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水蘇)[본경]

2021. 3. 30. 16:58[신농본초경]/중경(中經)

수소(水蘇)[본경]

 

 

털석잠풀/수소(水蘇)

 

 

 

털석잠풀

 

이명:[개배암배추] [거센털석잠풀] [털뱀배추] [좀털석잠풀]

학명:Stachys japonica var. villosa (Kudo) Ohwi

분류군:Labiatae(꿀풀과)

일명: エゾイヌゴマ(Ezo-inu-goma)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또는 원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길이 4-8cm, 1-2.5cm이지만 점차 작아지고 엽병은 길이 5-15mm이다.

 

꽃은 6-9월에 피며 길이 12-15mm로서 연한 홍색이고 마디사이에서 윤생하며 꽃받침은 길이 6-8mm로서 밑부분에 털이 약간 있고 열편은 가시처럼 뾰족하며 통부보다 짧다. 수술은 4개로서 그 중에 2개가 길다.

 

줄기

전체에 털이 많다. 마디의 백색털 이외에는 털이 없고 둔하게 네모가 진다.

 

뿌리

백색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 30-60cm

 

 

 

 

생육 환경

양지에서 자란다.

특징

전체에 털이 많다.

 

 

 

 

 

 

 

학명 Stachys japonica var. villosa (Kudo) Ohwi

Fl. Japan 1008 (1953)

1. Stachys japonica for. villosa Kudo

J. Coll. Sci. Imp. Univ. Tokyo 48-8 : 31 (192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Stachys riederi var. hispida (Ledeb.) Hara

Bot. Mag. (Tokyo) 51 : 144 (193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Stachys riederi var. villosa (Kudo) Kitam.

Acta Phytotax. Geobot. 17 : 10 (195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털석잠풀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개배암배추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거센털석잠풀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3. 좀털석잠풀

1) 한조식물명칭사전 (한진건, 장굉문, 왕용, 풍지원, 1982)

4. 털뱀배추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영문명 :

일본명 :エゾイヌゴマ

북한명 :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모수소(毛水苏)

Stachys baicalensis Fisch. ex Benth.

 

 

이명(异名)

 

Stachys japonica f. villosa Kudo

Stachys palustris var. hispida Ledeb.

Stachys aspera var. baicalensis (Fisch. ex Benth.) Maxim.

Stachys ringens Oett.

Stachys baicalensis var. hispida (Ledeb.) Nakai

Stachys riederi var. hispida (Ledeb.) H. Hara

 

多年生直立草本茎高50-100厘米在棱及节上密被倒向至平伸的刚毛茎叶矩圆状条形4-11厘米0.7-1.5厘米两面疏生刚毛叶柄长1-2毫米或近于无柄轮伞花序通常6多数于茎上部排列成假穗状花序小苞片条形刺尖具刚毛花萼钟状连齿长9毫米外面沿肋上及齿缘密被柔毛状具节刚毛10齿5披针状三角形具刺尖花冠淡紫色至紫色长达1.5厘米花冠筒内具毛环檐部二唇形上唇直立下唇3中裂片近圆形小坚果卵球形

 

 

分布于东北内蒙古山东山西陕西苏联西伯利亚和远东地区也有生湿草地及河岸上海拔450-1670

 

 

Stachys baicalensis Fisch. ex Benth.

Labiat. Gen. Spec. 543. 1834 [Jul 1834]

543 1834

Links:

basionym of:Lamiaceae Stachys aspera Michx. subsp. baicalensis (Fisch. ex Benth.) Krestovsk. Turczaninowia 7(4): 20. 2004 [28 Dec 2004]

 

 

&&&&&&&&&&&&&&&&&&&&&&&&&&&&&&&&&&&&&&&&&&&&&&&&&&&&&&&&&

 

 

석잠풀/수소(水蘇)

 

 

 

 

 

석잠풀

 

이명:[배암배추] [뱀배추] [민석잠풀]

학명:Stachys japonica Miq.

