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菊花)[본경/동의보감]

2020. 12. 15. 21:13[신농본초경]/상경(上經)

국화(菊花)[본경/동의보감]

 

 

 

 

국화

 

학명 :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Kiku

영명 : Chrysanthemum. Chinese chrysanthemum

漢名 : 菊花(국화)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난형으로서 우상으로 중앙부까지 갈라지고 열편은 불규칙한 결각과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이 심장저이다.

 

가을철에 원줄기 윗부분의 가지 끝에 두화(頭花)가 달리고 두화 주변에 자성(雌性)의 설상화(舌狀花)가 달리며 중앙부에 양성의 관상화가 있어 열매를 맺는다. 오래 재배해 오는 동안 많은 변종이 개발되었으며 꽃의 지름에 따라서 18cm이상인 것을 대륜(大輪), 9cm이상인 것을 중륜(中輪), 그 이하인 것을 소륜(小輪)으로 구별하고, 또 꽃잎의 형태에 따라서 후물(厚物), 관물(管物) 및 광물(廣物)로 크게 나눈 다음 세별하기도 한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약간 목질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는 1m 정도 된다.

 

 

 

 

생육 환경

좋은 토질에서는 어디서든 잘 자란다.

/번식방법

번식법은 계통분리법, 종간잡종법, 생태육종법, 삽목법, 분주법 등이 있는데 주로 삽목법이나 분주법에 의해 번식된다.

결실기

10

이용방안

국화는 식용, 관상용, 약용 등에 두루 쓰인다.

꽃을 술을 담근 국화주는 그 향이 매우 그윽하여 호평을 받고 있다.

화분 및 길가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頭花(두화)菊花(국화), 白菊花根(백국화근), 어린 莖葉(경엽)菊花苗(국화묘), 菊花葉(국화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菊花(국화)

10월 하순 꽃이 만발할 때 채취하며 그 가공법은 각 産地(산지)의 약재종류에 따라 다르다.

 

성분 : 꽃과 줄기는 精油(정유)를 함유하며 또 adenine, choline, stachydrine 등도 함유되어 있다. 꽃은 chrysanthemin, amino acids, flavonoid와 미량의 비타민B1을 함유한다. 精油(정유)는 주로 borneol, camphor, chrysanthenone 등을 함유한다. Flavonoid로서 luteolin-7-glucoside, cosmosiin, acaciin을 함유하며 또 succinic acid dimethylhydrazide(aminozide)를 포함한다.

 

약효 : 疏風(소풍), 淸熱(청열), 明目(명목), 해독의 효능이 있다. 頭風(두풍), 眩暈(현운), 目赤(목적-눈의 충혈), 心胸煩熱(심흉번열), 정창, 腫毒(종독)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5-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처럼 달여서 복용하던가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해서 복용한다.

 

白菊花根(백국화근)

 

약효 : 利水(이수)하며 짓찧어 낸 즙을 술과 함께 복용하면 크게 융폐를 치료한다. 또 정종후정, 喉癬(후선)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짓찧어 낸 즙을 마신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菊花苗(국화묘)

 

초여름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약효 : 淸肝(청간), 明目(명목)의 효능이 있다. 頭風(두풍)으로 인한 眩暈(현운), 角膜混濁(각막혼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달이거나 가루를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달인 ()으로 熏洗(훈세)한다.

 

 

菊花葉(국화엽)

 

약효 : 정창, 癰疽(옹저), 頭風(두풍), 目眩(목현)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달이거나 짓찧어 낸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유사종

 

구절초 C.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 두화의 지름이 8cm정도에 이른다.

감국 C. indicum L. : 꽃의 지름은 2.5cm이고 산방상으로 달린다.

 

 

특징

 

오랫동안 재배해 오는 동안 많은 변종(變種)이 개발되었으며 꽃의 지름에 따라 18cm 이상인 것을 대륜(大輪), 9cm 이상인 것을 중륜(中輪), 그 이하인 것을 소륜(小輪)으로 구별한다. 또 꽃잎의 모양에 따라 후물(厚物), 관물(管物), 광물(廣物)로 크게 나누고 여기서 다시 잘게 나누기도 한다. 잡종성기원으로서 구절초, 감국 등이 이에 관여되었다고 보고 있다.

 

 

학명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Journ. Hist. Nat. Paris 2 : 240 (1792)

1. Anthemis artemisiaefolia Willd.

Neu Shrift. Ges. Nat. Fr. Berlin 3 : 431 (180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Anthemis stipulacea Moench

Meth. Suppl. 258 (180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Anthenis grandiflora Ramat.

l. c (19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Chrysanthemum hortorum Bailey

Stand. Cycl. Hort. 2 : 755, f. 938-950 (191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Chrysanthemum morifolium Kitam.

