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로(漏蘆)[본경동의보감]

2020. 12. 23. 17:37[신농본초경]/상경(上經)

누로(漏蘆)[본경동의보감]

 

 

 

큰절굿대 /누로(漏蘆)

 

 

 

큰절굿대

 

이명 : [큰분취아재비] [절구대]

학명 : Echinops latifolius Tausch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Oku-ruri-higotai

영명 : Broadleaf. Globe thistle

 

 

근생엽은 꽃이 필 때 거의 없어지며 타원상 도란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25-30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거미줄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지만 엽맥에는 털이 없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 끝에 길이 2-3mm의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이고 5-6쌍의 열편이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이 가시로 된다. 밑잎에는 긴 엽병이 있고 윗잎은 엽병없이 줄기를 감싼다.

 

열매

수과는 원통형으로서 갈색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1mm정도의 인편으로서 밑이 합생하였으며 9-10월에 익는다.

 

두화는 7-8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둥글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총포편은 길이 17-18mm, 나비 5mm로서 외포편이 내포편보다 점차 짧아지며 주걱형이고 끝이 가시처럼 되며 뒷면에 검은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딱딱하며 내포편은 긴 능형(菱形)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고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갈색이다.

 

줄기

높이 60-8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고 밑부분에는 거미줄털이 약간 있고 윗부분에서는 백색의 솜털이 있다.

 

뿌리

길이 10-25cm의 육질인 원주형 뿌리가 있으며 겉은 황갈색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중국 / 한국(경기도 광주시; 강원도; 제주도)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길이가 60-80cm 이다.

희귀, 특산식물 정보

[자료부족종]

평가내용:자료부족종 / 국가단위

 

 

 

 

생육 환경

양지바른 산비탈 풀밭 또는 관목림.

결실기

9, 10

 

이용방안

 

관상용.

뻐꾹채/큰절굿대/절굿대의 ()漏蘆(누로), 花序(화서)追骨風(추골풍)이라 하며 약용한다.

 

漏蘆(누로)

 

가을에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뻐꾹채의 뿌리는 精油(정유)를 함유하고 큰절굿대의 rhktlfdmsechinorine을 함유하고 종자는 echinopsineechinine을 함유한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 消腫(소종), 背痛(배통), 下乳(하유), 筋脈疏通(근맥소통)의 효능이 있다. 癰疽發背(옹저발배-등에 생긴 腫瘍(종양)), 乳房(유방)腫痛(종통), 乳汁不通(유즙불통), (나력악창), 濕痺筋脈拘攣(습비근맥구련), 骨節疼痛(골절동통), 熱毒血痢(열독혈리), 痔瘡出血(치창출혈)을 치료한다. <외용> 달인 ()으로 씻던가 또는 가루를 만들어 고루 바른다.

 

追骨風(추골풍) - 活血(활혈), 發散(발산)의 효능이 있다. 술에 담가서 복용하면 타박상을 치료한다.

 

보호방안

자생지 확인이 필요하다.

 

 

학명 Echinops latifolius Tausch

Flora 11: 486 (1828)

1. Echinops dahuricus Fisch.

Cat. Hort. Gorenk. ed 2: 37 (18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Echinops dahuricus var. angustilobus DC.

Prodr. (DC.) 6 : 523 (DC., 183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Echinops dahuricus var. latilobus DC.

Prodr. (DC.) 6 : 523 (DC., 183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Echinops dissectus Kitag.

J. Jap. Bot. 11: 171 (193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Echinops gmelini Ledeb.

Fl. Alt. 4: 45 (183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Sphaerocephalus latifolius (Tausch) Kuntze

Revis. Gen. Pl. 1 : 366 (Kuntze, 189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큰절굿대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1. 절구대

2. 큰분취아재비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Broadleaf Globethistle

 

 

 

 

Echinops latifolius Tausch

Flora 11(2): 486. 1828

11(2): 486 1828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려기구(驴欺口)

 

Echinops latifolius Tausch.

 

 

이명(异名)

 

Echinops dahuricus var. angustilobus DC.

Echinops dahuricus var. latilobus DC.

Echinops caulesubunifloro Gmelin

Sphaerocephalus dahuricus (Fisch.) O. Ktze ex Kom.

Echinops caule subunifloro Gmelin

Echinops pratensis Turcz. ex Ledeb.

