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2. 02:17ㆍ[신농본초경]/상경(上經)
백출(白朮)[본경/동의보감]
큰꽃삽주/백출(白术)
큰꽃삽주
과 명
Compositae (국화과) 속 명
Atractylodes (삽주속)
전체학명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Fl. Symb. Or. Asiat. 5 (Koidz., 1930)
국명정보
추천명 큰꽃삽주
학명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Fl. Symb. Or. Asiat. 5 (Koidz., 1930)
국명 큰꽃삽주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Fl. Symb. Or.-Asiat. 5 (1930).
5 (1930) 0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백출(白术)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이명(异名)
Atractylis ovata Thunb.
Atractylis macrocephala var. hunanensis Ling
Atractylis nemotoiana Arènes
Atractylis lancea var. chinensis (Bunge) Kitam.
多年生草本。根状茎块状。茎高50-60厘米,上部分枝。叶有长柄,3裂或羽状5深裂,裂片卵状披针形至披针形,长5-8厘米,宽1.5-3厘米,顶端长渐尖,基部渐狭,边缘有贴伏的细刺齿,顶端裂片较大;茎上部叶狭披针形,不分裂。头状花序较大,长约2.5厘米,宽约3.5厘米,基部苞片叶状,长3-5厘米,羽状裂片刺状;总苞片约5-7层,外面略有微柔毛,外层短,卵形,顶端钝,最内层条形,顶端尖钝,伸长;花紫红色,花冠长约1.5厘米。瘦果密生柔毛;冠毛长约1.3厘米,羽状,基部连合。
分布于浙江、江西、湖南、湖北、陕西。野生于海拔1000-1800米的山坡林地,也常有栽培。根状茎药用。
^^^^^^^^^^^^^^^^^^^^^^^^^^^^^^^^^^^^^^^^^^^^^^^^^^^^^^^^^^^^^^^^^^^^^^^^^^^^^^
術
味苦溫。
主風寒濕痺死肌,痙疸,止汗,除熱,消食,作煎餌。久服,輕身延年,不飢。一名山薊(藝文類聚引作山筋),生山穀。
《吳普》曰:術,一名山連,一名山芥,一名天蘇,一名山薑(藝文類聚)。
《名醫》曰:一名山薑,一名山連,生鄭山,漢中,南鄭,二月三月八月九月,採根暴幹。
案《說文》云:術,山薊也;《廣雅》云:山薑,術也,白朮,牡丹也;《中山經》雲:首山草多術;郭璞雲:術,山薊也; 《爾雅》云:術,山薊;郭璞云:今術似薊,而生山中;《範子計然》云:術出三輔,黃白色者善;《列仙傳》云:涓子
[本經/上經]
^^^^^^^^^^^^^^^^^^^^^^^^^^^^^^^^^^^^^^^^^^^^^^^^^^^^^^^^^^^^^^^^^^^^^^^^^^^^^^
白朮
백출(白朮)
삽靕불휘性溫味苦甘無毒
성(性)은 온(溫)하고 미(味)는 고(苦), 감(甘)하며 무독(無毒)하다.
健脾強胃止瀉除濕消食止汗除心下急滿及囍亂吐瀉不止利腰臍間血療胃虛冷痢
건비(健脾), 강위(强胃)하고, 지사(止瀉), 제습(除濕)하며, 소식(消食), 지한(止汗)한다. 심하(心下)의 급만(急滿) 및 곽란토사(霍亂吐瀉)를 그치게 하고, 요제간(腰臍間)의 혈(血)을 이(利)하며, 위허(胃虛)의 냉리(冷痢)를 치료(治療)한다.
生山中處處有之其形㵋促色微褐氣味微辛苦而不烈一名乞力伽此白朮也《本草》
산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그 뿌리의 겉모양이 거칠며 둥근 마디로 되어 있다. 빛은 연한 갈색이다. 미(味)는 미신(微辛), 고(苦)하나 심하지 않다. 일명 걸력가(乞力伽)라고 하는 것이 백출(白朮)이다[본초].
本草無蒼白之名近世多用白朮治皮膚間風止汗消搽補胃和中利腰臍間血通水道上而皮毛中而心胃下而腰臍在氣主氣在血主血《湯液》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창출(蒼朮)과 백출(白朮)의 이름이 없었는데 근래 와서 백출(白朮)를 많이 쓴다. 백출(白朮)은 피부간(皮肤間)의 풍(風)을 치(治)하고 지한(止汗), 소차(消搽)하며, 보위(補胃), 화중(和中)한다. 요제간(腰臍間)의 혈(血)을 이(利)하고, 수도(手刀)를 통리(通利)하며, 상(上)으로 피모(皮毛), 중(中)으로 심(心), 위(胃), 하(下)로는 요제(腰臍)에 기병(氣病)이 있으면 主氣(주기)하고 혈병(血病)이 있으면 主血(주혈)한다.[탕액].
入手太陽少陰足陽明太陰四經緩脾生津去濕止渴米厹浸半日去蘆取色白不油者用之《入門》
수태양(手太陽)과 수소음(手少陰), 족양명(足陽明)과 족태음(足太陰)의 사경(四經)에 들어간다. 비(脾)를 緩(완)하며 生津(생진)하고, 去濕(거습), 止渴(지갈)한다. 米泔水(미감수)에 한나절 담갔다가 노두를 버리고 빛이 희고 기름기가 없는 것을 쓴다[입문].
瀉胃火生用補胃虛黃土同炒《入門》
위화(胃火)를 사하는 데는 생것으로 쓰고 위허(胃虛)를 보(補)할 때에는 황토(黃土)와 동초(同炒)한다.[입문].
[동의보감(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상경(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려자(菴閭子)[본경/동의보감] (0) | 2021.03.13 |
---|---|
고채(苦菜)[본경/동의보감] (0) | 2021.02.25 |
천명정(天名精) 학슬(鶴虱)[본경/동의보감] (0) | 2021.01.13 |
목향(木香)[본경/동의보감] (0) | 2021.01.05 |
인진호(茵蔯蒿)[본경/동의보감]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