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28. 22:10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회조(灰藋)[본초강목]
좀명아주/회조(灰藋)
좀명아주
이명 : [좀능쟁이] [청능쟁이]
학명 :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분류군 : Chenopodiaceae(명아주과)
일명 : コアカザ(Ko-akaza)
영명 : Goosefoot
잎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긴 타원형 또는 삼각상 좁은 난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길이 2-5cm, 폭1-3cm로서 가장자리에 깊은 파상의 톱니가 있으나 가장 밑의 톱니는 열편과 비슷하고 엽병이 있다.
열매
열매는 포과로서 뒷면에 능선이 있는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1개의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꽃
7월에 수상화서가 모여서 원추화서를 형성하며 많은 양성의 녹색 소화가 달리고 꽃받침잎과 수술은 각각 5개이며 꽃잎과 소포는 없고 암술대는 2개이다.
줄기
높이 30-60cm이고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이 백분으로 덮여 있다.
원산지
유럽원산
분포
▶중국,일본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1년생 초본
크기
높이 30-60cm.
생육 환경
길가나 빈터, 논-밭 주변과 들의 황폐한 곳 등 낮은 지대에서 흔히 자란다.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유사종
▶명아주(C.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상 난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 어린 잎은 홍자색의 가루가 붙어있다.
▶참명아주(C. koraiense Nakai): 잎은 삼각상 난형, 난상 타원형, 길이 1-4㎝,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 모양의 톱니, 흰색 가루로 덮인다.
▶버들명아주(C. virgatum Thunb.): 잎은 다소 두껍고, 피침형, 난상 원형, 길이 1-4㎝, 어릴 때 뒷면에 흰 가루 같은 돌기가 밀생한다.
학명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Fl. Brit. 1 : 276
1. Chenopodium serotinum L.
Cent. Pl. 2 : 12 (1756)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좀명아주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4)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좀능쟁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청능쟁이
1)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Goosefoot
일본명
コアカザ
Chenopodium ficifolium Sm.
Fl. Brit. i. 276.
i. 276. 0
Links:
hybridparent of:Chenopodiaceae Chenopodium × jedlickae F.Dvořák Feddes Repert. 97(11-12): 780. 1986
hybridparent of:Chenopodiaceae Chenopodium × smardae F.Dvořák Feddes Repert. 97(11-12): 787. 1986
hybridparent of:Chenopodiaceae Chenopodium × jehlikii F.Dvořák Feddes Repert. 97(11-12): 787. 1986
hybridparent of:Chenopodiaceae Chenopodium × humiliforme (Murr) F.Dvořák Feddes Repert. 97(11-12): 783. 1986
Original Data:
Notes: Europ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소려(小藜)
Chenopodium ficifolium Sm.
이명(异名)
Anserina ficifolia (Sm.) Montandon
Chenopodium blomianum Aellen
Chenopodium ficifolium subsp. blomianum (Aellen) Aellen
Chenopodium ficifolium var. albovenosum F.Dvorák
Chenopodium ficifolium var. coronatum Beauge
Chenopodium ficifolium var. rubescens (Aellen) F.Dvorák
Chenopodium ficifolium var. subcymosum (Aellen) F.Dvorák
Chenopodium filifolium Krock.
Chenopodium populifolium Moq.
