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黄芩)[본경/동의보감]

2021. 3. 30. 13:15[신농본초경]/중경(中經)

황금(黄芩)[본경/동의보감]

 

 

 

황금

 

 

 

이명:[속썩은풀] [골무꽃]

학명: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분류군:Labiatae(꿀풀과)

일명:コガネバナ(Kogane-bana)

영명:Baikal Skullcap

漢名:黃芩(누를 황, 풀이름 금)

 

잎은 대생하며 양끝이 좁고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2mm정도이고 밑부분의 잎은 길이 4.5cm, 나비 8mm이지만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열매

수과로서 다소 구형(球形)이며 꽃받침안에 들어가 있다.

 

꽃은 자색으로 7~8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화서에 잎이 있으며 각 엽액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2개로 갈라지며 뒤쪽에 돌기가 있고 꽃이 진 다음 젖혀진다. 화통은 길이 2.5cm정도로서 밑부분이 굽고 윗부분이 2개로 갈라지며 뒤의 열편은 투구형이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측열편과 거의 합쳐지고 첫째 열편은 퍼지며 자주색이다. 화관은 통상 순형이며 개구(開口)한다. 2강수술이 있으며 화주는 고르지 않게 둘로 갈라진다.

 

줄기

높이가 6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있고 원줄기는 네모가 지며 한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올라간다.

 

뿌리

황금(黃芩)이라 하며 이명(異名)은 편금(片芩), 고금(枯芩), 조금(條芩)이다.

 

원산지

중국 원산이다.

 

분포

중국의 하동, 산동, 사천 및 동시베리아, 몽고,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재배하고 있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60cm이다.

 

 

 

 

생육 환경

토질은 배수가 잘 되고 햇볕이 잘 드는 모래참흙으로서 겉흙이 깊을수록 좋으며, 땅에 습기가 너무 많거나 굳은 땅에는 뿌리의 성장이 좋지 못할 뿐 아니라 썩는 수도 있다. 원래 야생적이므로 비옥하지 않은 땅에서도 재배가 쉽다.

광선

양생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번식방법

대개 씨앗으로 번식하나, 때로는 묘두로서도 번식한다.

묘두 식부법: 가을의 수확시에 뿌리의 머리 부분을 약간 붙여서 끊은 후 습기 있는 땅에 묻어 두었다가 봄에 심는 것으로 씨앗이 많이 생산되므로 씨받기의 용도로 이용되는 방법이다.

파종법: 2~3년생의 발육이 좋은 포기에서 받은 씨앗을 쓴다.

직파법: 파종 시기는 봄 또는 가을이다. 봄 파종은 해동 직후 즉 3월 중순~5월 상순이고, 가을 파종은 10월부터 땅이 얼기전까지이다.

재배특성

황금은 대개 씨앗으로 번식하나, 때로는 묘두로서도 번식한다. 묘두 식부법은 가을의 수확시에 뿌리의 머리 부분을 약간 붙여서 끊은 후 습기 있는 땅에 묻어 두었다가 봄에 심는 것으로 씨앗이 많이 생산되므로 씨받기의 용도로 이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 재배에서는 파종법을 이용한다. 파종법은 2~3년생의 발육이 좋은 포기에서 받은 씨앗을 쓴다.

육묘이식법

봄파종은 3월 중순, 가을 파종은 10월 하순경에 씨를 뿌린다. 봄 파종의 모판 면적은 10a50, 가을 파종은 100가 소용된다. 파종후에는 0.6cm정도로 흙을 덮고 씨앗이 싹틀 때까지 짚을 덮어 모판면에 항상 습기가 있도록 하면 2주일 정도만에 싹이 튼다. 풀이 나면 뽑아 주고, 모가 활착하여 클 때 또는 모가 싹이 터서 크기 시작할 때와 그 후의 적당한 시기에 두어번 덧거름으로 복합비료 30kg을 시비한다.

