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 13. 20:34ㆍ[신농본초경]/상경(上經)
천명정(天名精) 학슬(鶴虱)[본경/동의보감]
담배풀
이명:[담배나물] [학슬]
학명: Carpesium abrotanoides L.
분류군: Compositae(국화과)
일어: ヤブタバコ
영문: Common Carpesium
잎
근생엽은 긴 엽병이 있고 개화기가 되면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넓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병으로 흘러서 날개로 되고 길이 20-28cm, 폭 8.5-15cm로서 양면, 특히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이 없어지며 긴 타원형으로 된다.
열매
수과는 길이 3.5mm로서 선점과 길이 0.7mm정도의 부리가 있으며 관모가 없고 끈끈하다.
꽃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8cm로서 엽액에 수상으로 달리며 보통 포가 없고 총포는 길이 7~8mm, 지름 1~1.5mm로서 종형이며 포린은 3줄로 배열되고 겉의 것이 짧으며 난형 예첨두로서 짧은 털이 있고 중앙의 것과 안쪽의 것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수꽃과 양성의 통꽃이 혼생한다. 소화는 130-300개이다.
줄기
높이 50-100cm이며 곧게 서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밀생한다.
뿌리
뿌리는 방추형이며 목질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2년생 초본이다.
크기
높이 50~100cm이다.
생육 환경
▶산지나 숲 가에서 자란다.
결실기
10월, 11월
이용방안
▶어린순은 식용으로 한다.
▶根 및 莖葉은 天名精(천명정), 과실은 鶴蝨(학슬)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天名精(천명정)
①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과실에는 carpesia lactone, carabrone 등의 lactone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에 는 중추신경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과실에는 capric acid, oleic acid, 右族性(우족성) linoeic acid, hentriacontane, stigma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痰(거담), 淸熱(청열), 破血(파혈), 止血(지혈),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다. 급성편도선염, 喉痺(후비), 말라리아, 급성간염, 急·慢性痙攣(급·만성경련), 기생충으로 인한 腹內(복내)의 硬結(경결), (혈하), 鼻出血(비출혈), 血淋(혈림), (정종창독), 皮蛙搔痒(피와소양)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짓찧어 생즙으로 하던가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한다. <외용> 짓찧어 바르던가 달인 液(액)으로 熏洗(훈세)한다.
⑵鶴蝨(학슬)
①가을에 과실이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과실 속에는 吉草酸(길초산), n-caprone, oleic acid, 右族性(우족성)리놀酸, hentriacontane, stigmasterol, carpesia lactone, carabrone 등의 lactone類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살충작용이 있으며 腹中에 기생충이 滯積(체적)한 것으로 인한 腹痛(복통)을 치료한다. 또 주로 회충, 요충에 사용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특징
전체에 가는털이 있으며 냄새가 난다.
학명 Carpesium abrotanoides L.
Sp. Pl. 2 : 860 (1753)
1. Carpesium abrotanoides var. thunbergianum (Siebold & Zucc.) Makino
J. Jap. Bot. 2-6: 22 (1922)
2. Carpesium thunbergianum Siebold & Zucc.
Abh. Akad. Muench. 4-3: 187 (1845)
3. Conyzoides abrotanoides (L.) Kuntze
Revis. Gen. Pl. 1 : 330 (Kuntze, 1891)
국명 담배풀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5)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1. 담배나물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학슬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Common Carpesium
일본명 : ヤブタバコ
북한명 : 담배풀
Carpesium abrotanoides L.
Sp. Pl. 2: 860. 1753 [1 May 1753]
2: 860 1753
Original Data:
Notes: Europ.; As. temp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천명정(天名精)
Carpesium abrotanoides Linn.
이명(异名)
Carpesium thunbergianum Siebold et Zucc.
Carpesium racemosum Wall.
Amphirhapis wightiana Hook.f.