소려(小藜)
Herbs annual, 20-50 cm tall. Stem erect, green striate, ribbed. Leaf blade ovate-oblong, 2.5-5 × 1-3.5 cm, margin usually 3-lobed; central lobe margins almost parallel, subentire to sinuate-dentate, apex obtuse or subacute, mucronate; lateral lobes positioned in proximal 1/3 or near base of leaf blade, margin entire or shallowly dentate. Flowers bisexual, several per glomerule, these arranged in spreading, terminal panicles on upper branches. Perianth subglobose, 5-parted; segments valvate in bud, remaining closed at anthesis, broadly ovate, abaxially longitudinally keeled, densely farinose. Stamens 5, exserted at anthesis. Stigmas 2, filiform. Utricle included in perianth, falling together with it from plant; pericarp adnate to seed. Seed horizontal, black, sublustrous, ca. 1 mm in diam., distinctly hexagonally pitted, rim margin subobtuse; embryo annular. Fl. Apr-May.Common weed of waste places, garbage dumps, roadsides, etc. Anhui, Chongqing, Fujian, Gansu, Guangdong, Guangxi, Guizhou, Hainan, Hebei, Heilongjiang, Henan, Hubei, Hunan, Jiangsu, Jiangxi, Jilin, Liaoning, Nei Mongol, Ningxia, Qinghai, Shaanxi, Shandong, Shanxi, Sichuan, Taiwan, Xinjiang, Yunnan, Zhejiang [Asia, Europe; naturalized in North America and some other regions of the world].
Chenopodium ficifolium is represented in China by two subspecies: subsp. ficifolium and subsp. blomianum (Aellen) Aellen (Hegi, Ill. Fl. Mitt.-Eur., ed. 2, 3(2): 624. 1960; C. blomianum Aellen, Bot. Not. 1928: 203. 1928). The latter differs from the typical subspecies in having leaf blades with an often shorter middle lobe and less prominent lateral lobes, and seeds with shallower and less evident pits and a sinuous rim margin. It is distributed from Iraq to S and SE Asia. However, the typical subspecies also occurs within the range of subsp. blomianum. Both subspecies are variable, and several varieties have been described.Chenopodium ficifolium occasionally hybridizes with other species of C. sect. Chenopodium.The name Chenopodium serotinum Linnaeus has often been misapplied to this species but in fact refers to a species of Atriplex.
형태특정(形态特征)
一年生草本,高20-50厘米。茎直立,具条棱及绿色色条。叶片卵状矩圆形,长2.5-5厘米,宽1-3.5厘米,通常三浅裂;中裂片两边近平行,先端钝或急尖并具短尖头,边缘具深波状锯齿;侧裂片位于中
部以下,通常各具2浅裂齿。花两性,数个团集,排列于上部的枝上形成较开展的顶生圆锥状花序;花被近球形,5深裂,裂片宽卵形,不开展,背面具微纵隆脊并有密粉;雄蕊5,开花时外伸;柱头2,丝形。胞果包在花被内,果皮与种子贴生。种子双凸镜状,黑色,有光泽,直径约1毫米,边缘微钝,表面具六角形细洼;胚环形。4-5月开始开花。
^^^^^^^^^^^^^^^^^^^^^^^^^^^^^^^^^^^^^^^^^^^^^^^^^^^^^^^^^^^^^^^^^^^^^^^^^
灰藋
(宋《嘉祐》)
【校正】
原自草部移入穀部,今複移入此。
【釋名】
灰滌菜(《綱目》)、金鎖夭。
灰滌菜(회척채), 金鎖夭(금쇄요)
時珍曰︰此菜莖葉上有細灰如沙,而枝葉翹趯,故名。梁簡文帝《勸醫文》作灰?菜,俗訛為灰條菜。《雷公炮炙論》謂之金鎖夭。
이 菜(채)는 莖(경), 葉上(엽상)에 沙(사)와 같은 細灰(세회)가 있고, 枝葉(지엽)이 翹趯(교적)하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 붙여진 것이다. 梁(양)의 簡文帝(간문제)의 勸醫文(권의문)에는 灰?菜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俗稱(속칭) 灰條菜(회조채)라고 한다. 雷公炮炙论(뇌공포자론)에는 金鎖夭(금쇄요)라고 한다.
