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 5. 18:53ㆍ[신농본초경]/상경(上經)
인진호(茵蔯蒿)[본경/동의보감]
사철쑥/인진호(茵蔯蒿)
사철쑥
이명 : [애땅쑥]
학명 : Artemisia capillaris Thunb.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カワラヨモギ(Kawara-yomogi)
영명 : Capillary Wormwood
漢名 : 茵蔯蒿(인진호/자리 인, 더위지기 진, 쑥 호)
잎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 끝의 잎은 로제트형으로 달린다.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원줄기를 둘러싸고 길이 1.5-3.8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실처럼 가늘고 보통 견모로 덮여 있다. 꽃이 피는 가지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고 길이 1.5-9cm, 나비 1-7cm로서 엽병과 털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열편은 모관상(毛管狀)이며 녹색이다.
열매
열매는 수과이다.
꽃
꽃은 황색이며 8~9월에 피고 두화는 길이 1.2-1.5mm, 나비 1-1.2mm이며 난형이고 피기 전에는 밑으로 처지며 원줄기 끝에 큰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화경은 길이 1-2.5mm이다. 총포는 둥글며 지름 1-1.2mm로서 털이 없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짧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둔두이며 내편은 타원형이고 길이 0.7mm, 나비 0.4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줄기
높이 30-100cm이며 밑부분은 목질이 발달하여 나무처럼 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처음에는 견모(絹毛)로 덮여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중국, 만주, 대만, 필리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30~100cm이다.
생육 환경
▶물가의 모래땅, 산야 저지대에 난다.
꽃/번식방법
▶실생 및 분근에 의해 번식한다.
이용방안
▶어린 순을 식용한다.
▶사철쑥/비쑥의 어린 莖葉을 茵蔯蒿(인진호)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에 幼苗(유묘)의 높이가 약 8cm 쯤 되었을 때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사철쑥은 利膽作用(이담작용)의 유효성분인 scoparone 즉
6,7-dimethoxycoumarin을 함유한다. 함유율은 계절에 따라서 다르며 개화기가 가장 높아 1.98%이다. 또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도 함유한다. 전초는 精油(정유)를 약 0.27% 함유하지만 果穗(과수)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아서 함유율은 1%에 달한다. 그 성분은 β-pinene, capillin, capillone, capillene, capillarin이다. 또한 脂肪油(지방유)를 함유하며 그 脂肪酸(지방산)은 stea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rachidic acid, montanic acid이다. 무기성분으로서 염화칼륨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利濕(이습)의 효능이 있다. 濕熱黃疸(습열황달), 小便不利(소변불리), 風痒瘡疥(풍양창개)를 치료하고 주로 風濕寒熱邪氣(풍습한열사기), 熱結黃疸(열결황달)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유사종
털산쑥, 흰산쑥, 더위지기, 맑은대쑥, 참쑥 등이 있다.
특징
두상화서 가운데의 양성화는 열매를 맺지못한다.
학명 Artemisia capillaris Thunb.
1. Artemisia capillaris var. arbuscula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2: 175 (186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Artemisia capillaris var. sericea Nakai
Bot. Mag. (Tokyo) 26 : 99 (19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Artemisia hallaisanensis var. formosana Pamp.
Nuovo Giorn. Bot. Ital. n. s. 34: 658 (192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사철쑥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애땅쑥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Capillary Wormwood
일본명
カワラヨモギ
Artemisia capillaris Thunb.
in Nova Acta Soc. Sc. Upsal. iii. 209 (1780); Thunb. Fl. Jap. 309 (1784).
iii. 209 (1780); Thunb. Fl. Jap. 309 (1784). 0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인진호(茵陈蒿)
Artemisia capillaris Thunb.
이명(异名)
Artemisia capillaris var. arbuscula Miq.
Artemisia sacchalinensis TilBess.
Artemisia hallaisanensis formosana var. philippinensis Pamp.
Oligosporus capillaris (Thunb.) Poljak.
Artemisia scoparia var. heteromorpha Kitag.
Artemisia scoparia f. sericea Kom.