Echinops manshuricus Kitag.

Echinops latifolius f. angustilobus (DC.) Kitag.

Echinops latifolius var. manshuricus (Kitag.) C.Y.Li

 

 

多年生草本高约1不分枝或少分枝上部密生白绵毛下部疏生蛛丝状毛2回羽状分裂或深裂上面疏生蛛丝状毛或无毛下面密生白绵毛边缘有短刺基生叶矩圆状倒卵形长约20厘米有长柄上部叶渐小长椭圆形至卵形10-20厘米基部抱茎复头状花序球形直径约4厘米小头状花长近2厘米外总苞刚毛状内总苞片外层的匙形顶端渐尖边缘有篦状睫毛内层的狭菱形至矩圆形顶端尖锐中部以上有睫毛花冠筒状裂片5条形淡蓝色筒部白色瘦果圆柱形密生黄褐色柔毛冠毛长约1毫米下部连合

 

分布于东北华北甘肃陕西河南山东朝鲜蒙古苏联也有生林缘干燥山坡

 

 

^^^^^^^^^^^^^^^^^^^^^^^^^^^^^^^^^^^^^^^^^^^^^^^^^^^^^^^^^^^^^^^^^^^^^^^^

 

 

뻐꾹채 /누로(漏蘆)

 

 

 

 

뻐꾹채

 

이명 : [뻑국채]

학명 : Rhaponticum uniflorum (L.) DC.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オオバナアザミ(Obana-azami). Tairin-azami

영명 : Uniflower Swisscen-taury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상 타원형 또는 피침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15-50cm로서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진다. 열편은 6-8쌍으로서 서로 떨어져 있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이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열매

수과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5mm, 직경 2mm이고 관모는 여러 줄이 있으며 길이는 2cm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6~9cm로서 원줄기 끝에 한 개씩 곧추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3cm, 5cm이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되며 외편과 중편은 주걱형으로서 윗부분이 넓고 뒷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밑부분에 털이 많고 내편은 피침상 선형으로서 끝이 약간 넓다. 화관은 길이 3cm이며 통부의 좁은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짧고 홍자색이다.

 

줄기

높이 30-70cm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으며 가지가 없고 곧게 자란다. 원줄기는 화경상(花莖狀)으로서 줄이 있다.

 

뿌리

땅속으로 굵은 뿌리가 깊게 뻗어 내려간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소련, 몽고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크기

높이 30~70cm

 

 

 

 

생육 환경

건조한 양지에서 자란다. 건조에 견디는 힘이 강하여 산지의 능선부에 잘 적응하면서 자라는 것을 볼수 있다.

토질은 가리지 않는 편이며, 사질양토에서 더 잘 자란다. 충분한 광을 요하며,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건조

 

/번식방법

 

실생으로 번식한다.

1.실생: 열매가 성숙하는 시기인 10월경에 종자를 채집하여 곧장 파종하거나 건조저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하면 잘 발아한다.

2.묘판을 만들어 육묘를 한 후 옮겨심거나 본상에 직접 파종하여도 무방하다.

3.포트묘로 생산할 때는 포트의 깊이가 긴 것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직근이 많고 측근이 적기 때문에 가급적 포트양묘로 생산하는 것이 옮겨심을 때 활착률이 높고 이식 후 개화도 잘 되리라 본다.

 

재배특성

 

거름주기: 뻐국채는 건조하고 비옥하지 않은 토양에서 적응성이 뛰어나지만 재배하여 다량의 생산을 하고자 할 때는 배수가 잘되고 부식질이 많은 토양에서 건강한 묘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300평당 1,200정도의 완숙퇴비를 주고 깊게 경운해 주는 것이 뿌리 발달에 좋다.

햇빛의 강도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가급적 수광량이 많은 것이 생장에 좋다.

결실기

10

이용방안

야생화로 출하한다.

봄에 굵은 싹이 나올 때 어린 순을 따서 나물용으로 이용하도록 생산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어린 순은 향기롭고 싸근한 맛이 구미를 돋우는데 삶아서 우렸다가 나물로 무쳐도 좋고 기름에 볶아서 먹어도 좋다. 큰 꽃봉오리는 채 피기 전에 따서 까실까실한 갈색의 비늘을 벗겨 버리고 살짝 데쳐 썰어서 샐러드나 초고추장에 찍어 먹어도 좋고 볶아도 맛있다.

