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25. 20:24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낭파초(狼把草)[본초강목]
가막사리/낭파초(狼把草)
가막사리
이명 : [가막살] [제주가막사리] [털가막살이]
학명 : Bidens tripartita L.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タウコギ(Ta-ukogi ; Takogi)
영명 : Bur Beggarticks. Bur marigold. Water agrimony
잎
잎은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피침형이지만 중앙부의 것은 길이 4-13cm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3-5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길이 0.8-2.5cm로서 날개가 약간 있다. 정열편은 크고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측열편은 1-2쌍으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옆으로 퍼지고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져서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되거나 3개로 갈라진다.
열매
수과는 길이 7-11mm, 나비 2-2.5mm로서 가장자리와 능선 위에 역자(逆刺)가 있고 관모는 완전한 것 2개와 불완전한 것 1-2개가 있으며 길이 3-4mm로서 역자(逆刺)가 있다. 다른 물체에 붙어서 종자를 산포한다.
꽃
꽃은 8-10월에 피며 양성이고 황색이며 지름 25-35mm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화경(花梗)은 길이 4~15cm이다. 총포편은 5~10개이고 길이 1.5-4.5cm로서 도피침형 둔두이며 외포편(外苞片)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길이 9-11mm이며 내포편(內苞片)은 선형이다. 설상화는 없고 통상화는 길이 4-4.5mm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지며 통부는 길이 2mm정도이다.
줄기
높이 20-15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전체에 털이 없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일년생 초본
크기
높이 20-150cm이다.
생육 환경
▶밭둑이나 습지, 물가에 난다.
수분
습윤
꽃/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全草는 狼把草(낭파초), 根은 狼把草根(낭파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狼把草(낭파초)
①여름과 가을에 지상부분을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건조한 식물은 精油(정유), tannin, luteolin, luteolin-7-glucoside 등의 flavonoid를 함유한다. 잎은 비타민C dir 160mg을 함유하고 과실은 기름을 함유한다.
③약효 : 기관지염, 폐결핵, 咽喉炎(인후염), 편도선염, 이질, 丹毒(단독), 癬瘡(선창)을 치료하며 慢性赤白痢(만성적백리), 소아의 (대복비만-腹腔內(복강내)의 積塊(적괴), 丹毒(단독)에 의한 惡寒發熱(오한발열)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5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가루를 만들거나 짓찧어 낸 생즙을 복용한다. <외용> 분말로 만들어 살포하거나 짓찧어 낸 생즙을 바른다.
⑵狼把草根(낭파초근)
①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이질, 盜汗(도한-寢汗(침한)), 丹毒(단독)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유사종
도깨비바늘(B. bipinnata)
특징
전초를 낭파초(狼把草)라 하다.
학명 Bidens tripartita L.
Sp. Pl. 2 : 831-832 (1753)
1. Bidens modiflora L.
Sp. Pl. 2 : 832-833 (1753)
2. Bidens tripartita for. minor Wimm. & Grab.
Fl. Siles. 2: 118 (1829)
3. Bidens tripartita var. hebecarpa Nakai
J. Jap. Bot. 15: 3 (1939)
국명 가막사리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가막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2. 제주가막사리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털가막살이
영문명 : Bur Beggarticks
일본명 : タウコギ
북한명 : 가막사리
Bidens tripartita L.
Sp. Pl. 2: 831. 1753 [1 May 1753]
2: 831 1753
Original Data:
Notes: Europ.; Sibi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낭파초(狼把草)
Bidens tripartita L.
이명(异名)
Bidens shimadai Hayata
Bidens tripartita var. cernuifolia Sherff
Bidens tripartita var. shimadai Yamam.
Bidens tripartita f. limosa Komarov
Bidens acuta (Wiegand) Britton
Bidens comosa (A.Gray) Wiegand
Bidens comosa var. acuta Wiegand
Bidens connata var. comosa A.Gray
Bidens tripartita f. anomala (Farw.) B.Boivin
Bidens tripartita f. integra (Peterm.) Koch ex Beck
Bidens tripartita f. minima (Lej.) Larss.
Bidens tripartita f. orthodoxa (Fernald & H.St.John) B.Boivin
Bidens tripartita f. pumila (Retz.) Roth ex Beck
Bidens tripartita f. stolonifera Bolzon
一年生草本,高30-150厘米。叶对生,无毛,叶柄有狭翅;中部叶通常羽状3-5裂,顶端裂片较大,椭圆形或矩椭圆状披针形,边缘有锯齿;上部叶3深裂或不裂。头状花序顶生或腋生,直径1-3厘米;总苞片多数,外层倒披针形,叶状,长1-4厘米,有睫毛;花黄色,全为两性筒状花。瘦果扁平,两侧边缘各有1列倒钩刺;冠毛芒状,2枚,少有3-4枚,具倒钩刺。 我国广布;亚洲,欧洲,非洲北部及大洋洲均有分布。生水边或湿地。全草药用,治感冒、百日咳等症。变种矮狼把草var. repens (D. Don) Sherff.植株高仅10-20厘米,叶狭披针形,不裂或有时3深裂,瘦果具2或3芒状冠毛;
分布于新疆、河北、山西、四川西北部、云南西北部。
&&&&&&&&&&&&&&&&&&&&&&&&&&&&&&&&&&&&&&&&&&&&&&&&&&&&&&&&&&
눈가막사리/낭파초(狼把草)
눈가막사리
이명 : [좀가막사리] [애기가막사리] [애기가막살]
학명 : Bidens tripartita var. repens (D.Don) Sherff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열매
수과는 길이 6.5~7.5mm로 털이 없고 까락은 2개이다.
