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려자(菴閭子)[본초강목]

2021. 3. 13. 01:43[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암려자(菴閭子)[본초강목]

 

 

 

 

^^^^^^^^^^^^^^^^^^^^^^^^^^^^^^^^^^^^^^^^^^^^^^^^^^^^^^^^^^^^^^^^^^^^^^^^^^

 

 

 

菴䕡

 

(《本經上品

 

釋名

 

覆閭

 

時珍曰草屋也裡門也此草乃蒿屬老莖可以蓋覆庵閭故以名之

 

()草屋(초옥), ()里門(이문)이다. ()蒿屬(호속)이며 그 老莖(노경)菴閭(암려)蓋覆(개복)하는 材料(재료)가 되므로 붙은 名稱(명칭)이다.

 

貞元廣利方謂之庵 蒿云又史注云庵廬軍行宿室也則閭似當作廬

 

 

集解

 

別錄庵 子生雍州川谷亦生上黨及道邊十月採實陰乾弘景曰狀如蒿艾之類近道處處有之仙經亦時用之人家種此辟蛇也頌曰今江淮亦有之春生苗葉如艾蒿高二三尺七月開花八月結實九月採實時珍曰庵 葉不似艾似菊葉而薄多細丫面背皆青高者四五尺其莖白色如艾莖而粗九月開細花淡黃色結細實如艾實中有細子極易繁衍藝花者以之接菊

 

 

 

氣味

 

微寒無毒

別錄微溫普曰神農雷公桐君岐伯小溫無毒

李當之權曰

之才曰荊實薏苡為之使

 

 

主治

 

五臟瘀血腹中水氣臚脹留熱風寒濕痺身體諸痛久服輕身延年不老(《本經》)。

 

 

五臟(오장)瘀血(어혈), 腹中(복중)手技(수기), 臚脹留熱(여창유열), 風寒濕痺(풍한습비), 身體(신체)諸痛(제통), 久服(구복)하면 輕身延年(경신연년)하고 不老(불노)한다.

 

 

療心下堅隔中寒熱周痺婦人月水不通消食明目駏驢食之神仙(《別錄 》)。

 

 

心下(심하)가 굳고 隔中(격중)寒熱(한열), 婦人(부인)月經不通(월경불통)()하고, 食物(식물)消和(소화)하며, 明目(명목), 駏驢(거려)가 이것을 먹고 神仙(신선)이 되었다.

 

 

益氣主男子陰痿不起治心腹脹滿甄權)。

 

益氣(익기)하고 男子(남자)陰痿不起(음위불기)主效(주효)가 있으며, 心腹脹滿(심복창만)()한다.

 

 

腰腳重痛膀胱痛及骨節煩痛不下食大明)。

 

腰脚重痛(요각중통), 膀胱痛(방광통) 骨節煩痛(골절번통), 食物(식물)消化不良(소화불량)

 

 

擂酒飲治閃挫腰痛及婦人產後血氣痛時珍)。

 

술을 갈아서 마시면 閃挫腰痛(섬좌요통) 婦人産後(부인산후)血氣痛(혈기통)()한다.

 

 

發明

 

頌曰︰《本經言久服輕身不老而古方少有服食者惟入諸雜治藥中如胡洽治驚邪狸骨丸之類大方中用之

 

본경(本經)에 구복(九服)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노쇠(老衰)하지 않는다. 라고 하나 고방(古方)에는 복식(服食)하는 일도 드물었고 다만 제종(諸種)의 잡치(雜治)하는 약중(藥中)에 넣는다. 호흡(胡洽)으 경사(驚邪)를 치()하는 이골환(狸骨丸)과 같은 것은 대방(大方)속에 있던 것을 썼던 것이다.

 

 

孫思邈千金翼》、《韋宙獨行方》,主踠折瘀血並單用庵 煮汁服亦可末服今人治打撲多用此法或飲或散其效最速

 

손사막(孫思邈)의 천금익(千金翼) 위주(韋宙)의 독행방(獨行方)에는 원절어혈(踠折瘀血)에 주효(主效)가 있다. 어느 것이든 암려(菴䕡)의 단미자즙(單味煮汁)을 복용(服用)한다. ()로 하여 복용(服用)하는 것도 좋다.”라고 하였다. 지금은 일반적(一般的)으로 타박상(打撲傷)을 치료(治療)하는데 이 법()을 많이들 쓰고, 혹은 음용(飮用)하며, 혹은 산()으로 써서 그 효()는 아주 빠르다.

 

 

時珍曰︰《吳普本草名醫別錄》,並言駏驢食庵 神仙此亦謂其多壽爾駏驢乃獸名似騾而小前足長後足短不能自食每負蹶鼠為之嚙食

 

오보본초(吳普本草) 및 명의별록(名医别录) 모두 거려(駏驢)가 암려(菴䕡)를 먹고 신선(神仙)이 되었다.”라고 되어 있지만, 이것도 단지 그 수명(壽命)이 길어진다는 것을 말한 것 뿐이다. 거려(駏驢) 는 수명(獸名)이다. ()와 흡사하고 작으며, 전족(前足)이 길고 후족(後足)이 짧은데 스스로 먹이를 먹을 수 없는 동물(動物)로서 늘 궐서(蹶鼠)를 뒤쫓아 다니다가 그것에게 물게 하고 먹는다.

 

 

附方舊一新二

 

月水不通婦人宿有風冷留血積聚月水不通庵 子一升桃仁二升酒浸去皮尖)。 研勻入瓶內以酒二斗浸封五日後每飲三合日三服。(《聖惠方》)

產後血痛庵 子一兩水一升童子小便二杯煎飲。(《頻湖集簡方》)

 

 

附錄

 

對廬 別錄

 

有名未用曰味苦無毒主疥瘡久不瘳生死肌除大熱煮汁洗之似庵 八月採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호(白蒿)[본초강목]  (0) 2021.03.13
루호(蒌蒿)[본초강목]  (0) 2021.03.13
동호(茼蒿)[본초강목]  (0) 2021.03.13
귀침초(鬼針草)[본초강목]  (0) 2021.02.25
낭파초(狼把草)[본초강목]  (0) 2021.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