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 16. 01:43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부용화(芙蓉花)[본초강목]
부용/부용화(芙蓉花)
부용
이명:[부용화]
학명:Hibiscus mutabilis L.
분류군:Malvaceae(아욱과)
일명:フヨウ(Huyo). Moku-huyo
영명:Cotton Rose, Confederate Rose
漢名:木芙蓉花(나무 목, 연꽃 부,연꽃 용, 꽃 화)
잎
잎은 호생하며 둥글고 3-7개로 갈라지며 길이와 나비가 각 10-20cm이고 열편은 삼각상 난형이며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며 둔한 톱니가 있고 표면에 성모와 잔돌기가 있어 거칠며 뒷면에 백색 성모가 밀생한다. 엽병에 성상모가 밀생한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구형이고 지름 2.5cm정도로서 황색 강모가 밀생하고, 맥이 있으며 종자는 많고 신장형이며 지름 2mm정도로서 흑갈색이고 뒷면에 긴 백색 털이 있다. 종자는 콩팥형이며 지름 2㎜정도이고 뒷면에 긴 백색 털이 있다. 10-11월에 익는다.
꽃
꽃은 8-10월에 피고 지름 10-13cm로서 연한 홍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린다. 화경은 길이 6-12cm이며, 꽃받침은 보통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선모가 섞여 있으며 소포가 꽃받침통보다 길다. 소포편은 8-10개로 선형이고 화경과 화통에 성상모가 밀생한다.
줄기
가지는 성모가 있고 초본성이다.
원산지
중국 원산.
분포
제주도 서귀포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활엽소교목:낙엽반관목
크기
높이 1-3m 정도이다.
생육 환경
양지에서 잘 자라고 내한성이 강하며 해안지방에서도 생육이 양호한데,습도가 높고 비옥도가 높은 사질양토가 적지이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습윤
꽃/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꺾꽂이,포기나누기에 의해 많은 묘목을 얻을 수 있다.
▶과피가 열리기 직전 종자가 약간 미숙하였을 때 채취하여 직파하거나 5-7℃의 서늘한 곳에 저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삭과가 완전히 열렸을 때 채취한 종자는 너무 건조하여 발아하는데 2-3년이 걸린다.
결실기
11월
이용방안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화(花)는 木芙蓉花(목부용화), 근(根)은 木芙蓉根(목부용근), 엽(葉)은 木芙蓉葉(목부용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木芙蓉花(목부용화) -
①부용의 꽃으로 10월에 꽃이 막 피어날 때 따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꽃에는 flavonoid배당체와 anthocyanin이 함유되어 있고 전자(前者)에는 isoquercitrin, hyperin, rutin, (spiraeoside), quercimeritrin이 있다. 후자(後者)의 함유량은 꽃 색의 변화에 따라서 달러져서 早朝花(조조화)가 淡黃色(담황색)일 때에는 anthocyanin이 없고 주간(담홍색)과 저녁때(분홍색)의 꽃에는 cyanidin 3, 5-diglucoside와 cyanidin 3-rutinoside-5-glucoside가 함유되어 있고 저녁때 꽃의 함유량은 주간 꽃의 3배나 된다. 종자에는 油分(유분)이 12.3%(건조중량)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癰腫(옹종), 정창, 화상, 肺熱(폐열)에서 오는 咳嗽(해수), 吐血(토혈), 崩漏(붕루), 白帶(백대)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2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분말을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또는 짓찧어서 붙인다.
⑵木芙蓉根(목부용근) -
①약효 : 癰腫(옹종), 禿瘡(독창-원형탈모증), 瘡(겸창), 咳嗽氣喘(해수기천), 婦人(부인)의 白帶(백대)를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신선한 것을 30-60g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하거나 粉末(분말)을 조합하여 붙인다.
⑶木芙蓉葉(목부용엽) -
①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잎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Flavonoid 배당체, phenol類(류), 아미노산, tannin, 환원당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凉血(양혈), 해독,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癰腫痕腫(옹종흔종), 帶狀皰疹(대상포진), 화상, 目赤腫痛(목적종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④용법 : 粉末(분말)을 만들어 조합하여 붙이거나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특징
외국에서 도입된 원예품종이 다양하며 1년생 묘목에서도 꽃이 피어서 짧은 기간내에 조경효과를 살릴 수 있다. 꽃이 나무 전체를 뒤덮는다.
