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피(五加皮)[본초강목]

2022. 1. 10. 01:44[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오가피(五加皮)[본초강목]

 

 

 

 

^^^^^^^^^^^^^^^^^^^^^^^^^^^^^^^^^^^^^^^^^^^^^^^^^^^^^^^^^^^^^^^^^^

 

五加

 

(《本經上品

 

 

 

釋名

 

五佳(《綱目》)五花(《炮炙論》) 文章草(《綱目》)白刺 (《綱目》) 追風使(《圖經》)木骨(《圖經》)金鹽(《仙經》) 豺漆(《本經》)豺節(《別錄》)。

 

 

時珍曰此藥以五葉交加者良故名五加又名五花

 

()五葉(오엽)交加(교가)한 것을 良品(양품)으로 친다. 그래서 五加(오가) 또는 五花(오화)라고 命名(명명)한 것이다.

 

 

楊慎丹鉛錄作五佳云一枝五葉者佳故也蜀人呼為白刺譙周巴蜀異物志名文章草有贊云文章作酒能成其味以金買草不言其貴是矣本草豺漆豺節之名不知取何義也

 

楊慎(양신)丹鉛錄(단연록)에는 五佳(오가)라 쓰고 一枝五葉(일지오엽)인 것이 佳品(가품)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蜀地方(촉지방)에서는 白刺(백자)라고 한다. 譙周(초주)巴蜀異物志(파촉이물지)에서는 文章草(문장초)라 하며 ()이 있는데 文章酒(문장주)를 만들면 그 맛이 난다. ()을 주고 이것을 산다 그 값을 따지지 않는다.”고 한 것이 곧 이것이다. 本草(본초)豺漆(시칠), 豺節(시절)이라는 名稱(명칭)은 무슨 뜻을 ()한 것인지 알 수 없다.

 

 

頌曰蘄州人呼為木骨吳中俗名追風使

 

蘄州地方(기주지방)에서는 木骨(목골)이라 하고, 吳中(오중)에서는 俗稱(속칭) 追風使(추풍사)라 한다.

 

 

 

集解

 

別錄五加皮五葉者良生漢中及冤句五月七月採莖十月採根陰乾

 

弘景曰近道處處有之東間彌多四葉者亦好

 

頌曰今江淮湖南州郡皆有之春生苗葉俱青作叢赤莖又似藤蔓高三五尺上有黑刺葉生五叉作簇者良四葉三葉者最多為次每一葉下生一刺四月開白花結細青子至六月漸黑色根若荊根皮黃黑肉白色骨堅硬一說今有數種汴京北地者大片類秦皮黃柏輩平直如板而色白絕無氣味療風痛頗效余無所用吳中乃剝野椿根皮為五加柔韌而無味殊為乖失今江淮所生者根類地骨皮輕脆芬香其苗莖有刺類薔薇長者至丈餘葉五出香氣如橄欖春時結實如豆粒而扁青色得霜乃紫黑俗但名為追風使以漬酒療風乃不知其為真五加皮也今江淮吳中往往以為藩蘺正似薔薇金櫻輩而北間多不知用此種

 

 

雷斅曰五加皮樹本是白楸樹其上有葉如蒲葉三花者是雄五花者是雌陽人使陰陰人使陽剝皮陰乾

 

五加皮(오가피)()()白楸樹(백추수)이며, 그 위에 있는 잎은 蒲葉(포엽)과 같다. 三花(삼화)인 것은 (), 五花(오화)인 것은 ()인데 陽人(양인)에게는 (), 陰人(음인)에게는 ()使用(사용)한다.

 

 

機曰生南地者類草故小生北地者類木故大

 

時珍曰春月於舊枝上抽條葉山人采為蔬茹正如枸杞生北方沙地者皆木類南方堅地者如草類也唐時惟取峽州者充貢雷氏言葉如蒲者非也

 

春期(춘기)에는 舊枝上(구지상)에서 (), ()抽出(추출)한다. 山中(산중) 사람은 採收(채수)하여 蔬茹(소여)로 하는데 그야말로 拘杞(구기)와 같다.

 

 

根皮同莖

 

氣味

 

無毒

之才曰遠志為之使惡玄參蛇皮

 

 

 

主治

 

心腹疝氣腹痛益氣療躄小兒三歲不能行疽瘡陰蝕(《本經》)

 

心腹疝氣(심복산기), 腹痛(복통), 益氣療躄(익기요벽)한다. 三歲(삼세)小兒(소아)步行不能(보행불능), 疽瘡(저창), 陰蝕(음식)

 

 

男子陰痿, 囊下濕小便余瀝女人陰癢及腰脊痛兩腳疼痺風弱五緩虛羸補中益精堅筋骨強志意久服輕身耐老(《別錄》)。

 

男子(남자)陰痿(음위), 囊下濕(낭하습), 小便余沥(소변여력), 婦人(부인)陰癢(음양) 腰脊痛(요척통), 兩腳疼痺(양각동비), 風弱五緩(풍약오완), 虛羸(허리), 補中益精(보중익정)하고 筋骨(근골)()하게 하며, 志意(지의)()하게 한다. 久服(구복)하면 經身耐老(경신내로)하게 한다.

