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13. 02:48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모호(牡蒿)[본초강목]
제비쑥/모호(牡蒿)
제비쑥
이명 : [가는제비쑥] [자불쑥] [큰제비쑥]
학명 : Artemisia japonica Thunb.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オトコヨモギ(Otoko-yomogi)
영명 : Japanese Wormwood
漢名 : 牡蒿(모호/수컷 모, 쑥호)
잎
잎은 호생하고 쐐기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3.5-8cm, 나비 0.8-3cm로서 양면에 견모가 드문드문 있고 양쪽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윗부분이 결각상으로 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중앙부의 잎은 여러 가지이지만 길이 4-8cm로서 밑부분에 탁엽이 달려 있는 것같으며 주걱형 비슷한 쐐기형으로서 우시부분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거나 도는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선형으로 된다.
열매
수과는 길이 0.8mm이며 털이 없다.
꽃
꽃은 7~9월에 피며 길이 2mm, 지름 1.5mm로서 난상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윤채(潤彩)가 있으며 황록색이고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0.5~3mm이다. 총포는 털이 없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난형 둔두이고 내편은 타원형 원두로서 모두 뒷면에 능선이 있다. 암꽃은 8~11개이며 양성화는 5~6개이다.
줄기
높이 30-90cm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우리나라 전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약 30~90cm이다.
생육 환경
산지에서 흔히 자란다.
꽃/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全草는 牡蒿(모호), 根은 牡蒿根(모호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牡蒿(모호)
①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는 精油(정유)를 함유하며 그 속에는 copaene, farnesyl acetate, caryophyllene, tricyclovetivene, β-humulene, ε-,δ-,γ-cadinene이 있다. 이 밖에 α-, β-pinene, camphene, limonene, 1,8-cineole, α-thujone, artemisia ketone, artemisia alcohol 및 β-bourbonene을 함유한다.
③약효 : 解表(해표), 淸熱(청열), 살충의 효능이 있다. 감기로 인한 身熱(신열), 노상으로 인한 咳嗽(해수), 潮熱(조열-매일 一定時(일정시)의 發熱(발열)), 소아의 疳(감)으로 인한 熱(열), 말라리아, 口瘡(구창-口內炎(구내염)), 疥癬(개선), 濕疹(습진)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5-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 낸 즙을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⑵牡蒿根(모호근) - 류머티즘으로 인한 痺痛(비통), 寒濕浮腫(한습부종)을 치료한다.
유사종
더위지기, 사철쑥, 개똥쑥 등이 있다.
학명 Artemisia japonica Thunb.
Fl. jap. 310 (1784)
1. Artemisia japonica f. manshurica Kom.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 656 (190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Artemisia japonica var. manshurica (Kom.) Kitag.
Neolin. Fl. Manshur. 617 (Kitag., 19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Artemisia japonica var. myriocephala Pamp.
Nuovo Giorn. Bot. Ital. 34: 665 (192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Artemisia manshurica (Kom.) Kom.
Key Pl. Far East. Reg. URSS 2: 1035 (Kom. & Aliss., 193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Artemisia subintegra Kitam.
Florula Yamag. 99 (Yuki, 193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Chrysanthemum japonicum Thunb.
Fl. jap. 321 (178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제비쑥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4)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가는제비쑥
2. 자불쑥
3. 큰제비쑥
영문명 : Japanese Wormwood
일본명 : オトコヨモギ
북한명 : 제비쑥
Artemisia japonica Thunb.
Fl. Jap. (Thunberg) 310. 1784 [Aug 1784]
310 1784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모호(牡蒿)
Artemisia japonica Kitam.
이명(异名)
Artemisia japonica var. myriocephala Pamp.
Artemisia japonica var. lanata Pamp.
Artemisia japonica subsp. tongchouanensis (H. Lév.) Pamp.
Artemisia japonica subsp. intermedia Pamp.
Artemisia subintegra Kitam.
Artemisia japonica var. parviflora (Buch.-Ham. ex Roxb.) Pamp.
Oligosporus japonicus (Thunb.) Poljak.
Artemisia japonica var. macrocephala Pamp.
Artemisia japonica f. silvestris Pamp.
多年生草本。根状茎粗壮。茎直立,常丛生,高50-150厘米,上部有开展或直立的分枝,被微柔毛或近无毛。下部叶在花期萎谢,匙形,长3-8厘米,宽1-2.5厘米,下部渐狭,有条形假托叶,上部有齿或浅裂;中部叶楔形,顶端有齿或近掌状分裂,近无毛或有微柔毛;上部叶近条形,三裂或不裂。头状花序极多数,排列成复总状,有短梗及条形苞叶;总苞球形或矩圆形,直径1-2毫米,无毛;总苞片约4层,背面多少叶质,边缘宽膜质;花外层雌性,能育,约10个,内层两性,不育。瘦果长几达1毫米,无毛。
广布于南北各省区。有许多变种及变型。头状花序或长1.5毫米而极多数(多头变种var.myriocephala Pamp.),或长2.5毫米而叶顶部深裂(小花变种var. parviflora Pamp.),或长2.5-3毫米而花枝较短(大头变种var. macro-cephala Pamp.),等等,都常见。
^^^^^^^^^^^^^^^^^^^^^^^^^^^^^^^^^^^^^^^^^^^^^^^^^^^^^^^^^^^^^^^^^^^^
牡蒿
(《別錄》下品)
【釋名】
齊頭蒿。
時珍曰︰《爾雅》︰蔚,牡菣,蒿之無子者。則牡之名以此也。諸蒿葉皆尖,此蒿葉獨 而禿,故有齊頭之名。
“爾雅(이아)에 蔚(울)은 牡菣(모긴)이다. 蒿(호)의 無子(무자)인 것” 이라 하였으며 牡(모)의 名稱(명칭)은 거기에 나왔다. 諸種(제종)의 蒿(호)는 葉(엽)이 모두 뽀족하지만, 이 蒿(호)의 葉(엽)은 오직 넓게 퍼져 허전해 보인다. 그래서 齊頭(제두)라는 名稱(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集解】
《別錄》曰︰牡蒿,生田野。五月、八月採。
弘景曰︰方藥不複用。
恭曰︰齊頭蒿也,所在有之。葉似防風,細薄而無光澤。 生苗,其葉扁而本狹,末 有禿歧。嫩時可茹。鹿食九草,其一也。秋開細黃花,結實大如車前實,而內子微細不可見,故人以為無子也。
苗
【氣味】
苦、微甘,溫,無毒。
【主治】
充肌膚,益氣,令人暴肥。不可久服,血脈滿盛(《別錄》)。
肌膚(기부)를 充實(충실)히 하고, 益氣(익기)하며 별안간 肥大(비대)해진다. 血脈(혈맥)을 滿盛(만성)시키는 것이므로 長服(장복)하면 안된다.
擂汁服,治陰腫(時珍)。
물에 갈아서 服用(복용)하면 陰腫(음종)을 治(치)한다.
【附方】新一。
瘧疾寒熱︰齊頭蒿根、滴滴金根各一把。擂生酒一鐘,未發前服。以滓敷寸口,男左女右(《海上名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초(茜草)[본초강목] (0) | 2021.03.28 |
---|---|
여완(女菀)[본초강목] (0) | 2021.03.20 |
백호(白蒿)[본초강목] (0) | 2021.03.13 |
루호(蒌蒿)[본초강목] (0) | 2021.03.13 |
암려자(菴閭子)[본초강목] (0) | 2021.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