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화(款冬花)[본경/동의보감]

2021. 2. 2. 02:00[신농본초경]/중경(中經)

관동화(款冬花)[본경/동의보감]

 

 

 

 

 

^^^^^^^^^^^^^^^^^^^^^^^^^^^^^^^^^^^^^^^^^^^^^^^^^^^^^^^^^^^^^^^^^^^^^^^^

관동화(款冬花)

 

관동화란 겨울 동안을 죽지 않고 지내다가 꽁꽁 언 초원에 싹을 틔우며 얼음을 가르고 나오기 때문에 과동(顆凍)이라고 하였다가 관동(款冬), 또는 관동(款凍)이라고 와전되었다 한다. ()이란 지낸다는 지()의 의미로 겨울을 지내고 꽃을 피운다는 뜻이다. 또한 얼음과 눈을 뚫고 가장 먼저 봄을 알린다하여 찬동(鑽凍)이라고도 하였다. 이 약초는 비록 눈과 얼음 아래에 있지만 때가 이르면 역시 싹을 틔우기 때문에 사람들이 봄이 되면 나물로 채취한다. 약에 사용하는 것은 꽃이 조금만 핀 것이 좋은 것이다. 이미 꽃을 피워 향기가 난다면 모두 효능이 없어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국화과의 머위의 꽃을 대신 사용하지만 이는 다른 식물이다.

 

이 약은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듯하다. [辛甘溫]

 

관동화는 윤폐작용이 있어 진해, 거담, 가래 및 폐결핵, 폐농양에 사용하며 외감성 해수, 천식, 상기도감염증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호흡기 분비물 증가로 진해작용, 호흡흥분과 광조불안, 혈관수축작용, 소아의 급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인후통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꽃봉오리가 꽃대 끝부분에 달려 있으며 불규칙한 막대 모양이다. 꽃대에는 엷은 자색의 비늘 모양의 잎이 붙어 있다. 이 비늘잎은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약 20 매의 포편으로 이루어져 삼각형과 같은 모양을 이루고 있다. 내면은 백색의 솜털이 있고 설상화와 통상화가 들어 있고, 꽃대를 절단하면 백색의 실 모양의 솜털이 있다. 이 약은 모양이 붓과 같고 기부가 회자색이나 청록색으로 꽃대가 짧은 것이어야 한다.

 

관동화는 관동(款冬), 과동(顆凍), 관동(款凍), 토해(菟奚), 동화(冬花), 저동(氐冬), 찬동(鑽凍), 탁오(橐吾), 호수(虎須)라고도 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관동(款冬)

 

Tussilago farfara Linn.

 

이명(异名)

 

Tussilago umbertina Borbás

Cineraria farfara Bernh.

Tussilago alpestris Hegetschw.

Farfara radiata Gilib.

 

 

多年生草本根状茎褐色横生地下早春先抽出花葶数条5-10厘米被白茸毛具互生鳞片状叶10多片淡紫褐色头状花序直径2.5-3厘米顶生总苞片1-2被茸毛边缘有多层雌花舌状黄色子房下位柱头2中央为两性筒状花顶端5雄蕊5,花药基部尾状柱头头状通常不结实瘦果长椭圆形5-10冠毛淡黄色后生出基生叶阔心形3-12厘米4-14厘米边缘有波状顶端增厚的黑褐色的疏齿下面密生白色茸毛具掌状网脉主脉5-9叶柄长5-15厘米被白色绵毛

 

分布于华北西北湖北湖南江西印度伊朗苏联西欧非洲北部也有花蕾和叶能止咳润肺消痰

 

 

Tussilago farfara L.

Sp. Pl. 2: 865. 1753 [1 May 1753]

2: 865 1753

Original Data:

Notes: Europ.; As. bor. occ.; Ind. or

 

 

출처:IPNI

 

 

^^^^^^^^^^^^^^^^^^^^^^^^^^^^^^^^^^^^^^^^^^^^^^^^^^^^^^^^^^^^^^^^^^^^^^^^^^^^^^

 

款冬花

 

味辛溫

 

主欬逆上氣善喘喉痺諸驚癇寒熱邪氣

 

一名橐吾(《御覽作石),一名顆東(《御覽作顆冬),一名虎鬚一名免奚生山谷

 

吳普款冬十二月花黃白。(藝文類聚

名醫一名氏冬生常山及上黨水傍十一月採花陰乾

廣雅苦萃款東也。《爾雅莬奚顆東郭璞云款冬也紫赤華生水中西京雜記云款冬華於嚴冬傳咸款冬賦序曰仲冬之月冰凌積雪款冬獨敷華豔

 

 

[本經/中經]

 

^^^^^^^^^^^^^^^^^^^^^^^^^^^^^^^^^^^^^^^^^^^^^^^^^^^^^^^^^^^^^^^^^^^^^^^^^^^^^^

 

 

款冬花

 

관동화(款冬花)

 

 

性溫味辛甘無毒

 

()은 온()하고 미()는 신(), ()하며 무독(無毒)하다.

 

 

潤肺消痰止嗽治肺浔肺癰吐膿血除煩補勞

 

윤폐(潤肺)하고 소담(消痰), 지수(止嗽)하며, 폐위(肺痿), 폐옹(肺癰)으로 농혈(膿血)하는 토()하는 것을 치()하며, 제번(除煩), 보노(補勞)한다.


根紫色莖靑紫葉似摕穨十一月十二月雪中出花紫赤色


뿌리는 자줏빛이고 줄기는 푸른 자줏빛이며 잎은 비해( )와 비슷하다. 음력 11, 12월에 눈 속에서 붉은 자줏빛의 꽃이 핀다.

 


百草中惟此不顧氷雪最先春氷雪中亦生花十一月採花陰乾或云正月旦採之花半開者良如已芬芳則都無力本草


백초(白草) 가운데서 이 초()만은 빙설(氷雪)을 마다 않고 가장 먼저 봄에 앞선다. 빙설(氷雪) 속에서도 생화(生花)한다. 십일월(十日月)에 채화(採花)하여 음건(陰乾)하거나 정월(正月)의 조조(早朝)에 채화(採花)하는데 반개(半開)한 것이 좋다. 만일 활짝 피면 약의 효과가 전혀 없다[본초].


一名顆冬治嗽之最要者也去枝用入門


일명 과동(顆冬)이라고도 하며 기침을 낫게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약이다. 가지를 버리고 쓴다[입문].

 


本經云生我國今無之俗方


본경(本經/도홍경)에는 우리나라에서 난다 하였는데 지금은 없다[속방].

 

 

 

[동의보감(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중경(中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삼(紫參)[본경]]  (0) 2021.03.28
여완(女菀)[본경]  (0) 2021.03.20
자완(紫菀)[본경/동의보감]  (0) 2021.02.02
창이(蒼耳)[본경/동의보감]  (0) 2020.12.15
부평(浮萍)[본경/동의보감]  (0) 2020.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