 

破逐惡風血四肢不遂賊風傷人,軟腳,臀腰,主多年瘀血在皮肌,年瘀血在皮肌治痺濕內不足甄權)。

 

惡風血(악풍혈)破逐(파축)한다. 四肢不收(사지불수), 賊風(적풍)으로 損傷(손상)된 것 軟腳(연각), 臀腰(둔요), 多年間(다년간) 瘀血(어혈)皮肌(피기)에 있는 것에 主效(주효)가 있으며, 痺濕(비습), 內不足(내부족)()한다.

 

 

 

明目下氣治中風骨節攣急補五勞七傷大明)。

 

明目(명목), 下氣(하기)하고, 中風(중풍)骨節攣急(골절연급)()하고 , 五劳七伤(오로칠상)()한다.

 

 

釀酒飲治風痺四肢攣急蘇頌)。

 

술을 만들어 마시면 風痺(풍비)四肢攣急(사지연급)()한다.

 

 

作末浸酒飲治目僻眼癱 雷斅)。

 

作末浸酒(작말침주)하여 마시면 目僻(목벽), 眼癱(안탄)()한다.

 

 

 

作蔬食去皮膚風濕 (大明)

 

잎을 로 만들어 먹으면 皮膚風濕除去한다.

 

 

 

 

 

 

發明

 

弘景曰煮根莖釀酒飲益人道家用此作灰煮石與地榆並有秘法

 

根莖(근경)()하여 釀酒(양주)하면 사람을 ()한다. 道家(도가)에서는 이것을 燒灰(소회)하여 使用(사용)하고, ()地楡(지유)()하는데 모도 秘法(비법)이 있다.

 

 

慎微曰東華真人煮石經昔有西域真人王屋山人王常云何以得長久何不食石蓄金鹽母何以得長壽何不食石用玉豉玉豉地榆也金鹽五加也皆是煮石而餌得長生之藥也昔孟綽子董士固相與言云寧得一把五加不用金玉滿車

 

 

東華真人(동화진인)煮石經(자석경)에는옛날 西域真人(서역진인), 王屋山(왕옥산)의 사람 王常(왕상)이라는 ()가 있었다. 그는 무엇으로 長久(장구)를 얻겠는가? 어찌 石蓄金鹽母(석축금염모)를 먹지 않겠는가? 이것으로 長壽(장수)를 얻을 것이다. 어찌 ()을 먹고 玉豉(옥시)服用(복용)하지 않겠는가. 玉豉(옥시)地楡(지유)이다. 金鹽(금염)五加(오가)이다. 이것은 모두 ()()하여 먹이로 하고 長生(장생)을 얻는 ()인 것이다. 옛날 孟綽子(맹작자), 董士固(동사고), 相與(상여)하여 말하기를 一把(일파)五加(오가)를 얻으면 金玉滿車(금옥만차)()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寧得一斤地榆不用明月寶珠又昔魯定公母服五加酒以致不死尸解而去張子聲楊建始王叔才于世彥等皆服此酒而房室不絕得壽三百年亦可為散以代湯茶

 

다만 一斤(일근)地楡(지유)를 얻으면 明月寶珠(명월보주)()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또한 옛날 魯定公(노정공)()五加酒(오가주)服用(복용)하여 不死(불사)하였고, 尸解(시해)하여 ()하였다. 張子聲(장자성), 楊建始(양건시), 王叔才(왕숙재), 于世彥(우세언) 등 모두 이술을 服用(복용)하였다. 그렇게 하여 房室不絕(방실부절)하였고, 壽三百年(수삼백년)을 살았다. 또한 ()으로 만들어 湯茶(탕다)를 대신하는 것도 좋다.

 

 

王君云五加者五車星之精也水應五湖人應五德位應五方物應五車故青精入莖則有東方之液白氣入節則有西方之津赤氣入華則有南方之光玄精入根則有北方之飴黃煙入皮則有戊己之靈五神鎮生相轉育成餌之者真仙服之者反嬰

 

王君(왕군)이 말하기를 五加(오가)五車星(오차성)()이다. 물은 五湖(오호)에 따르고 人間(인간)五德(오덕)에 따르며, ()五方(오방)에 따르고, ()五車(오차)에 따른다. 그래서 靑精(청정)()에 들어가면 즉 東方(동방)()이 되고, 白氣(백기)()에 들어가서는 곧 西方(서방)()이 된다. 赤氣(적기)가 꽃에 들어가면 곧 南方(남방)()이 되고, 玄精(현정)()에 들어가면 곧 北方(북방)()가 되며, 黃煙(황연)()에 들어가면 戊己(무기)眞仙(진선)이 된다. 이것을 먹는 ()嬰兒(앵아)로 돌아간다.

