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白蒿)[본초강목]

2021. 3. 13. 02:29[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백호(白蒿)[본초강목]

 

 

 

^^^^^^^^^^^^^^^^^^^^^^^^^^^^^^^^^^^^^^^^^^^^^^^^^^^^^^^^^^^^^^^^^^^^^^^^^^^^

 

白蒿

 

(《本經上品

 

 

 

釋名

 

(《爾雅》)、由胡(《爾雅》)、蔞蒿(《食療》)、

 

時珍曰白蒿有水陸二種,《爾雅通謂之蘩以其易蘩衍也

 

白蒿(백호)에는 (), ()二種(이종)이 있으며, 爾雅(이아)에서는 通稱(통칭)해서 ()이라 한다. 繁殖(번식)蔓衍(만연)하기 쉬운 것이기 때문이다.

 

 

皤蒿即今陸 生艾蒿也辛熏不美由胡即今水生蔞蒿也辛香而美

 

()皤蒿(파호)이다.” 라는 것은 지금으 陸生(육생)하는 艾蒿(애호)를 말하며, ()하고 역겨운 냄새로 香氣(향기)가 좋지 않다. “()由胡(유호)이다.” 라고 하는 것은 지금의 水生(수생)하는 蔞蒿(누호)를 말하며, ()하고 좋은 香氣(향기)가 난다.

 

 

蘩之醜秋為蒿則通指水陸二種而言謂其春時各有種名至秋老則皆呼為蒿矣

 

()()는 가을에 ()가 된다.” 라고 하는 것은 水陸(수륙) 二種(이종)共通(공통)이 되는 말이다. 이렇듯 말하는 理由(이유)는 이것이 春期(춘기)에는 서로 다른 各種(각종)名稱(명칭)이 있긴 해도 가을이 되어 老期(노기)에 이르면 너나 할 것 없이 ()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曰籟曰蕭曰荻皆老蒿之通名象秋氣肅籟之氣

 

()라하고 ()라 하고, ()이라 하는 것도 모두 老蒿(노호)共通(공통)名稱(명칭)으로서 秋氣(추기)肅籟(숙뇌)()形容(형용)한 것이다.

 

 

 

 

 

集解

 

別錄白蒿生中山川澤二月採

 

弘景曰蒿類甚多而俗中不聞呼白蒿者方藥家既不用皆無複識之

 

恭曰︰《爾雅》︰皤蒿即白蒿也所在有之葉頗似細艾上有白毛錯澀粗於青 蒿

 

禹錫曰蓬蒿可以為菹詩箋以豆荐蘩菹也陸璣詩疏凡艾白色為皤蒿今白蒿先諸草發生香美可食生蒸皆宜

 

頌曰此草古人以為菹今人但食蔞蒿不複食此或疑白蒿即蔞蒿而孟詵食療又別著蔞蒿條所說不同明是二物乃知古今食品之異也又今階州以白蒿為茵陳其苗葉亦相似然以入藥恐不可用也

 

時珍曰白蒿處處有之有水陸二種本草所用蓋取水生者故曰生中山川澤不曰山谷平地也二種形狀相似但陸生辛熏不及水生者香美爾

 

白蒿(백호)到處(도처)에 있으며 (), ()二種(이종)이 있다. 本草(본초)에서 쓸 수 있다고 揭載(게재)한 것은 대개 水生(수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中山(중산), 川澤(천택)自生(자생)한다고 했으며, 山谷(산곡), 平地(평지)라고는 하지 않았다. 二種(이종) 모두 形狀(형상)相似(상사)하나 다만 陸生(육생)()하고 역겨워서 水生(수생)하는 것의 香美(향미)함에 미치지 못한다.

 

 

呦呦鹿鳴食野之蘋即陸生皤蒿俗呼艾蒿是矣鹿食九種解毒之草白蒿其一也

 

 

()呦呦(유유)하게 우는 사슴들이 들의 ()을 먹는다.”라고 되어 있다. ()이란 즉, 陸生(육생)하는 皤蒿(파호)를 말하며, 흔히 말하는 艾蒿(애호)이다 사슴은 九種(구종)解毒草(해독초)를 먹는 것으로 이 白蒿(백호)도 그 하나이다.

 

 

於以采蘩於沼於 。《左傳蘋蘩蘊藻之菜可以荐於鬼神羞於王公並指水生白蒿而言則本草白蒿之為蔞蒿無疑矣

 

 

()()에서 ()을 얻고 ()에서 ()한다.” 라고 되어 있으며, 左轉(좌전)蘋蘩(빈번), 蘊藻(온조)()로서 鬼神(귀신)에게 바쳐 王公(왕공)()할 수 있다.” 라고 하는 것은 모두 水生(수생)白蒿(백호)指稱(지칭)한 것이다. 이와 같은 根據(근거)를 보면 本草(본초)白蒿(백호)蔞蒿(누호)인 것이 疑心(의심)할 여지가 없다.