직파법

파종시기는 봄 또는 가을이다. 봄 파종은 해동 직후 즉 3월 중순~5월 상순이고, 가을 파종은 10월부터 땅이 얼기전까지이다. 그런데 10월 하순경에 파종한 것은 이듬해 4월에 일제히 싹이 터서 봄의 해동직후 파종한 것보다 15일 정도 싹틈이 빠르고 발아율도 좋았다는 시험 결과도 있다. 근래에 와서는 당년생을 수확하는 수가 많은데, 이때에는 15~16cm간격으로 골을 치고 씨를 뿌린다. 수량을 많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소 밀파하는 것이 좋다.

파종기

3, 4, 5, 10

 

이용방안

 

어린 순은 식용 한다.

()黃芩(황금), 종자는 黃芩子(황금자)라 하며 약용한다.

 

黃芩(황금)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3-4년 자란 그루를 골라서 뿌리를 캐어 햇볕에 반건조후 코르크를 두드려 제거하고 다시 완전히 말린다.

 

성분 : 황금의 뿌리는 baicalein, baicalin, wogonin, wogonoside neobaicalein을 함유하며 다시 安息香酸(안식향산), β-sitosterol 등을 포함한다. 莖葉(경엽) 속에는

scutellarein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實火(실화)()하고 濕熱(습열)을 제거하며 止血(지혈), 安胎(안태)의 효능이

있다. 壯熱(장열)에 의한 煩渴(번갈), 肺熱咳嗽(폐열해수), 濕熱(습열)에 의한 瀉痢(사리),

, 熱淋(열림), 吐氣(토기), 鼻出血(비출혈), 자궁출혈, 滑精(골정), 目赤腫痛(목적종통), 胎動

不安(태동불안), (옹종정창)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외용> 달인 ()으로 씻던가 또는 가루를 만들어 살포한다.

 

黃芩子(황금자) - 장벽농혈을 치료한다. 5-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유사종

골무꽃(S. indica)

 

병충해정보

障害(장해)가 되는 병충해는 거의 없다. 토지에 따라서 물빠짐이 좋지 않은 곳이나,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 죽는 그루가 발생하는 일이 있으나 그 피해는 적다. 따라서 물빠짐이 좋게하도록 하고 바람이 잘 통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학명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Reise russ. Reich 1 : 223 (Bemerk., 1775)

1. Scutellaria adamsii A.Ham.

Monogr. Scutell. 34 (1832)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2. Scutellaria grandiflora Adams ex Bunge

Mem. Sav. Etr. Acad. Petersb. 2 : 52 (183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Scutellaria lanceolaria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2 : 110 (186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Scutellaria macrantha Fisch. ex Rchb.

Icon. Bot. Pl. Crit. 5 : 52 (182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Scutellaria speciosa Fisch. ex Turcz.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11 : 416 (183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황금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골무꽃

1) 한조식물명칭사전 (한진건, 장굉문, 왕용, 풍지원, 1982)

2. 속썩은풀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영문명 : Baikal Skullcap

일본명 : コガネバナ

북한명 : 속썩은풀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Reise i. 223.

i. 223. 0

Original Data:

Notes: Sibir.; As. o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황금(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이명(异名)

 

Scutellaria lanceolaria Miq.

Scutellaria macrantha Fisch.

Scutellaria baicalensis f. albiflora H.W.Jen & Y.J.Chang

Scutellaria davurica Pall. ex Ledeb.

 

 

多年生草本根状茎肥厚粗达2厘米伸长茎基部伏地上升(15) 30-120厘米近无毛或被上曲至开展的微柔毛叶具短柄披针形至条状披针形1.5-4.5厘米两面无毛或疏被微柔毛下面密被下陷的腺点花序顶生总状7-15厘米常再于茎顶聚成圆锥状苞片下部者似叶上部者远较小卵状披针形花萼长4毫米盾片高1.5毫米果时十分增大花冠紫色紫红色至蓝紫色2.3-3厘米筒近基部明显膝曲下唇中裂片三角状卵圆形小坚果卵球形具瘤腹面近基部具果脐

 

分布于北方各省区朝鲜苏联蒙古日本也有生向阳草坡地及休荒地上根状茎药用解热消炎茎代茶称芩茶

 

 

 

&&&&&&&&&&&&&&&&&&&&&&&&&&&&&&&&&&&&&&&&&&&&&&&

 

전황금(滇黄芩) 황금(黄芩)

 

 

 

 

 

전황금(滇黄芩)

Scutellaria amoena C. H. Wright

 

이명(异名)

 

Scutellaria purpureo-coerulea Pax et K. Hoffm.