뻐꾹채/큰절굿대/절굿대의 ()漏蘆(누로), 花序(화서)追骨風(추골풍)이라 하며 약용한다.

 

 

漏蘆(누로)

가을에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뻐꾹채의 뿌리는 精油(정유)를 함유하고 큰절굿대의 rhktlfdmsechinorine을 함유하고 종자는 echinopsineechinine을 함유한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 消腫(소종), 背痛(배통), 下乳(하유), 筋脈疏通(근맥소통)의 효능이 있다. 癰疽發背(옹저발배-등에 생긴 腫瘍(종양)), 乳房(유방)腫痛(종통), 乳汁不通(유즙불통), 나력악창, 濕痺筋脈拘攣(습비근맥구련), 骨節疼痛(골절동통), 熱毒血痢(열독혈리), 痔瘡出血(치창출혈)을 치료한다. <외용> 달인 ()으로 씻던가 또는 가루를 만들어 고루 바른다.

 

追骨風(추골풍) - 活血(활혈), 發散(발산)의 효능이 있다. 술에 담가서 복용하면 타박상을 치료한다.

 

 

유사종

외관상 엉겅퀴와 비슷하나 가시가 없고 꽃이 크다.

특징

`일명` 멍구지`라고도 하며 잎이 엉겅퀴 잎을 닮았으나 더 크고 전혀 가시가 없으며 잎의 앞·뒷면과 줄기 등 모두에 흰털이 뒤집어 씌우듯 나 있어서 쉽게 구별된다.

병충해정보

성장과정중에 특별한 병충해가 발생되지는 않지만 열매를 가해하는 충류가 간혹 나타난다. 그러나 식용으로 채취하고자 할 때에는 살충제를 살포하지 못하기 때문에 해충의 구제에 문제가 있다.

방제방법

만일 채종을 목적으로 할 때는 살충제를 거침없이 살포하여야 한다. 파프 2% 분제나 다수진수화제 1,000배액을 살포하여도 된다.

 

 

학명 Rhaponticum uniflorum (L.) DC.

Ann. Mus. Paris 16: 189 (1810)

1. Centaurea grandiflora Pall.

Itin, 3: 237 (177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Centaurea membranacea Lam.

Encycl. Meth. 1: 666 (178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Centaurea monanthos Georgi

Syst. Veget. 3: 387 (Beschreib, 182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Cnicus monanthus Georgi

Reise russ. Reich. 1: 231 (Bemerk., 177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Cnicus uniflorus L.

Mant. Pl. 2: 572 (177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Leuzea dahurica Bunge

Mem. Sav. Etrang. Acad. Sci. St.-Pet. 2: 111 (183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Rhaponticum dahuricum Turcz.

Bull. Soc. Natural Moscou 11: 95 (183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8. Rhaponticum monanthum (Georgi) Vorosch.

Ind. Sem. Hort. Bot. Acad. Sci. URSS 8: 28 (195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9. Serratula uniflora (L.) Spreng.

Syst. Veget. 3: 387 (Beschreib, 182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뻐꾹채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뻑국채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영문명 : Uniflower Swisscen-taury

일본명 : オオバナアザミ

북한명 : 뻐꾹채

 

 

Rhaponticum uniflorum DC.

Diss. Comp. 33.

33 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Rhaponticum uniflorum (L.) DC. 异名독로파정(秃老婆顶)

 

 

正名Stemmacantha uniflora (Linn.) Ditrich 누로(漏芦)

 

누로(漏芦)

 

Stemmacantha uniflora (Linn.) Ditrich

 

이명(异名)

 

Centaurea membranacea Lam.

Centaurea monanthos Georgi

Leuzea dahurica Bunge

Rhaponticum dahuricum (Bunge) Turcz.

Rhaponticum satzyperovii Soskov

Rhaponticum uniflorum (L.) DC.

Serratula uniflora Spreng.

Rhaponticum monanthum (Georgi) Vorosch.

Centaurea grandiflora Pall.