 

鄭樵通志謂蘋為蔞蒿非矣鹿乃山獸蔞乃水蒿

 

鄭樵(정초)通志(통지)()蔞蒿(누호)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鹿()山獸(산수)인데 ()水蒿(수호)가 아닌가.

 

 

陸璣詩疏謂蘋為牛尾蒿亦非矣牛尾蒿色青不白細葉直上狀如牛尾也蔞蒿生川堤澤中二月發苗葉似嫩艾而歧細面青背白其莖或赤或白其根白脆采其根莖生熟菹曝皆可食蓋嘉蔬也

 

陸機(육기)詩疏(시소)()牛尾蒿(우미호)로 한 것도 잘못이다. 牛尾蒿(우미호)는 색이 프르며, 희고, 細葉(세엽)으로 곧게 자라는 形狀(형상)牛尾(우미)와 같은 것이다. 蔞蒿(누호)라는 것은 川堤(천제)澤中(택중)에서 ()하는 것으로 二月(이월)()芽生(아생)하고, ()()嫩葉(눈엽)을 닮아서 ()가 가늘며 表面(표면)이 푸르고 裏面(이면)은 희다. ()은 혹은 붉고 혹은 희며, ()白色(백색)에다 ()한 것이다. 根莖(근경)採集(채집)해서 ()하거나 또는 ()하고 또는 ()暴乾(폭건)하여 모두 食物(식물)로 한다. 대개 嘉蔬(가소)라는 것이다.

 

 

 

景差大招吳酸蔞蒿不沾薄謂吳人善調酸瀹蔞蒿為齏不沾不薄而甘美此正指水生者也

 

景差(경차)大招(대소)에는 ()酸蔞蒿(산루호)沾薄(첨박)하지 않다.” 라고 되어 있으며, ()地方(지방)에서는 巧妙(교묘)하게 蔞蒿(누호)를 데치고 ()하게 調理(조리)해서 齏菜(제채)로 하는데 그 ()()하지 않고 ()하지 않으며, 甘美(감미)하다. 그것을 말한 것이다.

 

 

 

 

 

苗根

 

氣味

 

無毒

思邈曰

時珍曰發瘡疥

 

 

主治

 

五臟邪氣風寒濕痺補中益氣長毛發令黑療心懸少食常飢久服輕身耳目聰明不老(《本經》)。

 

오장(五臟)의 사기, 풍한습비(風寒濕痺), 補中(보중), 益氣(익기)하며, 毛髮(모발)을 길고 검게 하고, 心縣(심현)한데 食少(식소)하며, 항상 ()한 것을 治療(치료)한다. 오래 먹으면 몸을 가볍게 하고, 耳目(이목)聰明(총명)하게 하며, 老衰(노쇠)하지 않는다. [본경]

 

 

醋淹為菹食甚益人搗汁服去熱黃及心痛曝為末米飲空心服一匙治夏月暴水痢燒灰淋汁煎治淋瀝疾孟詵)。

 

생것을 주물어 에 담갔다가 저로 해서 먹으면 매우 건강에 유익하다. 도즙(搗汁)을 복용하면 熱黃心痛을 거한다. 말려서 作末하여 미음으로 공심에 일시를 복용한다. 夏季暴水痢를 치한다. 燒灰淋汁을 달인 것은 淋瀝疾을 치한다.[맹선]

 

 

利膈開胃殺河豚魚毒 (時珍)

 

()하고, 를 열며, 河豚魚(하돈어)의 독을 한다. [이시진]

 

 

 

發明

 

弘景曰服食家七禽散云白兔食白蒿仙與庵䕡同法耳

 

服食家(복식가)七禽散(칠금산)白兎(백토)白蒿(백호)를 먹으면 ()이 된다.”라고 하는 것은 菴䕡(암려)同一(동일)用法(용법)이다.

 

 

時珍曰︰《本經列白蒿於上品有功無毒而古今方家不知用豈不得服之之訣歟

 

本經(본경)에는 白蒿(백호)上品(상품)에 세워 ()이 있고 ()은 없다고 하지만, 古今(고금)方家(방가)는 이것을 使用(사용)할 줄 모른다. 服食(복식)하는 方法秘訣(방법비결)心得(심득)하지 못한 탓일지도 모른다.

 

 

 

 

附方舊一

 

惡瘡癩疾但是惡疾遍體面目有瘡者皆可服之用白艾蒿十束如升大煮取汁以曲及米一如釀酒法候熟稍服之。(《深師方》)

 

 

 

 

氣味

 

 

主治

 

鬼氣為末酒服之孟詵)。

 

鬼氣에는 作末해서 酒服하는 것이 좋다.[맹선]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완(女菀)[본초강목]  (0) 2021.03.20
모호(牡蒿)[본초강목]  (0) 2021.03.13
루호(蒌蒿)[본초강목]  (0) 2021.03.13
암려자(菴閭子)[본초강목]  (0) 2021.03.13
동호(茼蒿)[본초강목]  (0) 2021.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