학명 Hibiscus mutabilis L.
1. Hibiscus sinensis Mill.
Gard. fl. dict. ed. 8, Hib (1768)
국명 부용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1. 부용화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북한명 부용
외국명 영문명
Cotton Rose, Confederate Rose
일본명
フヨウ
Hibiscus mutabilis L.
Sp. Pl. 2: 694. 1753 [1 May 1753]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목부용(木芙蓉)
Hibiscus mutabilis Linn.
이명(異名)
Hibiscus mutabilis f. plenus (Andrews) S. Y. Hu
Hibiscus sinensis Mill.
Ketmia mutabilis (L.) Moench
Abelmoschus mutabilis (Linn.) Wall. ex Hassk
Hibiscus malvarosa Noronha
落葉灌木或小喬木,高2-5米;莖具星狀毛及短柔毛。葉卵圓狀心形,直徑約10-15厘米,常5-7裂,裂片三角形,邊緣鈍齒,兩面均具星狀毛,主脈7-11條;葉柄長5-20厘米。花單生枝端葉腋,花梗長5-8厘米,近端有節;小苞片8,條形,長10-16毫米;萼鍾形,長2.5-3厘米5,裂;花冠白色或淡紅色,後變深紅色,直徑8厘米。蒴果扁球形,直徑約2.5厘米,被黃色剛毛及綿毛,果瓣5;種子多數,腎形。
原產我國,除東北、西北外,廣布各地;印度,中南半島均有栽培。常栽培。花、葉及根皮入藥,有清熱涼血、消腫解毒之效,治瘡毒膿腫等症。廬山芙蓉 H. paramutabilisBailey,不同點在於葉基部截形,苞片卵圓形,有長漸尖頭;產江西。
^^^^^^^^^^^^^^^^^^^^^^^^^^^^^^^^^^^^^^^^^^^^^^^^^^^^^^^^^^^^^^^^^^^^^^^^^^^^
木芙蓉
(《綱目》)
【校正】
並入《圖經》地芙蓉。
【釋名】
地芙蓉(《圖經》)木蓮(《綱目》) 華木(《綱目》)杹木 拒霜。
時珍曰︰此花艷如荷花,故有芙蓉、木蓮之名。八、九月始開,故名拒霜。俗呼為杹皮樹。《相如賦》謂之華木。注雲︰皮可為索也。
이것은 꽃이 염(艶)하고 荷花(하화)와 같기 때문에 芙蓉(부용), 木蓮(목련)이라는 이름이 있다. 八(팔)~九月(구월)에 비호소 피기 때문에 拒霜(거상)이라고도 하며, 俗稱(속칭) 杹皮樹(화피수)라고도 한다. 相如(상여)의 賦(부)에는 이것을 樺木(화목)이라 하였고, 註(주)에서는“皮(피)는 索(색)이 된다.”고 하였다.
蘇東坡詩雲︰喚作拒霜猶未稱,看來卻是最宜霜。蘇頌《圖經本草》有地芙蓉,雲出鼎州,九月採葉,治瘡腫蓋即此物也。
蘇東坡(소동파)의 詩(시)에는 “喚(환)에서 拒霜(거상)이라는 것은 아직도 피지 않았으나 보기에는 도리어 霜期(상기)에 가장 좋다.” 고 하였다. 蘇頌(소송)의 圖經本草(도경본초)에는 地芙蓉(지부용)이라는 것이 있고 “鼎州(정주)에서 나온다. 九月(구월)에 採取(채취)한다. 瘡腫(창종)을 治(치)한다.” 한 것이 있는데 아마도 이것일 것이다.
【集解】
時珍曰;木芙蓉處處有之,插條即生,小木也。其幹叢生如荊,高者丈許。
其葉大如桐,有五尖及七尖者,冬凋夏茂。秋半始著花,花類牡丹、芍藥,有紅者、白者、黃者、千葉者,最耐寒而不落。不結實。山人取其皮為索。川、廣有添色拒霜花,初開白色,次日稍紅,又明日則深紅,先後相間如數色。霜時采花,霜後採葉,陰乾入藥。
葉並花
【氣味】
微辛,平,無毒。
【主治】
清肺涼血,散熱解毒,治一切大小癰疽腫毒惡瘡,消腫排膿止痛(時珍)。
清肺涼血(청폐양혈)하고, 散熱解毒(산열해독)한다. 一切(일체)의 大小癰疽(대소옹저), 腫毒(종독), 惡瘡(악창)을 治(치)하며, 消腫排膿(소종배농)하고 止痛(지통)한다.
