆粟類也諸粱食之比他穀最益脾胃性亦相似耳本草


()은 청량(靑梁), 황량(黃粱), 백량(白梁)이 있으며, 모두 속류(粟類)이다. 제량(諸梁)은 다른 곡()에 비하여 비위(脾胃)를 가장 유익(有益)하게 하며, ()도 역시 서로 비슷하다[본초].

 


粱雖粟類細論則別本草

 

()은 속류(粟類)라고 하지만 자세하게 논()하면 다르다[본초].

 


靑粱醋拌百蒸百暴可作埭糧斷穀本草

 

청량(靑梁)을 초()에 반()하여 백증백쇄(百蒸百曬)하여 양식(糧食)으로 하면 단곡(斷穀)할 수 있다.[본초].

 

 

 

 

黃粱米

 

황량미(黃粱米)

 

 

누른냥미性平味甘無毒

 

()은 평()하고 미()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益氣和中止泄本草

 

익기(益氣)하고 화중(和中)하며, 지설(止泄)한다.

 

靑白粱食之不及黃粱靑白二種性皆微涼獨黃粱性甘平豈非得土之中和氣多耶本草

 

청량(靑梁), 백량(白梁)은 식()하는데 황량(黃粱)에 불급(不及)하다. 이종(二種)은 성()이 모두 미양(微凉)하고, 황량(黃粱)은 성()이 감(), ()한데 그것은 토지(土地)의 중화기(中和氣)를 받는 일이 많기 때문이라 여겨진다.[본초].

 

粱類穗皆大而毛長米比粟更大黃粱食之香美愈於諸粱號爲竹根黃入門

 

양류(梁類)는 모두 수()가 크고, ()가 길며, ()는 속()보다 크다. 황량(黃粱)은 식()하면 제량(諸梁)보다 향미(香美)롭다. 죽근황(竹根黃)이라고도 한다[입문].

 

 

 

白粱米

 

백량미(白粱米)

 

 

흰냥미性微寒味甘無毒

 

()은 미한(微寒)하고, ()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主除熱益氣入門

 

제열(除熱)하고 익기(益氣)한다.[본초].

 

 

[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맥(大麥)[동의보감]  (1) 2022.09.17
고량(高粱)[동의보감]  (0) 2022.09.05
출미(秫米)[동의보감]  (0) 2022.08.18
진름미(陳廩米)[동의보감]  (0) 2022.08.09
나미(糯米)[동의보감]  (0) 202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