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순(竹筍)[본초강목]

2020. 4. 15. 23:22[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죽순(竹筍)[본초강목]

 















^^^^^^^^^^^^^^^^^^^^^^^^^^^^^^^^^^^^^^^^^^^^^^^^^^^^^^^^^^^^^^^^^^^^^

 

竹筍

 

(《蜀本草》)

 


 

校正

 

並入木部拾遺桃竹筍

 


 

釋名


 

竹萌(《爾雅》)竹芽(《筍譜》)竹胎(《說文》)竹子(《神異經》)。

 


 

時珍曰從竹諧聲也陸佃云旬內為筍旬外為竹故字從旬今謂竹為妒母草謂筍生旬有六日而齊母也

 


荀字(순자) ()에 따른 () 諧聲文字(해성문자)인데 陸佃(육전) ()의 속을 ()이라고 하고, ()의 밖을 ()이라고 한다. 그래서 文字(문자) ()에 따르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지금은 () 妒母草(투모초)라고 하는데 그 뜻이 ()이 나오면 一旬(일순) 六日(육일) ()와 같아진다는 것이다.

 


 

僧贊寧筍譜筍一名萌一名蒻一名虇一名茁一名初篁皆會意也俗作筍者

 


僧贊寧(승찬녕) 筍譜(순보)에는 () 一名(일명) (), 一名(일명) (), 一名(일명) (), 一名(일명) (), 일명 初篁(초황)” 이라 하였는데 모두 會意(회의)인 것이다. 흔시 ()이라고 表記(표기)하지만, 그것은 옳은 것이 아니다.

 

 


集解


 

弘景曰竹類甚多筍以實中竹篁竹者為佳於藥無用

 


頌曰竹筍諸家惟以苦竹筍為最貴然苦竹有二種一種出江西及閩中者本極粗大筍味殊苦不可啖一種出江浙及近道者肉濃而葉長闊筍味微苦俗呼甜苦筍食品所宜亦不聞入藥用也

 


時珍曰武昌戴凱之僧贊寧皆著竹譜》,凡六十餘種其所產之地發筍之時各各不同詳見木部竹下其筍亦有可食不可食者大抵北土鮮竹惟秦楚以南則多有之竹有雌雄但看根上第一枝雙生者必雌也乃有筍土人於竹根行鞭時掘取嫩者謂之鞭筍江南湖南人冬月掘大竹根下未出土者為冬筍,《東觀漢記謂之苞筍並可鮮食為珍品其他則南人淡乾者為玉版筍明筍火筍鹽曝者為鹽筍並可為蔬食也

 

 


贊寧云凡食筍者譬如治藥得法則益人反是則有損采之宜避風日見風則本堅入水則肉硬脫殼煮則失味生著刃則失柔煮之宜久生必損人

 


僧贊寧(승찬녕)대개 () ()할 경우에는 ()을을 修治(수치)하는 것과 같으므로 適法(적법)인 경우에는 사람을 補益(보익)하나 이에 ()하면 損傷(손상)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採取(채취)할 때에는 () 太陽(태양) ()해야 한다. 바람을 맞으면 () ()해지고, 물이 들어가면 () ()해진다. ()을 벗겨 ()하면 맛을 잃고, 날것에 ()을 대면 ()를 상실한다. ()할 때에는 오래 ()하는 것이 좋으며, ()것은 반드시 사람을 損傷(손상)하게 한다.

 


 

苦筍宜久煮乾筍宜取汁為羹茹蒸之最美煨之亦佳味蘞者戟人咽先以灰湯煮過再煮乃良或以薄荷數片同煮亦去蘞味

 


苦筍(고순) 久煮(구자)하는 것이 좋고, 乾筍(건순) 取汁(취즙)하여 ()을 만들어 먹는 것이 좋다. ()하는 것이 가장 美味(미미)한데 ()하는 것도 좋다. 맛이 ()한 것은 () 刺戟(자극)하지만, 먼저 灰湯(회탕)에다 ()한 다음 다시 ()하면 좋다. 또는 薄荷(박하) 數片(수편)과 함께 ()하면 蘞味(염미) 除去(제거)할 수 있다.


 

其蔌伊芳何惟筍及蒲。《加豆之實筍菹魚醢則筍之為蔬尚之久矣

 

 


 

諸竹筍

 


氣味

 

微寒無毒

 


藏器曰諸筍皆發冷血及氣


 

諸筍(제순)은 모두 冷血(냉혈)  () ()한다.

 

 


瑞曰筍同羊肝食令人目盲


 

() 羊肝(양간) 同食(동식)하면 目盲(목맹)이 되게 한다.

 


 

主治

 


消渴利水道益氣可久食(《別錄》)。


 

消渴(소갈), 水道(수도) ()하고, 益氣(익기)하며, 久食(구식)하는 것이 좋다.

 


利膈下氣化熱消痰爽胃寧原)。


 

利膈下氣(이격하기)하고, 化熱消痰(화열소담)하며 爽胃(상위)하게 한다.