【發明】
時珍曰︰芙蓉花並葉,氣平而不寒不熱,味微辛而性滑涎粘,其治癰腫之功,殊有神效。近時瘍醫秘其名為清涼膏、清露散、鐵箍散,皆此物也。
芙蓉(부용)의 꽃과 잎은, 氣(기)는 平(평)하고, 不寒不熱(불한불열)하며, 味(미)는 微辛(미신), 性(성)은 滑(활)하고, 涎(연)은 粘(점)하다. 癰腫(옹종)을 治(치)하는 功(공)에는 特(특)히 神效(신효)가 있다. 近者(근자)의 瘍醫(양의)가 그 이름을 秘(비)로 하고 淸涼膏(청량고), 清露散(청로산), 鐵箍散(철고산) 등으로 일컫고 있는 것이 모두 이것이다.
其方治一切癰疽發背,乳癰惡瘡,不拘已成未成,已穿未穿。並用芙蓉葉,或根皮,或花,或生研,或乾研末,以蜜調塗於腫處四圍,中間留頭,乾則頻換。
그 方(방)은 一切(일체)의 癰疽(옹저), 發背(발배), 乳癰惡瘡(유옹악창)을 治(치)한다. 旣成(기성)과 未成(미성) 또는 旣穿(기천)과 未穿(미천)한 것을 不問(불문)하고 어느 것에나 사용한다. 芙蓉(부용)의 잎 혹은 根皮(근피)나 꽃을 生硏(생연)하거나 乾末(건말)하면 頻繁(빈번)히 바꾼다.
初起者,即覺清涼,痛止腫消。已成者,即膿聚毒出。已穿者,即膿出易斂。妙不可言。或加生赤小豆末,尤妙。
初起(초기)의 것은 淸涼(청량)을 느끼고 止痛消腫(지통소종)한다. 旣成(기성)인 것은 膿(농)이 聚(취)하여 毒(독)이 出(출)한다. 旣穿(기천)한 것은 膿(농)이 나오고 收斂(수렴)하기 쉽다. 이루 말할 수 없는 妙效(묘효)가 있다. 혹은 生赤小豆末(생적소두말)을 加(가)하면 더욱 妙效(묘효)가 있다.
【附方】
新十。
久咳羸弱︰九尖拒霜葉為末,以魚 蘸食,屢效。(危氏《得效方》)。
赤眼腫痛︰芙蓉葉末,水和,貼太陽穴。名清涼膏。(《鴻飛集》)。
經血不止︰拒霜花、蓮蓬殼等分。為末。每用米飲下二錢。(《婦人良方》)。
偏墜作痛︰芙蓉葉、黃柏各三錢,為末。以木鱉子仁一個磨醋,調塗陰囊,其痛自止(《簡便方》)。
杖瘡腫痛︰芙蓉花葉研末,入癰疽腫毒︰重陽前取芙蓉葉研末,端午前取蒼耳燒存性研末,等分,蜜水調,塗四圍,其毒自不走散。名鐵井闌。(《簡便方》)。
疔瘡惡腫︰九月九日采芙蓉葉陰乾為末,每以井水調貼。次日用蚰蜒螺一個,搗塗之。(《普濟方》)。
頭上癩瘡︰芙蓉根皮,為末。香油調敷。先以松毛、柳枝煎湯洗之。(傅滋《醫學集成》)。
湯火灼瘡︰油調芙蓉末,敷之。(《奇效方》)。
灸瘡不愈︰芙蓉花研末,敷之。(《奇效方》)。
一切瘡腫︰木芙蓉葉、菊花葉,同煎水,頻熏洗之。(《多能鄙事》)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루자(無漏子)[본초강목] (0) | 2022.05.23 |
---|---|
조휴(蚤休)[본초강목] (0) | 2022.05.16 |
부상화(扶桑花)[본초강목] (0) | 2022.05.16 |
울금향(鬱金香)[본초강목] (0) | 2022.05.07 |
해송자(海松子)[본초강목] (0) | 202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