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당삼고(黃芪党参膏)

2021. 2. 19. 22:38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단&고]연구

황기당삼고(黃芪党参膏)

 

 

 

 

 

황기(黃耆)

 

 

 

 

元素曰黃耆甘溫純陽其用有五補諸虛不足一也益元氣二也壯脾胃三也去肌熱四也排膿止痛活血生血內托陰疽為瘡家聖藥五也

 

 

황기(黃耆)는 감()하고 온()하며 순양(純陽)한 것이다. 그 공용(功用)에 오종(五種)이 있다. 제허(諸虛) 부족(不足)을 보()하는 것이 그 (), 원기(元氣)를 익()함이 그 () 비위(脾胃)를 장()하게 함이 그 (), 기열(肌熱)을 거()하는 것이 그 (), ()을 배출(排出)하고, 止痛(지통)하고, 活血生血(활혈생혈)하며, 음저(陰疽)를 내탁(內托)하는 창환자(瘡患者)의 성약(聖藥)()이다.

 

 

 

又曰補五臟諸虛治脈弦自汗瀉陰火去虛熱無汗則發之有汗則止之

 

또 오장(五臟)의 제허(諸虛)를 보충(補充)하고, 맥현(脈弦), 자한(自汗)을 치유(治癒)하고, 음화(陰火)를 사()하고 허열(虛熱)을 거()하고 무한(無汗)할 때는 발한(發汗)하고, 땀이 날때는 이를 멈추게 한다.

 

 

 

 

好古曰黃耆治氣虛盜汗並自汗及膚痛是皮表之藥治咯血柔脾胃是中州之藥治傷寒尺脈不至補腎臟元氣是裡藥乃上三焦之藥也

 

黃耆(황기)氣虛(기허), 盜汗(도한)을 비롯하여 自汗(자한) 膚痛(부통)()하는 점에서 본다면 (), ()()이 된다. 喀血(객혈)()하고, 脾胃(비위)柔和(유화)하는 ()에서 본다면 中州(중주)()이 된다. 傷寒(상한)尺脈(척맥)이 미치지 못함은 ()하고, 腎臟(신장)元氣(원기)()하는 ()에서 본다면 裏藥(이약)이 된다 이것을 모두 합해 보면 (), (), (), (), (), 三焦(삼초)()이 되는 것이다.

 

 

 

杲曰︰《靈樞衛氣者所以溫分肉而充皮膚肥腠理而司開闔黃耆既補三焦實衛氣與桂同功特比桂甘平不辛熱為異耳但桂則通血脈能破血而實衛氣則益氣也又黃耆與人參甘草三味為除躁熱肌熱之聖藥脾胃一虛肺氣先絕必用黃耆溫分肉益皮毛實腠理不令汗出以益元氣而補三焦

 

 

영추경(靈樞經)위기(衛氣)라는 것은 분육(分肉)을 따뜻하게 하여 피부(皮膚)를 충실(充實)하게 하고, 주리(腠理)를 풍만(豊滿)하게 하여 모공개폐(毛孔開閉)를 지배(支配)하는 것을 그 본분(本分)으로 한다.”라고 하며, 황기(黃耆)는 삼초(三焦)를 보()하여 그 위기(衛氣)를 충실(充實)히 하는 것으로서 계()와는 그 공력(功力)이 동일(同一)하나 계()와 같으며 혈맥(血脈)을 통()하기 좋게 하며, ()을 파()하여 위기(衛氣)를 충실(充實)하게 하는 것인데 기()는 기()를 증익(增益)한다. 또 황기(黃芪)와 인삼(人參)과 감초(甘草)는 조열(躁熱), 기열(肌熱)을 제()하는 성약(聖藥)으로서 비위(脾胃)가 일단 허()해져서 폐기(肺氣)가 먼저 절()하면 반드시 황기(黃耆)를 용()하여 분육(分肉)을 온()하게 하고 피모(皮毛)를 익()하고, 주리(腠理)를 충실(充實)히 함으로써 땀이 나지 않게 원기(元氣)를 증익(增益)하고, 삼초(三焦)를 보()한다.

 

 

 

嘉謨曰人參補中黃耆實表凡內傷脾胃發熱惡寒吐泄怠臥脹滿痞塞神短脈微者當以人參為君黃耆為臣若表虛自汗亡陽潰瘍痘疹陰瘡者當以黃耆為君人參為臣不可執一也

 

 

인삼(人參)은 중()을 보()하고 황기(黃耆)는 표()를 실()하게 한다. 무릇 내()의 비위(脾胃)를 상()하여 발열(發熱)하고, 오한(惡寒)하며, 토설(吐泄), 권태(倦怠), 창만(脹滿), 비색(痞塞), 신단(神短), 맥미(脈微)한 경우에는 인삼(人參)을 군()으로 황기(黃耆)를 신()으로 하여 용()함이 좋다. 만약 표허(表虛)하여 자한(自汗)하고 망양(亡陽)의 궤양(潰瘍), 두진(痘疹)이 음창(陰瘡)할 때에는 황기(黃耆)를 군()으로 인삼(人參)을 신()으로 용()함이 좋다. 반드시 일정(一定)한 방법(方法)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당삼(黨參)

 

味甘平補中益氣和脾胃除煩惱解渴中氣微虛用以調補甚為平安

 

 

()(), ()하고, 補中益氣(보중익기)하며, 脾胃(비위)()하고, 煩惱(번뇌)()하며, ()()한다. 中氣微虛(중기미허)에는 이것을 使用(사용)하여 調補(조보)하면 ()()하다.

 

 

 

 

^^^^^^^^^^^^^^^^^^^^^^^^^^^^^^^^^^^^^^^^^^^^^^^^^^^^^^^^^^^^^^^^^^^^^^^

 

 

황기고(黃芪膏)

 

 

처방(處方)

 

황기(黃芪)480

 

 

제법(制法)

 

上藥酌予切碎水煎3分次過濾去滓濾液合並用文火煎熬濃縮至膏狀以不滲紙爲度1兩膏汁兌煉蜜2兩成膏裝瓶2

 

 

 

공능주치(功能主治)

 

보중익기(補中益氣)조양영위(調養榮衛)탁리생기(托裏生肌)

 

 

 

기허혈휴(氣虛血虧)허로도한(虛勞盜汗)폐허작천(肺虛作喘)신체리수(身體羸瘦)

 

창면구불유합(瘡面久不愈合)음창농독미진(陰瘡膿毒未盡)하지완고성궤양(下肢頑固性潰瘍)어린선(魚鱗蘚)사피증(蛇皮症))。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5日服2開水沖服

 

 

적록

북경시중약성방선집(北京市中藥成方選集)

 

 

 

^^^^^^^^^^^^^^^^^^^^^^^^^^^^^^^^^^^^^^^^^^^^^^^^^^^^^^^^^^^^^^^^^^^^^^^

 

 

당삼고(當參膏)

 

 

약물조성(藥物組成)

당삼(黨參)960

 

처방래원(處方來源)

 

전국중약성약처방집(全国中药成药处方集)》(상해방(上海方))。

 

방제주치(方劑主治)

체권기겁(体倦氣怯)식소변당(食消便溏)

 

용법용량(用法用量)

将党参煎汁3次榨净将各次所煎药汁澄清过滤蒸发成浓汁加冰糖20斤收膏每次1羹匙开水化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