Compos. Japon. 2 : 373 (1792)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6. Chrysanthemum morifolium Thunb.

Fl. jap. 320 (1784)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7. Chrysanthemum morifolium var. sinense (Sabine) Makino

Bot. Mag. Tokyo 26 : 215 (19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8. Chrysanthemum morifolum Grossh.

Opred., Rast. Kavk. 458 (1949)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9. Chrysanthemum morifolum stank

Stank et Tal. Opred. Rast. Evrop. Ch. SSSR 628 (1949)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10. Chrysanthemum purpureum Pers.

Syn. Pl. 2 : 461 (180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1. Chrysanthemum sinense Sabine

Trans. Linn. Soc. 14 : 142 (1823)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12. Chrysanthemum sinense Sabine ex Sweet

Brit. Fl. Gard. 1. sub t. 7 & 14 (182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3. Chrysanthemum stipulaceum (Moench) W.Wight

U. S. Dep. Agr. Pl. Indust. Bull. no. 137 : 21 (190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4. Dendranthema grandiflorum (Ramat.) Kitam.

Acta Phytotax. Geobot. 29 : 165 (197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5. Dendranthema morifolium (Ramat.) Tzvelev

Fl. URSS 26 : 373 (196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6. Dendranthema sinense (Sabine) DesMoul.

Act. Soc. Linn. Bord. 20 : 562 (1855)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17. Dendranthema sinense var. hortense Makino ex Matsum.

Ind. 2-2 : 639 (19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8. Dendranthema sinensis (Sabine) DeMoulins

Act. Soc. Linn. Bordeaux 20 : 562 (185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Fl. U.S.S.R. - use Fl. URSS (1963-x)

19. Matricaria mlifolia Ramat.

Neolin. Fl. Manshur. 585 (Kitag., 19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0. Pyrethrum sinense (Sabine) DC.

Prodr. 6 : 62 (183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Fl. U.S.S.R. - use Fl. URSS (1963-x)

21. Tanacetum morifolium (Ramat.) Kitam.

l. c. 373 (1940)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22. Tanacetum morifolium Kitam.

Compos. Jap. 2 : 162 (194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3. Tanacetum sinense (Sabine) Sch.Bip.

Uber Tanacet. 50 (184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Fl. U.S.S.R. - use Fl. URSS (1963-x)

국명 국화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Journ. Hist. Nat. Paris ii. 240 (1792), in adnot.

ii. 240 (1792), in adnot. 0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국화(菊花)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이명(异名)

 

Dendranthema morifolium (Ramat.) Tzvel.

Chrysanthemum morifolium var. sinense (Sabine) Makino

Chrysanthemum sinense var. hortense Makino ex Matsum.

Dendranthema sinense (Sabine) Des Moul.

Pyrethrum sinense (Sabine) DC.

Tanacetum morifolium (Ramat.) Kitam.

Tanacetum sinense (Sabine) Sch. Bip.

Dendranthema sinensis (Sabine) Des Moul.

Anthemis artemisifolia Willd.

Anthemis stipulacea Moench

Matricaria morifolia (Ramat.) Ramat.

Chrysanthemum stipulaceum (Moench)

Chrysanthemum sabini Lindl.

 

 

^^^^^^^^^^^^^^^^^^^^^^^^^^^^^^^^^^^^^^^^^^^^^^^^^^^^^^^

 

 

 

鞠華

 

味苦平

 

主風頭眩腫痛目欲脫淚出皮膚死肌惡風濕痺久服利血氣輕身耐老延年一名節華生川澤及田野

 

 

吳普菊華一名白華初學記),一名女華一名女莖

名醫一名日精一名女節一名女華一名女莖一名更生一名周盈一名傅延年一名陰成生雍州正月採根三月采葉五月採莖九月採花十一月採實皆陰乾

說文蘜治牆也蘜日精也似秋華或省作,《爾雅蘜治牆郭璞云今之秋華菊則蘜、(上艹下左辛右匊)、蓻皆秋華惟今作菊,《說文以為大菊瞿麥假音用之也

 

 

 

[本經/上經]

 

 

^^^^^^^^^^^^^^^^^^^^^^^^^^^^^^^^^^^^^^^^^^^^^^^^^^^^^^^

 

 

甘菊花

 

감국화(甘菊花)

 

 

강셩황性平味甘無毒

 

()은 평()하고 미()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安腸胃利五怴調四肢主風眩頭痛養目血止淚出淸利頭目療風濕痺

 

장위(腸胃)를 안()하고 오맥(五脈)을 이()하며 사지(四肢)를 조(調)하고, 풍현(風眩)두통에 주효(主效)하다. 눈의 혈()을 양()하고, 지루(止淚)하며, (), ()을 청리(淸利)하고, 풍습비(風濕痺)를 치료(治療)한다.