半灌木,有垂直或歪斜的根。茎直立,高50-100厘米,基部直径5-8毫米,多分枝;当年枝顶端有叶丛,被密绢毛;花茎初有毛,后近无毛,有多少开展的分枝。叶二次羽状分裂,下部叶裂片较宽短,常被短绢毛;中部以上叶长达2-3厘米,裂片细,宽仅0.3-1毫米,条形,近无毛,顶端微尖;上部叶羽状分裂,三裂或不裂。头状花序极多数,在枝端排列成复总状,有短梗及线形苞叶;总苞球形,长宽各约1.5-2毫米,无毛;总苞片3-4层,卵形,顶端尖,边缘膜质,背面稍绿色,无毛;花黄色,外层雌性,6-10个,能育,内层较少,不育。瘦果矩圆形,长约0.8毫米,无毛。
分布于南北各省区。植物多变异,曾被分为一些变种及变型。此种据苏联植物志是一年生草本。全草治黄疸型或无黄疸型传染性肝炎。
&&&&&&&&&&&&&&&&&&&&&&&&&&&&&&&&&&&&&&&&&&&&&&&&&&&&&&&&&&&&&
비쑥/인진호(茵陈蒿)
비쑥
학명 : Artemisia scoparia Waldst. & Kit.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ハマヨモギ(Hama-yomogi)
영명 : Virgate Wormwood
잎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새가지 끝의 잎은 로제트형이고 경생엽은 길이 3-5cm, 나비 2-5cm로서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실같이 가늘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며 엽병은 길이 2-6.5cm이다. 은 긴 엽병이 있고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꽃철에는 말라 없어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길이 3-5cm, 폭 2-5cm로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 또는 실모양이고 털이 있거나 없다.
열매
수과는 도란형으로 털이 없고 9-10월에 익는다.
꽃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고 길이 1.2-1.5mm, 지름 1-1.2mm로서 피기 전에 밑으로 처지며 두상화서가 원줄기 끝에서 큰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화경은 길이 1-2.5mm이다. 총포는 길고 둥글며 담록색이고 지름 1-1.2mm로서 털이 없으며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짧으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둔두이고 중편과 내편은 타원형이며 길이 0.7mm, 나비 0.4mm정도로서 털이 없다. 가장자리의 5-7개의 꽃은 열매 맺는 암꽃으로서 화관은 길이 0.5mm정도이다. 가운데의 열매 맺지않는 양성화는 4개 가량이며 화관의 길이는 0.4mm정도이다.
줄기
높이 60-9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흔히 자줏빛을 띠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약간 있거나 거의 없다. 밑부분에서 다음해의 새싹이 자란다.
뿌리
뿌리는 굵고 방추형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인도북부,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60-90cm정도이다.
생육 환경
▶산야의 모래자갈 땅, 묵밭,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결실기
9월, 10월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사철쑥/비쑥의 어린 莖葉을 茵蔯蒿(인진호)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에 幼苗(유묘)의 높이가 약 8cm 쯤 되었을 때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사철쑥은 利膽作用(이담작용)의 유효성분인 scoparone 즉
6,7-dimethoxycoumarin을 함유한다. 함유율은 계절에 따라서 다르며 개화기가 가장 높아
1.98%이다. 또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도 함유한다. 전초는 精油(정유)를 약 0.27% 함유하지만 果穗(과수)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아서 함유율은 1%에 달한다. 그 성분은 β-pinene, capillin, capillone, capillene, capillarin이다. 또한 脂肪油(지방유)를 함유하며 그 脂肪酸(지방산)은 stea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rachidic acid, montanic acid이다. 무기성분으로서 염화칼륨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利濕(이습)의 효능이 있다. 濕熱黃疸(습열황달), 小便不利(소변불리), 風痒瘡疥(풍양창개)를 치료하고 주로 風濕寒熱邪氣(풍습한열사기), 熱結黃疸(열결황달)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학명 Artemisia scoparia Waldst. & Kit.
Pl. Rar. Hung. 1: 66
1. Artemisia capillaris var. acaulis Pamp.
Nuovo Giorn. Bot. Ital. n. s. 34 15 (192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Artemisia capillaris var. scoparia (Waldst. & Kit.) Pamp.
Nuovo Giorn. Bot. Ital. n. s. 34: 11 (192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Artemisia scopariaeformis Popov
Cult. Land Basin of Amur-Dari Riv. 1: 50 (191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Artemisia scoparioides Gross
Trav. Georg. Invest. Stock Farm. Azerb. 2: 69 (192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Oligosporus scoparius (Waldst. & Kit.) Less.
Linnaea 9: 191 (183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비쑥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Virgate Wormwood
일본명
ハマヨモギ
Artemisia scoparia Waldst. & Kit.
