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령선(威靈仙)[본초강목]

2022. 1. 19. 03:31[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위령선(威靈仙)[본초강목]

 

 

 

 

^^^^^^^^^^^^^^^^^^^^^^^^^^^^^^^^^^^^^^^^^^^^^^^^^^^^^^^^^^^^^^^^^^^^^^^^^^^^^

 

威靈仙

 

開寶》)

 

釋名

 

時珍曰言其性猛也靈仙言其功神也

 

 

()라는 것은 ()猛熱(맹열)한 것을 意味(의미)하고 靈仙(령선)이라는 것은 그 功力(공력)神速(신속)함을 意味(의미)하는 것이다.

 

 

 

集解

 

志曰出商州上洛山及華山並平澤以不聞水聲者良生先於眾草方莖數葉相對冬月丙己日采根用

 

保升曰九月末至十二月采根陰乾餘月並不堪采

 

頌曰今陝西及河東河北汴東江湖州郡皆有之初生作蔓莖如釵股四棱葉似柳葉作層每層六七葉如車輪有六層至七層者七月內生花六出淺紫或碧白色作穗似莆台子亦有似菊花頭者實青色根稠密多須似谷每年朽敗九月採根

 

時珍曰其根每年旁引年深轉茂一根叢須數百條長者二尺許初時黃黑色乾則深黑俗稱鐵腳威靈仙以此別有數種根須一樣但色或黃或白皆不可用

 

 

 

氣味

 

無毒

 

元素曰味甘純陽入太陽經

 

()(), 純陽(순양)하며 太陽經(태양경)에 들어간다.

 

 

杲曰可升可降陰中陽也

 

()하는데 ()하고, ()하는데 ()하며 陰中(음중)()이다.

 

 

時珍曰味微辛不苦忌茗麵湯

 

()微辛(미신), (), ()하지 않는다. () 麵湯(면탕)()한다.

 

 

 

主治

 

 

諸風宣通五臟去腹內冷滯心膈痰水久積癥瘕 痃癖氣塊 膀胱宿膿惡水腰膝冷疼療折傷久服無有溫疫瘧(《開寶》)。

 

諸風(제풍), 五臟(오장)宣通(선통)하고, 腹內(복내)冷滯(냉체), 心膈(심격)痰水(담수), 久積癥瘕(구적징가), 痃癖氣塊(현벽기괴), 膀胱(방광)宿膿(숙농), 惡水(악수), 腰膝(요슬)冷疼(냉동)()하고, 折傷(절상)()한다. 久服(구복)하면 溫疫(온역), ()()하지 않는다.

 

 

 

推新舊積滯消胸中痰唾散皮膚大腸風邪李杲)。

 

新舊(신구) 積滯(적체)()하고, 胸中(흉중)痰唾(담타)()하며, 皮膚(피부), 大腸(대장)風邪(풍사)()한다.

 

 

 

 

發明

 

 

頌曰唐貞元中嵩陽子周君巢作威靈仙傳威靈仙去眾風通十二經 脈朝服暮效疏宣五臟冷膿宿水變病微利不瀉人服此四肢輕健手足微暖並得清涼

 

()貞元年間(정원년간)嵩陽子周君巢(숭양자주군소)가 만든 威灵仙傳(위령선전)에 이렇게 말하고 있다. 威靈仙(위령선)諸種(제종)()()하고 十二經脈(십이경맥)()하고,, 朝服(조복)하면 저녁에 ()가 있으며, 五臟(오장)疏宣(소선)한다. 冷膿(냉농), 宿水(숙수)에서 생긴 ()으로 微利(미리)하고 ()하지 않는 사람은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四肢(사지)輕健(경건)해지고 手足(수족)微煖(미난)해지면 모두 淸凉을 얻는다.