분포
한반도(제주도), 일본,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형태
잎 또는 2열편은 불균일한 톱니가 있다.
크기
높이 1~40cm이다.
학명 Bidens tripartita var. repens (D.Don) Sherff
Bot. Gaz. 81: 45 (1926)
1. Bidens minuscula Lev. & Vaniot
Bull. Acad. Int. Geogr. Bot. 20: 3 (1910)
2. Bidens repens D.Don
Prodr. Fl. Nepal. 180 (1825)
3. Bidens trifida Buch
Fl. ind. ed. 2, 3: 411 (Roxb., 1832)
국명 눈가막사리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애기가막사리
2. 애기가막살
3. 좀가막사리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Bidens tripartita var. repens ( D.Don ) Sherff
The Botanical Gazette 81 1926
1926
Type Information
Type Remarks:
50282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왜낭파초(矮狼杷草)
Bidens tripartita var. repens (D. Don.) Sherff
이명(异名)
Bidens repens D. Don
Bidens trifida Buch.-Ham. ex Roxb.
这一变种不同在于:瘦果楔状条形,长5—8毫米,顶部宽约2毫米,边缘光滑或仅具纤细的疏刺毛,顶端芒刺2—3枚,有倒刺毛。茎高通常10—20厘米。叶为披针形不分裂的单叶或3—5裂,两侧裂片披针形,顶生裂片长圆状披针形,边缘均具不规整的粗齿。
^^^^^^^^^^^^^^^^^^^^^^^^^^^^^^^^^^^^^^^^^^^^^^^^^^^^^^^^^^^^^^^^^^^^^^^^^^^^^^
狼把草
(宋《開寶》)
【校正】
並入《拾遺》郎耶草。
【釋名】
郎耶草。
時珍曰︰此即陳藏器《本草》郎耶草也。閩人呼爺為郎罷,則狼把當作郎罷乃通。又方士言此草即鼠尾草,功用亦近之,但無的據耳。
이 草(초)는 즉 陳藏器本草(진장기본초)의 郎耶草(낭야초)로서 閩地方(민지방)에서는 爺(야)를 郎罷(낭파)라고 하므로 狼把(낭파)는 郎罷(낭파)라고 記書(기서)함이 올바르지만, 이것으로 意味(의미)는 通(통)한다. 또 方士(방사)의 말에 “이 草(초)는 즉, 鼠尾草(서미초)이다.”라고 했으며, 功用(공용)도 역시 비슷하나, 明確(명확)한 根據(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集解】
藏器曰︰野狼把草生山道旁,與秋穗子並可染皂。又曰︰郎耶草生山澤間,高三、四尺,葉似雁齒,如鬼針苗。鬼針,即鬼釵也。其葉有丫,如釵腳狀。
禹錫曰︰野狼把草出近世,古方未見用者,惟陳藏器言之而不詳。太宗皇帝御書記其主療血痢,甚為精至。謹用書於《本草圖經》外類篇首。
【氣味】
苦,平,無毒。
【主治】
黑人發,令人不老。又云︰郎耶草︰主赤白久痢,小兒大腹痞滿,丹毒寒熱。取根莖煮汁服(藏器)。
頭髮(두발)이 검어지고 老衰(노쇠)하지 않는다. 또 郎耶草(낭야초)는 赤白久痢(적백구리), 小兒(소아)의 大腹痞滿(대복비만), 丹毒寒熱(단독한열)에 主效(주효)하다. 根莖(근경)을 取(취)하여 煮汁(자즙)을 내어 服用(복용)한다.
狼把草︰主丈夫血痢,不療婦人。
狼把草(낭파초)는 男子(남자)의 血痢(혈리)에 主效(주효)하며, 婦人(부인)의 血痢(혈리)에는 效力(효력)어 없다.
根︰治積年疳痢。取草二斤,搗絞取汁一小升,納白面半雞子許,和勻,空腹頓服。極重者,不過三服。或收苗陰乾,搗末,蜜水半盞,服一方寸匕(《圖經》)。
根(근)은 오래된 疳痢(감리)를 治療(치료)한다. 草(초) 二斤(이근)을 찧어서 汁(즙) 一小升(일소승)을 絞取(교취)하여 白麪(백면)을 鷄子(계자) 半個(반개) 정도로 넣고, 고르게 和(화)하여 空腹(공복)에 頓服(돈복)한다. 극히 重病(중병)인 것도 三服(삼복)을 넘기기 전에 效(효)가 있다. 혹은 苗(묘)를 取(취)하여 陰乾(음건)하여 末(말)로 찧어 蜜水(밀수), 半盞(반잔)으로 一方寸匕(일방촌비)를 服用(복용)한다.
可染鬚髮,治積年癬,天陰即癢,搔出黃水者,搗末摻之(時珍)。
鬚髮(수발)을 染色(염색)할 수 있다. 오래된 癬(선)으로 날이 흐리면 가렵고, 긁으면 黃水(황수)가 나오는 것을 治療(치료)하는 데는 찧어서 作末(작말)하여 뿌린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호(茼蒿)[본초강목] (0) | 2021.03.13 |
---|---|
귀침초(鬼針草)[본초강목] (0) | 2021.02.25 |
애납향(艾納香)[본초강목] (0) | 2021.02.19 |
마란(馬蘭)[본초강목] (0) | 2021.02.19 |
천년애(千年艾)[본초강목] (0) | 2021.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