Descr. Icon. Pl. Hung. i. 66. t. 65.
i. 66. t. 65. 0
Links:
basionym of:Asteraceae Draconia scoparia (Waldst. & Kit.) Soják Čas. Nár. Muz. Praze, Rada Přír. 152(1): 21. 1983
basionym of:Asteraceae Oligosporus scoparius (Waldst. & Kit.) Less. Linnaea 9: 191. 1834
Original Data:
Notes: Europ.; Oriens; Ind. o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비쑥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rtemisia scoparia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시베리아, 인도 북부, 중국, 유럽
자생지 바닷가 모래땅
크기 높이 60∼90cm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뿌리는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고 뿌리 윗부분은 자줏빛이다. 높이 60∼90cm이다. 밑부분은 다음해 새싹이 자라며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새 가지 끝에 달린 잎은 로제트형이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바늘 모양이며 길이 3∼5cm 정도로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잎은 1∼2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실같이 가늘고 길이 2∼6.5cm의 잎자루가 있다. 꽃은 8∼9월에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피고, 피기 전에는 밑으로 처지며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포조각은 3줄로 배열하고 털이 없다.
어린 풀 전체를 나물로 한다. 소변이 잘 안 나오거나 염증·요도염·신경쇠약·두통 등에 약용하고, 특히 여성 질병에 좋다고 하여 민간에서는 산후하혈·자궁출혈 등에도 흔히 쓴다. 사철쑥과 닮았으나 냄새가 다르다.
사철쑥은 줄기가 나무처럼 되어 있어 겨울철에도 죽지 않지만 비쑥은 겨울철에 줄기가 완전히 말라 죽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 일본, 시베리아, 인도 북부, 중국,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네이버백과
저모호(猪毛蒿)
Artemisia scoparia Waldst. et Kit.
이명(异名)
Artemisia capillaris var. acaulis Pamp.
Artemisia hallaisanensis var. philippinensis Pamp.
Artemisia sachalinensis Tilesius ex Bess.
Artemisia capillaris f. williamsonii Pamp.
Artemisia hallaisanensis f. swatowiana Pamp.
Artemisia kohatica K. W. Klatt
Artemisia hallaisanensis f. parvula Pamp.
Artemisia japonica f. vestita Pamp.
Artemisia capillaris var. sacchalinensis (Tilesius ex Bess.) Pamp.
Artemisia scopariaeformis M. Pop.
Draconia scoparia (Waldst. & Kit.) Soják
Artemisia piperita Pall. ex Ledeb.
Draconia capillaris (Thunb.) Soják
Artemisia sachaliensis Tilesius ex Besser
Artemisia scoparioides Grossh.
Artemisia gracilis L'Hér. ex DC.
Artemisia hallaisanensis var. formosana Pamp.