Leuzea satzyperovii Holub

Leuzea uniflora (L.) Holub

Centaurea monantha Georgi

 

多年生草本(6)30100厘米根状茎粗厚根直伸直径13厘米茎直立不分枝簇生或单生灰白色被棉毛基部直径0.51厘米被褐色残存的叶柄基生叶及下部茎叶全形椭圆形长椭圆形倒披针形1024厘米49厘米羽状深裂或几全裂有长叶柄叶柄长620厘米侧裂片512椭圆形或倒披针形边缘有锯齿或锯齿稍大而使叶呈现二回羽状分裂状态或边缘少锯齿或无锯齿中部侧裂片稍大向上或向下的侧裂片渐小最下部的侧裂片小耳状顶裂片长椭圆形或几匙形边缘有锯齿中上部茎叶渐小与基生叶及下部茎叶同形并等样分裂无柄或有短柄全部叶质地柔软两面灰白色被稠密的或稀疏的蛛丝毛及多细胞糙毛和黄色小腺点叶柄灰白色被稠密的蛛丝状棉毛头状花序重生茎顶花序梗粗壮裸露或有少数钻形小叶总苞半球形直径3.56厘米总苞片约9覆瓦状排列向内层渐长外层不包括顶端膜质附属长三角形4毫米2毫米;中层不包括顶端膜质附属物椭圆形至披针形;内层及最内层不包括顶端附属物披针形长约2.5厘米宽约5毫米全部苞片顶端有膜质附属物附属物宽卵形或几圆形长达1厘米宽达1.5厘米浅褐色全部小花两性管状花冠紫红色3.1厘米细管部长1.5厘米花冠裂片长8毫米瘦果34楔状4毫米2.5毫米顶端有果缘果缘边缘细尖齿侧生着生面冠毛褐色多层不等长向内层渐长长达1.8厘米基部连合成环整体脱落;冠毛刚毛糙毛状花果期49

 

 

 

Stemmacantha uniflora ( L. ) Dittrich

Candollea 39(1): 49 (1984):.

39(1): 49 (1984): 1984

Links:

basionym:Asteraceae Cnicus uniflorus L. Mant. Pl. Altera 572. 1771 [Oct 1771]

 

Original Data:

Basionym: Cnicus uniflorus. (L.)

 

 

 

^^^^^^^^^^^^^^^^^^^^^^^^^^^^^^^^^^^^^^^^^^^^^^^^^^^^^^^^^^^^^^^^^^^^^^^^^^

 

漏蘆

 

味苦鹹寒

 

主皮膚熱惡創疽痔濕痺下乳汁久服輕身益氣耳目聰明不老延年一名野蘭生山谷

 

名醫生喬山八月採根陰乾

 

廣雅飛廉漏蘆也陶寵景雲俗中取根名鹿驪

 

 

 

[神農本草經/上經]

 

 

^^^^^^^^^^^^^^^^^^^^^^^^^^^^^^^^^^^^^^^^^^^^^^^^^^^^^^^^^^^^^^^^^^^^^^^^^^

 

 

漏蘆

 

 

 

 

졀국대性寒味苦稜無毒

 

()은 한()하고, ()는 고()하며 함()하고 무독(無毒)하다.

 

 

治身上熱毒風生惡瘡皮肌瘙痒温疹療發背乳癰岤嵤排膿補血付金瘡止血治瘡疥

 

열독풍(熱毒風)으로 몸에 악창(惡瘡)이 생긴 것, 피부소양(皮膚瘙痒), 발배(發背), 유옹(乳癰), 나력(癩癧) 등을 치()한다. 배농(排膿), 보혈(補血)하며 금창(金瘡)에 붙이면 지혈(止血)하며, 창개(瘡疥)를 치()한다.

生山野莖若箸大其子作房類油麻而小根黑色似蔓菁而細八月採根陰乾本草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젓가락만하고 그 씨는 거푸집이 있어 유마(油麻)와 비슷한데 작다. 뿌리는 검어서 순무(蔓靑)와 비슷한데 가늘다. 팔월(八月)에 채근(採根)하여 음건(陰乾)한다.[본초].

 

 

足陽明本經藥入門

 

족양명(足陽明)본경(本經)의 약()이다.[입문].

 

 

 

 

莖葉

 

療疳蝕殺盤有驗本草

 

누로경엽(漏蘆莖葉)

 

감식(疳蝕)을 치()하며, 살충(殺蟲)하는데 효험(效驗)이 있다.[본초].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