분류군:Labiatae(꿀풀과)

일명:ケナシイヌゴマ(Kenashi-inu-goma). Chosen-inu-goma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 부분은 절저 또는 원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길이 4~8cm, 폭은 1~2.5cm이지만 점차 작아지고 엽병은 길이가 5~15mm이다.

 

열매

수과이며, 2~3분과는 모과 있는 구형으로 숙존악 밑에 있다.

 

꽃은 6-9월에 피며 길이 12-15mm로서 연한 홍색이고 마디사이에서 윤생한다.꽃받침은 종형이며 길이 6-8mm로서 밑부분에 털이 약간 있고 열편은 가시처럼 뾰족하며 통부보다 짧다. 화관은 통 모양이고 끝 부분은 순형이다. 상순은 원형이고 하순은 3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흰색에 가까운 엷은 홍색이 난다. 수술은 4개인데 그 중 2개는 길다.

 

줄기

높이 30-60cm이고 마디의 백색 털 이외에는 털이 없고 둔하게 네모가 진다.

 

뿌리

백색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벋고, 마디 부분에서 잔뿌리가 여러 개가 내린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소련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크기

높이 30~60cm이다.

 

 

 

 

 

 

생육 환경

습기가 있는 축축한 점질토나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충분한 광선을 요하며,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생육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습윤

/번식방법

분주나 실생으로 행한다.

재배특성

충분히 관수 관리한다. 환경내성, 이식성은 보통이다.

결실기

9, 10

 

이용방안

 

어린 순은 식용한다.

양봉의 밀원으로도 좋으며, 습기가 있는정원에 심어 관상한다.

() 全草(전초)廣葉水蘇(광엽수소)라 하며 약용한다.

 

봄부터 초겨울에 걸쳐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한다.

 

성분 : 全草(전초)에는 caffeic acid, 4-o-caffeoyl-quinic acid, chorogenic acid, 3

종의 flavonoid7-methoxy baicalein, palustrine, palustrinoside가 함유되어 있다.

밖에 saponin도 함유되어 있다.

 

약효 : 淸熱(청열), 化痰(화담), 抗菌(항균),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風熱咳嗽(풍열해

), 咽喉腫痛(인후종통), 百日咳(백일해), 이질, 帶狀疱疹(대상포진)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낸 즙을 바른다.

 

유사종

 

개석잠풀(S. riederi Chamisso var. hispidula Hara) : 원줄기의 능선과 잎 뒷면의 중륵에 밑을 향한 털이 있다.

털석잠풀(S. riederi Chamisso var. hispida Hara) : 전체에 털이 많다.

우단석잠풀(S. palustirs var. imaii Nakai)

 

 

 

 

학명 Stachys japonica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2 : 112 (1865)

1. Stachys aspera var. chinensis for. glabrata Nakai

2. Stachys aspera var. japonica (Miq.) Maxim.

3. Stachys baicalensis var. glrabrata Matsum. & Kudo

4. Stachys baicalensis var. japonica (Miq.) Kom.

5. Stachys japonica for. glabrata Matsum. & Kudo

6.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Miq.) H. Hara

국명 석잠풀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1. 민석잠풀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배암배추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뱀배추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영문명 :

일본명 :ケナシイヌゴマ

 

 

 

 

Stachys japonica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ii. 111.

ii. 111. 0

Links:

basionym of:Lamiaceae Stachys aspera Michx. var. japonica (Miq.) Vorosch. in A.K. Skvortsov (ed.), Florist. issl. v razn. raĭonakh SSSR 189 (1985):.

 

basionym of:Lamiaceae Stachys aspera Michx. subsp. japonica (Miq.) Krestovsk. Turczaninowia 7(4): 21. 2004 [28 Dec 2004]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수소(水苏)

 

Stachys japonica Miq.

 

 

이명(异名)

 

 

Stachys baicalensis var. japonica Kom.

Stachys japonica f. glabrata Matsum. et Kudo

Stachys aspera var. chinensis f. glabrata Nakai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Miq.) H. Hara

Stachys aspera var. japonica (Miq.) Maxim.