Carpesium abrotanoides var. thunbergianum (Siebold & Zucc.) Makino
多年生草本,高50-100厘米。茎直立,上部多分枝,密生短柔毛,下部近无毛。下部叶宽椭圆形或矩圆形,长10-15厘米,宽5-8厘米,顶端尖或钝,基部狭成具翅的叶柄,边缘有不规则的锯齿,或全缘,上面有贴短毛,下面有短柔毛和腺点,上部叶渐小,矩圆形,无叶柄。头状花序多数,沿茎枝腋生,有短梗或近无梗,直径6-8毫米,平立或稍下垂;总苞钟状球形;总苞片3层,外层极短,卵形,顶端尖,有短柔毛,中层和内层矩圆形,顶端圆钝,无毛;花黄色,外围的雌花花冠丝状,3-5齿裂,中央的两性花花冠筒状,顶端5齿裂。瘦果条形,具细纵条,顶端有短喙,有腺点。
广布于各省区;朝鲜,日本,印度,伊朗和苏联高加索地区也有。
生山坡路旁,或草坪上。药用,可作驱蛔虫剂。
^^^^^^^^^^^^^^^^^^^^^^^^^^^^^^^^^^^^^^^^^^^^^^^^^^^^^^^^^^^^^^^^^^^^^^^^^^^
天名精
味甘寒。
主淤血,血瘕欲死,下血,止血,利小便。久服輕身耐老。一名麥句姜,一名蝦蟆藍,一名豕首。生川澤。
《名醫》曰:一名天門精,一名玉門精,一名彘顱,一名蟾蜍蘭,一名覲。生平原,五月採。
案《說文》云:薽,豕首也;《爾雅》云:茢薽豕首;郭璞云:今江東呼豨首,可以焰蠶蛹;陶宏景云:此即今人呼為豨薟;《唐本》云:鹿活草是也,別錄一名天蔓菁,南文呼為地鬆;掌禹錫云:陳藏器別立地菘條,後人不當仍其謬。
[本經/上經]
^^^^^^^^^^^^^^^^^^^^^^^^^^^^^^^^^^^^^^^^^^^^^^^^^^^^^^^^^^^^^^^^^^^^^^^^^^^
鶴蝨
학슬(鹤虱)
여의오좀性平(一云凉)味苦有小毒
성(性)은 평(平)하고 <일운(一云) 양(凉)> 미(味)는 고(苦)하며 소독(小毒)이 있다.
殺五藏盤及籵盤止秇幷付惡瘡
오장(五臟)의 충(蟲) 및 회충(蛔蟲)을 살(殺)하고, 학질(瘧疾)을 멎게 하며, 악창(惡瘡)에 부(付)한다.
苗葉皺似紫蘇七月開黃白花八月結實子極細採無時合莖葉用之《本草》
묘(苗), 엽(葉)이 쭈글쭈글하여 자소(紫蘇)와 비슷한데 칠월(七月)에 황백색(黃白色)으로 개화(開花)한다. 팔월(八月)에 결실(結實)하는데 자(子)는 극세(極細)하며, 아무 때나 경(莖), 엽(葉)을 채(採)하여 사용(使用)한다.[본초].
@鶴柕
학슬(鹤虱)
殺五藏蟲殺蟲藥此爲最要又主蛔蟯蟲
오장(五臟)의 충(忠)을 살(殺)하고 살충약(殺蟲藥)으로 최요약(最要藥)이다. 회(蛔), 요충(蟯蟲)에 주효(主效)하다.
蛔厥心痛取爲末蜜丸梧子大空心蜜湯下四五十丸
회궐(蛔厥/회교(蛔咬)의 심통(心痛)에는 연말(硏末)하여 밀(蜜)로 오자(梧子)크기의 환(丸)을 만들어 공심(空心)에 밀탕(蜜湯)으로 사십(四十)~ 오십환(五十丸)을 복용(服用)한다.
蟲痛取末二錢空心溫醋調下蟲當出《本草》
충통(蟲痛)에는 연말(硏末)하여 공심(空心)에 이전(二錢)을 온초(溫醋)에 조화(調和)하여 먹으면 충(蟲)이 반드시 나온다. [본초].
大腸蟲出不斷斷之復生鶴柕末水調服《得效》
대장충(大腸蟲)이 계속 나오거나 멎었다가 다시 나오는 데도 학슬(鹤虱) 가루를 수조복(水調服)한다.[득효].
[동의보감(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상경(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채(苦菜)[본경/동의보감] (0) | 2021.02.25 |
---|---|
백출(白朮)[본경/동의보감] (0) | 2021.02.02 |
목향(木香)[본경/동의보감] (0) | 2021.01.05 |
인진호(茵蔯蒿)[본경/동의보감] (0) | 2021.01.05 |
난초(蘭草)/패란(佩蘭) [본경/동의보감]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