 

 

 

先時商州有人病手足不遂不履地者數十年良醫殫技莫能療所親置之道旁以求救者遇一新羅僧見之告曰此疾一藥可活但不知此土有否因為之入山求索果得乃威靈仙也使服之數日能步履其後山人鄧思齊知之遂傳其事

 

 

일찍이 商州(상주)의 어떤 사람이 手足不遂(수족불수)을 앓고 行步不能(행보불능)이기를 數十年(수십년)이었는데, 良醫(양의)()을 다하여도 조금도 治效(치효)가 나타나지 않았다. 方法(방법)이 모두 ()하여 家人(가인)은 그 病人(병인)路傍(노방)에 앉혀 지나다니는 사람들로부터 求療者(구료자)를 구하는 方法(방법)()하였다. 그러자 우연히 한 新羅(신라)에서 온 스님이 지나다()은 오직 一種(일종)藥品(약품)으로 治癒(치유)할 수 있으나 다만 이 地方(지방)에 그 ()이 있을지가 문제로다.”라고 말하였다. 家人(가인)懇望(간망)으로 스스로 ()에 들어가 찾아 본 結果(결과), 마침내 그 ()採取(채취)하여 돌아왔다. ()이라는 것이 즉 威靈仙(위령선)이다. 服用(복용)시켜 본바 病人(병인)數日(수일)만에 과연 步行(보행)自由(자유)로워졌다. () 道士(도사) 鄧思齊(등사제)가 이 말을 전해 듣고 다시 나에게 연유를 알려주었기에 여기에 그 事實(사실)()해 둔다.

 

 

 

此藥治丈夫婦人中風不語手足不遂口眼歪斜言語蹇滯筋骨節風繞臍風胎風頭風暗大風皮膚風癢白癜風熱毒風瘡頭旋目眩手足頑痺腰膝疼痛久立不得曾經損墜腰痛腎臟風壅傷寒瘴氣憎寒壯熱頭痛流涕黃疸黑疸頭面浮腫腹內宿滯心頭痰水膀胱宿膿口中涎水冷熱氣壅肚腹脹滿好吃茶滓心痛注氣膈氣冷氣攻沖脾肺諸氣痰熱咳嗽氣急坐臥不安氣沖眼赤攻耳成膿陰汗盜汗大小腸秘服此立通氣痢痔疾瘰癧疥癬婦人月水不來動經多日氣血沖心產後秘澀孩子無辜並皆治之

 

()男子(남자), 婦人(부인)中風(중풍)으로 言語不能(언어불능), 手足不遂(수족불수), 口眼歪斜(구안왜사)해져 말이 새는 것, 筋骨節(근골절)(), 繞臍風(요제풍), 태풍(胎風), 頭風(두풍), 暗風(암풍), 心風(심풍), 風狂(풍광), 大風(대풍), 皮膚(피부)風癢(풍양), 白癜風(백전풍), 熱毒風瘡(열독풍창), 頭旋(두선), 目眩(목현), 手足頑痺(수족완비), 腰膝疼痛(요슬동통)으로 오래 서지 못하는 것, 이미 損墜(손추)로 인한 腰痛(요통), 腎臟(신장)風壅(풍옹), 傷寒瘴氣(상한장기), 憎寒壯熱(증한장열), 頭痛流涕(두통유체), 黃疸(황달), 黑疸(흑달), 頭面(두면)浮腫(부종), 腹內宿滯(복내숙체), 心頭痰水(심두담수), 膀胱宿膿(방광숙농), 口中涎水(구중연수), 冷熱氣壅(냉열기옹), 肚腹(두복)脹滿(창만), 즐겨 茶滓(다재)()하여 心痛(심통)하는 것, 注氣(주기), 膈氣(격기), 冷氣(냉기)脾肺(비폐)攻侵(공침)한 것, 諸氣痰熱(제기담열)咳嗽(해수)하고, 氣急(기급)하며 坐臥不安(좌와불안)(), 氣衝(기충)으로 눈이 붉은 것, ()化膿(화농)한 것, 陰汗(음한), 盜汗(도한)()한다. 大小腸(대소장)秘結(비결)은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바로 ()한다. 氣痢(기리), 痔疾(치질), 癩癧(나력), 疥癬(개선), 婦人(부인)月經不調(월경불조)長時日(장시일)에 걸쳐 ()을 움직이게 한 탓으로 氣血(기혈)衝心(충심)한 것, 産後(산후)秘塞(비색), 孩兒(해아)無辜(무고) 이 모두를 ()한다.