 

 

 

多年生直立草本根状茎近垂直或斜行肥厚径达11毫米或以上茎高12-26(35厘米沿棱上被倒向或近开展的微柔毛至疏柔毛叶具短柄矩圆状卵形或矩圆形1.4-3.3厘米0.7-1.4厘米两面疏被微柔毛至几无毛花对生排列成长5-14厘米顶生的总状花序苞片披针状矩圆形5-10毫米花萼长约3毫米盾片高约1毫米果时增大花冠紫色或蓝紫色2.4-3厘米花冠筒近基部前方微囊大明显膝曲状下唇中裂片近圆形雄蕊4二强花盘肥厚前方隆起小坚果卵球形具瘤腹面近基部具一果脐

 

分布于云南中南部中部及西北部四川南部及贵州西北部生松林下

 

海拔1300-3000根状茎入药功用同黄芩

 

 

 

Scutellaria amoena Wright

Bull. Misc. Inform. Kew 1896, 164.

1896, 164. 0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IPNI

 

&&&&&&&&&&&&&&&&&&&&&&&&&&&&&&&&&&&&&&&&&&&&&&&&

 

 

점모황금(粘毛黄芩) 황금(黄芩)

 

 

 

 

 

粘毛黄芩(점모황금)

Scutellaria viscidula Bunge

 

多年生直立或上升草本根状茎直生或斜行粗可达1.8厘米茎高8-24厘米被或疏或密倒向或有时近平展具腺短柔毛多分枝叶近无柄披针形至条状矩圆形1.5-3.2厘米2.5-8毫米上面近无毛下面被或疏或密短柔毛两面均有多数黄色腺点花序顶生总状4-7厘米苞片椭圆形至椭圆状卵形与序轴均密被具腺短柔毛花萼及盾片果时均增大花冠黄白色或白色2.2-2.5厘米花冠筒近基部明显膝曲下唇中裂片近圆形小坚果卵球形具瘤腹面近基部具果脐

 

分布于山西北部内蒙古河北北部及山东生沙砾地荒地或草坡海拔700-1400

 

 

Scutellaria viscidula Bunge

Enum. Pl. Chin. Bor. 52. 1833 [Mar 1833]

52. 1833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IPNI

 

&&&&&&&&&&&&&&&&&&&&&&&&&&&&&&&&&&&&&&&&&&&&&&&&&&&&&&&&&

 

려강황금(丽江黄芩)/황금(黄芩)

 

 

 

 

 

려강황금(丽江黄芩)

Scutellaria likiangensis Diels

 

 

多年生直立草本根状茎横行或斜行2-12毫米茎高20-36厘米被倒向小疏柔毛叶近无柄椭圆状卵形或椭圆形上面被稀疏紧贴小疏柔毛或几无毛下面密被腺点沿脉网疏被小疏柔毛花对生于茎顶排列成长6.5-12厘米的总状花序苞片披针状卵形花萼长3毫米盾片半圆形1.5毫米果时增大花冠黄白黄至绿黄色常带紫斑2.6-3厘米花冠筒近基部前方囊状膨大几成直角膝曲下唇中裂片近圆形小坚果卵圆形具瘤腹面中央具一果脐

 

产云南西北部生灌丛草坡或松林下海拔2500-3100根状茎入药功用同黄茶

 

 

 

 

Scutellaria likiangensis Diels

Notes Roy. Bot. Gard. Edinburgh 5: 239. 1912

5: 239 1912

Original Data:

Notes: China (Yunnan)

 

 

 

 

출처:IPNI

 

^^^^^^^^^^^^^^^^^^^^^^^^^^^^^^^^^^^^^^^^^^^^^^^^^^^^^^^^^^^^^^^^^^^^^

 

 

 

黃芩

 

味苦平

 

主諸熱黃疽腸澼洩利逐水下血閉惡創恆蝕火瘍一名腐腸生川谷

 

吳普黃芩一名黃文一名妒婦一名虹勝一名紅芩一名印頭一名內虛神農桐君黃帝雷公扁鵲苦無毒李氏小溫二月生赤黃葉兩兩四四相值莖空中或方員高三四尺四月花紫紅赤五月實黑根黃二月至九月採。(《御覽》)

名醫一名空腸一名內虛一名黃文一名經芩一名妒婦生秭歸及冤句三月三日採根陰乾

說文:(上艹下金),上艹下金。《廣雅:(上艹下妊黃文內虛黃芩也。《范子計然黃芩出三輔色黃者

 

 

 

[本經/中經]

 

 

^^^^^^^^^^^^^^^^^^^^^^^^^^^^^^^^^^^^^^^^^^^^^^^^^^^^^^^^^^^^^^^^^^^^

 

黃芩

 

황금(黃芩)

 

 

속서근플性寒味苦無毒

 

()은 한()하고 미()는 고()하며 무독(無毒)하다.

 

 

 

治熱毒骨蒸寒熱往來解熱渴療黃疸腸抌泄痢痰熱胃熱利小腸治乳癰發背惡瘡及天行熱疾

 

열독(熱毒), 골증(骨蒸), 한열왕래(寒熱往來), 열갈(熱渴)을 치()하고, 황달(黃疸), 장위불리(腸胃不利), 설리(泄痢), 담열(痰熱), 위열(胃熱)을 치료(治療)하며, 소장(小腸)을 이()하고, 유옹(乳癰), 발배(發背), 악창(惡瘡) 및 천행열질(天行熱疾)을 치()한다.

 


生原野隧處有之三月三日一云二月八月採根暴乾其腹中皆爛故一名腐腸惟取深色堅實者爲好圓者名子芩破者名宿芩本草


들과 벌판에 나는데 곳곳에서 다 자란다. 삼월(三月) 삼일(三日)이나 이월(二月), 팔월(八月)에 채근(採根)하여 폭건(暴乾)한다. 그 복중(腹中)이 모두 문드러진 것을 일명(一名) 부장(腐腸)이라고도 한다. 색이 진하고 속이 비지 않고 단단한 것이 좋다. 둥근 것은 자금(子芩)이라 하고 파()한 것은 숙금(宿芩)이라 한다[본초].

 


中枯而飄故能瀉肺中之火消痰利氣入手太陰經細實而堅者治下部瀉大腸火入水而沈入藥酒炒上行便炒下行尋常生用入門


속이 마르고 퍼석퍼석하기() 때문에 폐()중의 화()를 능()히 사()하고, 소담(消痰), 이기(利氣)한다. 수태음경(手太陰經)에 들어가며 세실(細實)하고, ()한 것은 하부(下部)를 치()하고, 대장(大腸)의 화()를 사()한다. 물에 넣어서 가라앉는 것을 약에 쓴다. 주초(酒炒)하면 상행(上行)하고, 변초(便炒)하면 하행(下行)한다. 보통 때는 생것을 쓴다[입문].

 

@

 

황금자(黃芩子)

 

 

主腸抌下膿血入門

 

장벽하농혈(腸澼下膿血)에 주효(主效)하다.[입문].

 

 

[동의보감(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중경(中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란(澤蘭)[본경/동의보감]  (0) 2021.04.08
수소(水蘇)[본경]  (0) 2021.03.30
자삼(紫參)[본경]]  (0) 2021.03.28
여완(女菀)[본경]  (0) 2021.03.20
관동화(款冬花)[본경/동의보감]  (0) 2021.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