 

 

多年生草本具横走根状茎茎高20-80厘米节上具小刚毛茎叶叶片矩圆状宽披针形5-10厘米两面无毛叶柄长3-17毫米近茎基部者最长向上渐短轮伞花序6-8下部者远离上部稍密集排列成长5-13厘米的假穗状花序小苞片刺状微小花萼钟状连齿长达7.5毫米外被具腺微柔毛稀毛贴生或近于无毛10齿5,三角状披针形具刺尖头花冠粉红色或淡红紫色长约1.2厘米筒内具毛环檐部二唇形上唇直立下唇3中裂片近圆形小坚果卵球形无毛

 

分布于辽宁内蒙古河北山东江苏浙江安徽江西福建苏联日本也有生水沟和河旁湿地海拔230米以下全草入药功同紫苏

 

 

&&&&&&&&&&&&&&&&&&&&&&&&&&&&&&&&&&&&&&&&&&&&&&&&&&&&&&&&&

 

화수소(华水苏)/수소(水蘇)

 

 

 

 

화수소(华水苏)

Stachys chinensis Bunge ex Benth.

 

이명(异名)

Stachys chanetii H. Lév.

Stachys aspera var. chinensis (Bunge ex Benth.) Maxim.

Stachys baicalensis var. chinensis (Bunge ex Benth.) Kom.

Stachys aspera subsp. chinensis (Bunge ex Benth.) Krestovsk.

Stachys chinensis var. albiflora C.Y.Li

 

 

多年生直立草本茎高约60厘米在棱及节上疏生倒向柔毛状刚毛其余部分无毛茎叶矩圆状披针形5.5-8.5厘米1-1.5厘米两面几无毛叶柄极短2-5毫米或近于无柄轮伞花序通常6远离而排列成长假穗状花序苞片披针形边缘具刚毛小苞片微小花萼钟状连齿长约1厘米外面沿肋及齿缘疏被柔毛状刚毛10齿5披针形花冠紫色1.5厘米花冠筒内具不明显的毛环檐部二唇形上唇直立下唇3中裂片近圆形小坚果卵圆状三棱形无毛

 

分布于东北内蒙古河北山西陕西甘肃苏联远东地区也有生水沟旁及沙地上海拔达1000

 

 

Stachys chinensis Bunge ex Benth.

Labiat. Gen. Spec. 544. 1834 [Jul 1834]

544 1834

Links:

basionym of:Lamiaceae Stachys aspera Michx. subsp. chinensis (Bunge ex Benth.) Krestovsk. Turczaninowia 7(4): 20 (-21). 2004 [28 Dec 2004]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IPNI

 

 

 

 

^^^^^^^^^^^^^^^^^^^^^^^^^^^^^^^^^^^^^^^^^^^^^^^^^^^^^^^^^^^^^^^^^^^^^^^

 

 

水蘇

 

味辛微溫

 

主下氣闢口臭去毒辟惡久服通神明輕身耐老生池澤

 

吳普蕎蒩一名水蘇一名勞祖(《御覽》)。

名醫一名雞蘇一名勞祖一名芥蒩一名芥苴生九真七月採

說文桂荏也。《廣雅芥蒩水蘇也。《爾雅

郭璞云蘇荏類故名桂荏方言云亦荏也關之東西或謂之蘇或謂之荏週鄭之間謂之公賁沅湘之南謂之上艹下害),其小者謂之艹釀艹釀即香薷也亦名香葇,《名醫別出香薷條今紫蘇薄荷等皆蘇類也,《名醫俱別出之

 

 

[本經/中經]

 

 

'[신농본초경] > 중경(中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위(石韋)[본경/동의보감]  (0) 2021.05.27
택란(澤蘭)[본경/동의보감]  (0) 2021.04.08
황금(黄芩)[본경/동의보감]  (0) 2021.03.30
자삼(紫參)[본경]]  (0) 2021.03.28
여완(女菀)[본경]  (0) 2021.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