 

 

 

其法采得根陰乾月餘搗末溫酒調一錢匕空腹服之如人本性殺藥可加及六錢利過兩行則減之病除乃停服其性甚善不觸諸藥但惡茶及麵湯以甘草梔子代飲可也又以一味洗焙為末以好酒和令微濕入在竹筒內緊塞九蒸九曝如乾添酒洒之以白蜜和丸梧子大每服二十至三十丸溫酒下

 

方法(방법)()採取(채취)하여 一個月(일개월)가량 陰乾(음건), 搗末(도말)하고, 一錢匕(일전비)溫酒(온주)調()하여 空腹(공복)服用(복용)한다. 患者(환자)體質(체질)藥力(약력)()하는 경우에는 陸田(육전)까지 增加(증가)해도 ()하다. 二回(이회) ()한 바가 있다면 그 ()()하고, ()()한 이후에는 服用(복용)停止(정지)한다. ()()이 매우 ()한 것으로 諸藥(제약)과 조금도 抵觸(저촉)하지 않지만, 다만 ()麵湯(면탕)()한다. 甘草(감초), 栀子(치자)代用(대용)하여 마시면 좋다. 또한 이 一味(일미)를 씻고 ()하여 作末(작말)한다. 好酒(호주)調和(조화)하여 微溫(미온)으로 하고, 竹筒(죽통)에 넣어 단단히 ()한 후 九蒸九曝(구증구폭)하여 ()이 마르면 酒添(주첨)한다. 그것을 ()하여 白蜜(백밀)()하고 梧子(오자) 크기의 ()을 만들어 二十丸(이십환) 내지 三十丸(삼십환)溫酒(온주)服用(복용)한다.

 

 

崔元亮海上集驗方著其詳如此

 

위의 詳細(상세)한 것은 최원량(崔元亮)海上集驗方(해상집험방)記述(기술)되어 있다.

 

 

최원량의 해상집험방의 내용 추가:

 

崔氏海上方威靈仙去眾風通十二經脈此藥朝服暮效疏宣五臟冷膿宿水變病微利不瀉人服此四肢輕健手足溫暖並得清涼時商州有人患重足不履地經十年不瘥忽遇新羅僧見雲此疾有藥可理遂入山求之遣服數日平複後留此藥名而去

 

此藥治丈夫婦人中風不語手足不隨口眼喎斜筋骨節風胎風頭風暗風心風風狂人傷寒頭痛鼻清涕服經二度傷寒即止頭旋目眩白癜風極治大風皮膚風癢大毒熱毒風瘡深治勞疾連腰骨節風繞腕風言語澀滯痰積宣通五臟腹內宿滯心頭痰水膀胱宿膿口中涎水好吃茶漬手足頑痺冷熱氣壅腰膝疼痛久立不得浮氣瘴氣憎寒壯熱頭痛尤甚攻耳成膿而聾又沖眼赤大小腸秘服此立通飲食即住黃膽黑疸面無顏色瘰癧遍項產後秘澀暨腰痛曾經損墜心痛

 

注氣膈氣冷氣攻沖腎臟風壅腹肚脹滿頭面浮腫注毒脾肺氣痰熱氣急坐臥不安疥癬等瘡婦人月水不來動經多日血氣沖心陰汗盜汗鴉臭穢甚氣息不堪勤服威靈仙更用熱湯盡日頻洗朝塗若唾若治鴉臭藥自塗身上內外塗之當得平愈

 

孩子無辜令母含藥灌之痔疾秘澀氣痢絞結並皆治之威靈仙一味洗焙為末以好酒和令微濕入在竹筒內牢塞口九蒸九曝如乾添酒重灑之以白蜜和為丸

 

如桐子大每服二十至三十丸湯酒下

 

 

 

恭曰腰腎腳膝積聚腸內諸冷病積年不瘥者服之無不立效

 

腰腎(요신), 脚膝(각슬)積聚(적취), 腸內(장내)의 여러 冷病(냉병)이 오래 ()하지 않는데는 이것을 服用(복용)한다. 바로 奏效(주효)하지 않는 것이 없다.

 

 

宗奭曰其性快多服疏人五臟真氣

 

()迅速(신속)한 것이다.多服(다복)하면 五臟(오장)眞氣(진기)疏通(소통)()하다.