多年生萆本或近一、二年生草本;植株有浓烈的香气。主根单一,狭纺锤形、垂直,半 木质或木质化;根状茎粗短,直立,半木质或木质,常有细的营养枝,枝上密生叶。茎通常 单生,稀2—3枚,高40—90(一130)厘米,红褐色或褐色,有纵纹;常自下部开始分枝,枝 长10—20厘米或更长,下部分枝开展,上部枝多斜上展;茎、枝幼时被灰白色或灰黄色绢 质柔毛,以后脱落。基生叶与营养枝叶两面被灰白色绢质柔毛。叶近圆形、长卵形,二至三 回羽状全裂,具长柄,花期叶凋谢;茎下部叶初时两面密被灰白色或灰黄色略带绢质的短柔毛,后毛脱落,叶长卵形或椭圆形,长1.5—3.5厘米,宽1—3厘米,二至三回羽状全裂, 每侧有裂片3—4枚,再次羽:吠全裂,每侧具小裂片1—2枚,小裂片狭线形,长3—5毫米, 宽0.2—1毫米,不再分裂或具1—2枚小裂齿,叶柄长2—4厘米;中部叶初时两面被短柔 毛,后脱落,叶长圆形或长卵形,长1—2厘米,宽0.5—1.5厘米,一至二回羽状全裂,每侧 具裂片2—3枚,不分裂或再3全裂,小裂片丝线形或为毛发状,长4—8毫米,宽0.2—0.3 (一0.5)毫米,多少弯曲;茎上部叶与分枝上叶及苞片叶3—5全裂或不分裂。头状花序近球 形,稀近卵球形,极多数,直径1—1.5(一2)毫米,具极短梗或无梗,基部有线形的小苞叶, 在分枝上偏向外侧生长,并排成复总状或复穗状花序,而在茎上再组成大型、开展的圆锥 花序;总苞片3—4层,外层总苞片萆质、卵形,背面绿色、无毛,边缘膜质,中、内层总苞片 长卵形或椭圆形,半膜质;花序托小,凸起;雌花5一7朵,花冠狭圆锥状或狭管状,冠檐具 2裂齿,花柱线形,伸出花冠外,先端2叉,叉端尖;两性花4—10朵,不孕育,花冠管状,花 药线形,先端附属物尖,长三角形,花柱短,先端膨大,2裂,不叉开,退化子房不明显。瘦果 倒卵形或长圆形,褐色。 花果期7—10月。
^^^^^^^^^^^^^^^^^^^^^^^^^^^^^^^^^^^^^^^^^^^^^^^^^^^^^^^^^^^^^^^^^^^^^^
茵陳
(《御覽》作茵蒿)
味苦平。
主風濕寒熱,邪氣,熱結黃疸。久服輕身,益氣耐老(《御覽》作能老)。生邱陵阪岸上。
《吳普》曰:因塵,神農岐伯雷公苦無毒,黃帝辛無毒,生田中,葉如藍,十一月採(《御覽》)。
《名醫》曰:白兔食之仙,生太山,五月及立秋採,陰乾。
案《廣雅》雲:因塵,馬先也;陶宏景雲:仙經云,白蒿,白兔食之仙,而今茵陳乃云此,恐非耳;陳藏器雲:茵陳,經冬不死,因舊苗而生,故名茵陳,後加蒿字也,據此,知舊作茵陳篙,非;又按《廣雅》雲:馬先,疑即馬新蒿,亦白蒿之類。
[本經/上經]
^^^^^^^^^^^^^^^^^^^^^^^^^^^^^^^^^^^^^^^^^^^^^^^^^^^^^^^^^^^^^^^^^^^^^^
茵蔯蒿
더위자기性微寒(一云凉)味苦辛無毒(一云小毒)
성(性)은 미한(微寒)하고 <일운(一云)량(凉)> 미(味)는 고(苦), 신(辛)하며 무독(無毒)하다. <일운(一云)소독(小毒)>.
主熱結黃疸通身發黃小便不利治天行時疾熱狂頭痛及瀆秇
열결(熱結), 황달(黃疸), 전신(全身)의 발황(發黃), 소변불리(小便不利)에 주효(主效)하다. 천행시질(天行時疾), 열광(熱狂), 두통(頭痛) 및 장학(獎學)을 치(治)한다.
處處有之似蓬蒿而葉緊細無花實秋後葉枯莖印經冬不死更因舊苗而生故名茵蔯蒿五月七月採莖葉陰乾勿令犯火《本草》
여러 곳에서 있다. 봉호(蓬蒿)와 비슷한데 엽(葉)은 빳빳하고 가늘며 화(花), 실(實)이 없다. 가을이 지나면 잎이 마르고 줄기는 겨울이 지나도 죽지 않는다. 다시 묵은 줄기에서 싹이 돋기 때문에 이름을 인진호라고 한다. 오월(五月), 칠월(七月)에 경(莖), 엽(葉)을 채수(採收)하여 음건(陰乾)하는데 화(火)를 범(犯)하지 말아야 한다[본초].
入足太陽經去根土細犫用《入門》
족태양경(足太陽經)에 들어간다. 근(根), 토(土)는 거(去)하고 잘게 썰어서 쓴다[입문].
★主黃疸通身發黃小便赤以水濃煎服生食亦良《本草》
황달(黃疸)로 전신(全身)이 발황(發黃)하고 소변(小便)이 적색(赤色)인 것에 주효(主效)하다. 진하게 달여서 먹는데 생것으로 먹어도 역시 좋다[본초].
治酒疸取一兩淸酒煎服名酒煮茵蔯湯《醫鑑》
주달(酒疸)에는 일량(一兩)을 취(取)하여 청주(淸酒)에 전복(煎服)하는데 이것을 주자인진탕(酒煮茵蔯湯)이라고 한다[의감].
[동의보감(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상경(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명정(天名精) 학슬(鶴虱)[본경/동의보감] (0) | 2021.01.13 |
---|---|
목향(木香)[본경/동의보감] (0) | 2021.01.05 |
난초(蘭草)/패란(佩蘭) [본경/동의보감] (0) | 2021.01.05 |
창출(蒼朮)[본경/동의보감] (0) | 2021.01.05 |
누로(漏蘆)[본경동의보감] (0) | 202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