【集解】
藏器曰︰灰藋生於熟地。葉心有白粉,似藜。但藜心赤莖大,堪為杖,入藥不如白 也。其子炊為飯,香滑。
時珍曰︰灰藋,處處原野有之。四月生苗,莖有紫紅線棱。葉尖有刻,面青背白。莖心、嫩葉背面皆有白灰。為蔬亦佳。五月漸老,高者數尺。七、八月開細白花。結實簇簇如球,中有細子,蒸曝取仁,可炊飯及磨粉食。《救荒本草》云︰結子成穗者味甘,散穗者微苦,生牆下、樹下者不可用。
【修治】
雷斅曰︰灰藋即金鎖夭,葉撲蔓翠上,往往有金星,堪用。若白青色者,是妓女莖,不中用也。若使金鎖夭,莖高二尺五、六寸為妙。若長若短,皆不中使。凡用勿令犯水,去根晒乾,以布拭去肉毛令盡,細銼,焙乾用之。
灰藋(회조), 즉 金鎖夭(금쇄요) 葉(엽)은 蔓翠(만취)를 撲(박)하여 金星(금성)이 있는 것은 사용할 수 있다. 靑白色(청백색)인 것은 妓女莖(기녀경)이라 하는 것인데 쓸수 없다. 金鎖夭(금쇄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莖高(경고)가 이척오~육촌인 것이 좋다. 過長過短(과장과단)한 것은 모두 사용할 수 없다. 대개 이것을 사용할 때에는 물에 닿게 해서는 안된다. 去根(거근)하고, 日光(일광)에 乾(건)하여 천으로 닦아 肉毛(육모)를 完全(완전)히 除去(제거)하고 細銼焙乾(세좌배건)한 다음 사용한다.
時珍曰︰妓女莖即地膚子苗,與灰 莖相似而葉不同,亦可為蔬。 詳見本條。
妓女莖(기녀경) 즉 地膚子(지부자) 苗(묘)인데 灰藋(회조)와 莖(경)은 같으나 잎은 같지 않다. 이것도 역이 蔬(소)가 된다. 상세한 것은 本條(본조)에 記載(기재)되어 있다.
莖葉
【氣味】
甘,平,無毒。
【主治】
惡瘡,蟲、蠶、蜘蛛等咬,搗爛和油敷之。亦可煮食。作湯,浴疥癬風瘙。燒灰納齒孔中,殺蟲。含漱,去甘瘡。以灰淋汁,蝕息肉,除白癜風、黑子、面䵟,著肉作瘡(藏器)。
惡瘡(악창), 蟲(충), 蠶(잠), 蜘蛛(지주)등의 咬傷(교상)에 搗爛油化(도란유화)하여 傅(부)한다. 또한 煮食(자식)하는 것도 좋다. 疥癬(개선), 風瘙(풍소)에는 煎湯(전탕)하여 浴(욕)한다. 燒灰(소회)를 齒孔(치공) 속에 넣으면 蟲齒(충치)를 殺(살)한다. 含漱(함수)하면 疳瘡(감창)을 除去(제거)한다. 灰(회)의 淋汁(임즙)으로 息肉(식육)을 蝕(식)하고, 白癜風(백전풍), 黑子(흑자), 面䵟(면간)을 除去(제거)한다. 肉(육)에 묻으면 瘡(창)이 된다.
【附方】
新一。
疔瘡惡腫︰野灰 菜葉燒灰,撥破瘡皮,唾調少許點之,血出為度。(《普濟》)
子仁
【氣味】
甘,平,無毒。
【主治】
炊飯磨面食,殺三蟲(藏器)。
炊飯(취반), 또는 磨面(마면)하여 먹으면 三蟲(삼충)을 殺(살)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향(丁香)[본초강목] (0) | 2022.01.10 |
---|---|
오구목(烏臼木)[본초강목] (0) | 2022.01.09 |
목천료(木天蓼)[본초강목] (0) | 2021.12.28 |
미후도(獼猴桃)[본초강목] (0) | 2021.12.28 |
유피(楡皮)[본초강목] (0) | 202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