 

 

震亨曰威靈仙屬木治痛風之要藥也在上下者皆宜服之尤效其性好走亦可橫行故崔元亮言其去眾風通十二經脈朝服暮效凡采得聞流水聲者知其性好走也須不聞水聲者乃佳

 

威靈仙(위령선)()()하며, 痛風(통풍)治療(치료)하는 要藥(요약)으로 病上(병상), ()에 있는 것에는 모두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尤效(우효)가 있다. ()이 곧잘 走行(주행)하고, 또한 옆으로도 퍼져 순행한다. 그래서 崔元亮(최원량)諸種(제종)()()하고 十二經脈(십이경맥)()하며, 朝服(조복)하면 저녁에 有效(유효)하다.”라고 한 것이다. 무릇 이것은 採取(채취)할 때 流水(유수)와 같은 소리가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走行(주행)하는 것이라 한 것을 알수 있다. 水聲(수성)이 들리지 않는 것을 擇用(택용)하는 것이 좋다.

 

 

 

時珍曰威靈仙氣溫味微辛辛泄氣咸泄水故風濕痰飲之病氣壯者服之有捷效其性大抵疏利久服恐損真氣氣弱者亦不可服之

 

威靈仙(위령선)()(), ()微辛(미신), ()하다. ()()()하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風習痰飮(풍습담음)()()()하는데 이것을 ()하면 즉시 効果(효과)가 난다. 하지만 그 ()大體(대체)疏利(소리)하는 것이니 久服(구복)하면 眞氣(진기)損傷(손상)할 울려가 있다. 氣弱(기약)한 사람은 역시 服用(복용)시켜서는 안 된다.

 

 

 

 

附方舊四新一十五

 

腳氣入腹脹悶喘急用威靈仙末每服二錢酒下痛減 一分則藥亦減一

腰腳諸痛︰《千金方》︰用威靈仙末空心溫酒服一錢逐日以微利為度。《經驗方》︰用威靈仙一斤洗乾好酒浸七日為末麵糊丸梧子大以浸藥酒每服二十丸

 

腎臟風壅腰膝沉重威靈仙末蜜丸梧子大溫酒服八十丸平明微利惡物如青膿膠即是風毒積滯如未利夜再服一百丸取下後放杖丸。(《集驗》)

十瓶封煮一炷香出火毒逐日飲之以愈為度。(《集簡方》)

破傷風病威靈仙半兩獨頭蒜一個香油一錢同搗爛熱酒沖服汗出即愈。(《衛生易簡方》)

生川烏頭五靈脂各四兩為末醋糊丸梧子大每服七丸用鹽湯下忌茶。(《普濟方》)

男婦氣痛不拘久近威靈仙五兩生韭根二錢半烏藥五分好酒一盞雞子一個灰火煨一宿五更視雞子殼軟為度去渣溫服以乾物壓之側睡向塊邊渣再煎次日服覺塊刺痛是其驗也。(《摘玄方》)

噎塞膈氣威靈仙一把蜜各半碗煎五分服之吐出宿痰。(唐瑤經驗方》)

停痰宿飲喘咳嘔逆全不入食威靈仙)、半夏薑汁浸焙)。為末用皂角水熬膏丸綠豆大每服七丸至十丸薑湯下一日三服一月為驗忌茶

腹中痞積威靈仙楮桃兒各一兩為末每溫酒服三錢名化鐵丸。(《普濟》)

大腸冷積威靈仙末蜜丸梧子大一更時生薑湯下十丸至二十丸。(《經驗良方》)

腸風瀉血久者威靈仙雞冠花各二兩米醋二升煮乾炒為末以雞子白和作小餅炙乾再研每服二錢陳米飲下日二服。(《聖濟》)

痔瘡腫痛威靈仙三兩水一斗煎湯先熏後洗冷再溫之。(《外科精義》)

諸骨哽咽威靈仙一兩二錢砂仁一兩沙糖一盞水二鐘煎一鐘溫服。《乾坤生意》︰用威靈仙米醋浸二日晒研末醋糊丸梧子大每服二三丸半茶半湯下如欲吐以銅青末半匙入油一二點茶服探吐。《聖煎服即軟如綿吞下也甚效

飛絲纏陰腫痛欲斷以威靈仙搗汁浸洗一人病此得效。(李樓怪証方》)

痘瘡黑陷鐵腳威靈仙炒研一錢腦子一分溫水調服取下瘡痂為效意同百祥丸。(《儒門事親》)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위(女萎)[본초강목]  (0) 2022.01.29
승마(升麻)[본초강목]  (0) 2022.01.29
상춘등(常春藤)[본초강목]  (0) 2022.01.10
오가피(五加皮)[본초강목]  (0) 2022.01.10
통초(通草)[본초강목]  (0)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