 

 

時珍曰五加治風濕痿痺壯筋骨其功良深仙家所述雖若過情蓋獎辭多溢亦常理爾

 

五加(오가)風濕痿痹(풍습위비)()하고 筋骨(근골)壯健(장건)하게 하는데 그 ()良深(양심)한 것이다. 仙家(선가)의 말은 實際(실제)와는 거리가 있는 것 같으나 推獎(추장)의 말인 것이다. 溢味(일미)가 많다는 것은 普通(보통)()이다.

 

造酒之方用五加根皮洗淨去骨亦可以水煎汁和曲釀米酒成時時飲之亦可煮酒飲加遠志為使更良一方加木瓜煮酒服

 

造酒方法(조주방법)五加根皮(오가근피)洗淨(세정)하고, (), (), ()除去(제거)하는 것도 좋다. 물로 煎汁(전즙)하고, ()()하여 쌀로 빚으면 술이 된다. 隨時(수시)로 그것을 마신다. 또한 물로 煮服(자복)하는 것도 좋다. 遠志(원지)()하여 사용하면 더욱 좋다. 어떤 ()에서는 木瓜(모과)()하여 술로 煮服(자복)한다.

 

 

談野翁試驗方神仙煮酒法用五加皮地榆刮去麤皮各一斤袋盛入無灰好酒二斗中大罈封固安大鍋內文武火煮之罈上安米一合米熟為度取出火毒以渣晒乾為丸每旦服五十丸藥酒送下臨臥再服能去風濕壯筋骨順氣化痰添精補髓久服延年益老功難盡述

 

談野翁(담야옹)試驗方(시험방)에는 神仙煮酒(신선자주)方法(방법), 五加皮(오가피), 地楡(지유)를 사용하여 麤皮(추피)刮去(괄거)한 것 () 一斤(일근)()에 가득 담아 無灰好酒(무회호주) 二斗(이두) 속에 넣고, 大罈(대담)으로 封固(봉고)한 다음 大鍋(대과)에 넣어 文武火(문무화)()한다. ()위에 쌀 一合(일합)을 올려 놓고 쌀이 익는 것을 限度(한도)로 하여 火毒(화독)除去(제거)하고, ()曬乾(쇄건)하여 ()을 만들어 () 早朝(조조)五十丸(오십환)服用(복용)하고, 藥酒(약주)送下(송하)하여 就寢時(취침시)再服(재복)한다. 곧잘 風濕(풍습)除去(제거)하고, 筋骨(근골)壯健(장건)하게 하며, 順氣化痰(순기화담)하고 添精补髓(첨정보수)한다. 久服(구복)하면 延年益老(연년익노)한다. ()은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고 하였다.

 

 

王綸醫論風病飲酒能生痰火惟五加一味浸酒日飲數杯最有益諸浸酒藥惟五加與酒相合且味美也

 

王綸(왕륜)醫論(의론)에서는 <風病(풍병)飮酒(음주)하면 곧잘 痰火(담화)를 일으키는데 다만 五加(오가)一味(일미)酒浸(주침)하여 每日(매일) 數盃(수배)를 마시면 가장 ()이 된다. 諸種(제종)酒浸藥(주침약)에서는 다만 五加(오가)만이 ()相合(상합)하고 또한 美味(미미)해진다.>고 하였다.

 

 

附方

 

舊二新六

 

虛勞不足五加皮枸杞根白皮各一斗水一石五斗煮汁七斗分取四斗浸曲一斗以三斗拌飯如常釀酒法待熟任飲。(《千金方》)。

男婦腳氣骨節皮膚腫濕疼痛服此進飲食健氣力不忘事名五加皮丸五加皮四兩酒浸),遠志去心四兩酒浸並春秋三日夏二日冬四日),晒乾為末以浸酒為糊丸梧桐子大每服四五十丸空心溫酒下藥酒壞別用酒為糊。(薩謙齋瑞竹堂方》)。

小兒行遲三歲不能行者用此便走五加皮五錢牛膝木瓜二錢半為末每服五分米飲入酒二三點調服。(《全幼心鑒》)。

婦人血勞憔悴困倦喘滿虛煩吸吸少氣發熱多汗口乾舌澀不思飲食名血風勞

油煎散用五加皮牡丹皮赤芍藥當歸各一兩為末每用一錢水一盞用青錢一文蘸油入藥煎七分溫服常服能肥婦人。(《太平惠民和劑局方》)。

五勞七傷五月五日采五加莖七月七日採葉九月九日取根治下篩每酒服方寸匕日三服久服去風勞。(《千金》)。

目中息肉五加皮不聞水聲者搗末一升和酒二升浸七日一日服二次禁醋

二七日遍身生瘡是毒出不出以生熟湯浴之取瘡愈。(《千金方》)。

服石毒發或熱不禁多向冷地臥五加皮二兩水四升煮二升半發時便服。(《外台秘要》)。

火灶丹毒從兩腳起赤如火燒五加根葉燒灰五兩取 鐵家槽中水和塗之。(楊氏產乳》)。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