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침초(鬼針草)[본초강목]

2021. 2. 25. 20:45[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귀침초(鬼針草)[본초강목]

 

 

 

 

도깨비바늘/ 귀침초(鬼針草)

 

도깨비바늘

 

이명 : [좀도깨비바늘] [좀독개비바눌] [좀도개비바늘]

학명 : Bidens bipinnata L.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コバノセンダングサ(Kobano-sendan-gusa)

영명 : Spanish needles

 

잎은 대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길이 11-19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첫째 열편은 2-3개이거나 우상으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에 치아상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5cm이다.

 

열매

수과는 선형이고 길이 12-18mm, 나비 1mm로서 3-4개의 능선과 짧은 털이 있으며 편평하고 상단의 관모는 3-4개이며 길이 3-4mm로서 밑을 향한 가시같은 털이 있어 물체에 잘 붙는다. 수과의 가시털은 위를 향하고, 관모의 가시털은 밑을 향한다.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10mm로서 줄기나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이 1.8-8.5c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포편은 5-7개로서 선상 긴 타원형이며 양면에 털이 있고 길이 2.5mm이던 것이 열매가 달릴 때는 길이 5mm정도로 된다. 화상花床의 인편은 길이 3.5-4mm에서 6-8mm로 자라며 설상화는 황색이고 1-3개이며 길이 5-6mm로서 중성이다.

 

줄기

높이가 25-85cm에 달하며 원줄기는 네모지고 거의 털이 없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일년생 초본이다.

크기

높이 25-85cm

 

 

 

 

생육 환경

산야의 습지나 빈터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어린 순을 식용으로 한다.

全草鬼針草(귀침초)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과 가을에 지상부분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전초는 alkaloid, tannin, saponin, flavonoid를 함유한다. 줄기와 잎은 精油(정유), tannin, 苦味質(고미질), choline 등을 함유하고 과실은 기름을 27.3% 함유한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 散瘀(산어),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말라리아, 腹瀉(복사), 이질, 간염, 急性腎炎(급성신염), 胃病(위병), 腸癰(장옹), 咽喉腫痛(인후종통), 타박상, 毒蛇毒蟲咬傷(독사독충교상) 등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하던가 짓찧어 낸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던가 달인 ()으로 쪄서 씻는다.

 

 

 

 

학명 Bidens bipinnata L.

Sp. Pl. 2 : 832-833 (1753)

1. Bidens decompositus Wall.

Cat. no. 298 (1828)

2. Bidens pilosus var. bipinnatus (L.) Hook.f.

Fl. Brit. India [J. D. Hooker] 3 : 309 (Hook.f., 1881)

3. Bidens pilosus var. decomositus (Wall.) Hook.f.

Fl. Brit. India [J. D. Hooker] 3 : 310 (Hook.f., 1881)

4. Kerneria bipinnata (L.) Godr. & Gren.

Fl. France 2: 169 (1850)

국명 도깨비바늘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좀도개비바늘

2. 좀도깨비바늘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3. 좀독개비바눌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Spanishneedles

일본명 : コバノセンダングサ

북한명 : 도깨비바늘

 

 

Bidens bipinnata L.

Sp. Pl. 2: 832. 1753 [1 May 1753]

2: 832 1753

Original Data:

Notes: Reg. trop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파파침(婆婆针)

 

Bidens bipinnata L.

 

이명(异名)

 

Kerneria bipinnata (L.) Gren. & Godr.

Bidens cicutaefolia Tausch

Bidens elongata Tausch

Bidens myrrhidifolia Tausch

Bidens wallichii DC.

Bidens bipinnata var. minor Memm.

Bidens pilosa var. wallichii (DC.) C.B.Clarke

Bidens pilosa var. bipinnata (L.) Hook.f.

Bidens pilosa var. decomposita (Wall. ex DC.) Hook.f.

 

 

 

 

一年生草本50-100厘米中部和下部叶对生2回羽状深裂裂片顶端尖或渐尖边缘具不规则细齿或钝齿两面略有短毛具长叶柄上部叶互生羽状分裂头状花序直径5-10毫米总花梗长2-10厘米总苞片条状椭圆形顶端尖或钝被细短毛舌状花黄色通常有1-3不发育筒状花黄色发育长约5毫米裂片5瘦果条形长约1-2厘米宽约1毫米3-4有短毛顶端冠毛芒状3-42-5毫米我国广布亚洲欧洲北美洲大洋洲等地区也广布生路旁荒地山坡及田间全草入药能解热止泻解毒特别对习惯性腹泻高热等症有良效

 

 

^^^^^^^^^^^^^^^^^^^^^^^^^^^^^^^^^^^^^^^^^^^^^^^^^^^^^^^^^^^^^^^^^^^^^^^^^^^^^^

鬼針草

 

(《拾遺》)

 

 

集解

 

藏器曰生池畔方莖葉有丫子作釵腳著人衣如針北人謂之鬼針南人謂之鬼釵

 

 

 

氣味

 

無毒

 

 

主治

 

蜘蛛蛇咬杵汁服並敷藏器)。

 

蜘蛛(지주), ()咬傷(교상)에는 杵汁(저즙)服用(복용)하고, 또 바른다.

 

 

塗蠍蠆傷時珍)。

 

蠍蠆(갈채)傷處(상처)에 바른다.

 

 

附方新一

 

割甲傷肉不愈鬼針草苗鼠粘子根搗汁和臘豬脂塗。(《千金》)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