 

 

處處種之菊類甚多惟單葉花小而黃葉綠色深小而薄應候而開者是眞也

어느 곳에나 심는다. 국류(菊類) 매우 많은데 오직 단엽(單葉)이면서 작고 누르며 잎은 진한 풀빛이고 작으며 엷다. 늦은 가을에 꽃이 피는 것이 진짜이다.

 

 

甘者入藥苦者不用

()한 것은 약에 쓰고 쓴 것은 쓰지 못한다.

 

野菊爲薏菊甘而薏苦甘菊延齡野菊瀉人花小氣烈葉靑者爲野菊

야국(野菊)은 의국(薏菊)이라고도 하는데 감()하고, 의국(薏菊)은 고()하다. 감국(甘菊)은 연령(延齡)하고 야국(野菊)은 사람을 사()한다. ()는 작으면서 기()가 열()하고 엽()이 청()한 것은 야국(野菊)이다.

正月採根三月採葉五月採莖九月採花十一月採實皆陰乾用之本草

 

정월(正月)에 채근(採根)하고, 삼월(三月)에 채엽(採葉)하며, 오월(五月)에 채경(採莖)하고, 구월(九月)에 채화(菜花)하며, 십일월(十日月)에 채실(採實)하고, 음건(陰乾)하여 사용(使用)한다.[본초].

 

 

 

白菊花

 

백국화(白菊花)

 

 

흰국화莖葉都相似惟花白亦主風眩令頭不白

 

(), () 모두 국화(菊花)와 비슷한데 오직 화()만 백색(白色)이다. 역시 풍현(風眩)에 주효(主效)하고 머리가 희지 않게 한다.

 

葉大似艾葉莖靑根細花白蘂黃性平味辛無毒主風眩八九月收花暴乾本草

 

()의 크기는 애엽(艾葉)과 비슷하다. ()은 푸르고 근()은 가늘며 화()는 희고 꽃술은 누렇다. ()은 평()하고 미()는 신()하며 무독(無毒)하다. 풍현(風眩)에 주효(主效)하며, ()~구월(九月)에 채화(菜花)하여 폭건(暴乾)한다.[본초].

 

 

 

 

甘菊花

 

감국화(甘菊花)

 

 

輕身耐老延年苗葉花根皆可服陰乾搗末酒調服或蜜丸久服本草

 

경신내로(經身耐老), 연년(延年)한다. (), (), (), () 모두 복용(服用)한다. 음건(陰乾)하고, 도말(搗末)하여 주()에 조복(調服)하거나 혹은 밀환(蜜丸)으로 구복(久服)한다.[본초].

 

菊花酒方甘菊花生地黃枸杞根皮各五升水一石煮取汁五斗姎米五斗炊熟入細麴和勻入瓮候熟澄淸溫服壯筋骨補髓延年益壽白菊花尤佳入門

 

국화주(菊花酒)를 만드는 방()은 국화(菊花), 생지황(生地黃), 구기근피(拘杞根皮) ()오승(五升)에 일석(一石)의 물로 자()하여 오두(五斗)를 취즙(取汁)한것과 나미(糯米) 오두(五斗)로 지은 밥과 보드랍게 가루 내어 만든 누룩을 함께 버무려 항아리에 넣는다. 술이 익은 다음 청주만을 떠서 온복(溫服)하면 근골(筋骨)을 장()하고, ()를 보()하며, 연년익수(延年益壽)한다. 백국화(白菊花)가 더 좋다.[입문].

 

 

治癰毒及煿腫垂死菊葉搗取汁飮一升神驗

 

옹독(癰毒), 정창(疔瘡), 종독(腫毒)으로 죽을 것 같이 된 것을 치()한다. 국엽(菊葉) 도즙(搗汁)을 취()하여 일승(一升)을 마시면 신험(神驗)하다.

又取莖葉塗付煿上亦效名曰陶潛膏醫鑑

 

또는 경(), ()을 취()하여 짓찧어 정종(疔腫)에 붙여도 효과가 있다. 이것을 도잠고(陶潛膏)라고 한다[의감].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