 

 

 


 

苦竹筍


 

 

氣味

 

 

 


主治


 

不睡去面目並舌上熱黃消渴明目解酒毒除熱氣健人藏器)。

 


不睡(불수)하며, 面目(면목)  舌上(설상) 熱黃(열황), 消渴(소갈) 除去(제거)하며, 明目(명목)하고, 酒毒(주독) 解消(해소)한다. 熱氣(열기) 除去(제거)하고, 壯健(장건)하게 한다.

 

 


理心煩悶益氣力利水道下氣化痰理風熱腳氣並蒸煮食之(《心鏡》)。

 


心煩悶(심번민) ()하고, 氣力(기력) ()하며, 水道(수도) ()하고, 下氣化痰(하기화담)한다. 風熱脚氣(풍열각기) ()한다. 모두 蒸煮(증자)하여 ()한다.

 

 


治出汗中風失音汪穎)。


 

出汗(출한), 中風失音(중풍실음) ()한다.

 

 


乾者燒研入鹽擦牙疳時珍)。


 

乾棗(건조)한 것을 燒硏(소연)하고, () ()하여 牙疳(아감) ()한다.

 

 


 

發明

 


時珍曰四川敘州宜賓長寧所出苦筍彼人重之黃山谷有苦筍賦僰道苦筍冠冕兩川甘脆小苦而成味溫潤縝密多啖而不疾食肴以之啟迪酒客為之流涎其許之也如此


 

四川(사천), 徐洲(서주), 宜賓(의빈), 長寧(장녕)에서 産出(산출)되는 苦筍(고순)은 그곳에서 珍重(진중)히 여기고 자랑하고 있는데, () 黃山谷(황산곡) 苦筍賦(고순부)에는 僰道(북도) 苦筍(고순) 兩川(양천) 冠冕(관면)한다. 甘脆(감취), 愜當(협당), 小苦(소고) ()를 이루고 溫潤(온윤), 縝密(견밀)하며, 많이 먹어도 不疾(부질)한다. 食肴(식효)에는 이것으로 啟迪(계적)하는데 酒客(주객)은 이것으로 流涎(유연)한다.” 라고 하였다. 이렇듯 맛을 誇示(과시)하였던 것이다.

 

 

 

 


篁竹筍

 

主治


 

消渴風熱益氣力消腹脹炒食皆宜寧原)。

 


消渴(소갈), 風熱(풍열), 氣力(기력) ()하고, 腹脹(복창) 解消(해소)한다. (), (), ()하여 먹는다. 모두 良好(양호)하다.

 

 


 

淡竹筍

 

 


氣味

 

 

 


主治


 

消痰除熱狂壯熱頭痛頭風並妊婦頭旋顛仆驚悸溫疫迷悶小兒驚癇天吊汪穎)。

 


消痰(소담)하고, 烈光(열광), 壯熱(장열), 頭痛(두통), 頭風(두풍)  姙婦(임부) 頭旋(두선), 顛仆驚悸(전부경계), 溫疫迷悶(온역미민), 小兒(소아) 驚癇天吊(경간천조) 除去(제거)한다.

 

 

 


 

冬筍 筀筍

 

 


 

氣味

 

 

 


主治


 

小兒痘疹不出煮粥食之解毒有發生之義汪穎)。

 


小兒(소아) 痘疹(두진) ()하지 않는 것에는 ()을 만들어 먹는다. 解毒(해독)하고, 發生効果(발생효과)가 있다.

 

 


 

發明

 


詵曰淡竹筍及中母筍雖美然發背悶腳氣箭竹筍新者可食陳者不宜諸竹筍多食皆動氣發冷症惟苦竹筍主逆氣不發疾

 


淡竹笋(담죽순)이란 곧 中母筍(중모순)을 말하는데 美味(미미)하기는 하나 背悶(배민), 脚氣(각기)를 일으킨다. 箭竹筍(전죽순)은 새것을 먹을 수 있으나 오래된 것은 좋지 않다. 諸竹笋(제죽순) 多食(다식)하면 모두 動氣(동기)하고, 冷癥(냉징) ()하지만 다만 苦竹笋(고죽순)만은 逆氣(역기) 主效(주효)가 있으며, 發病(발병)하지 않는다.

 

 


穎曰筍與竹瀝功近有人素患痰病食筍而愈也

 


() 竹瀝(죽력) ()이 비슷하다. 어떤 사람은 () 痰病(담병) ()하였는데 ()을 먹고 治癒(치유)되었다.

 

 


瑞曰淡筍甘筍苦筍冬筍鞭筍皆可久食其他雜竹筍性味不一不宜多食

 


淡筍(담순), 甘筍(감순), 苦筍(고순), 冬筍(동순), 鞭筍(편순)은 모두 久食(구식)할 수 있다. 其他(기타) 雜竹筍(잡죽순) 性味(성미) 一定(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多食(다식)하면 좋지 않다.

 

 


宗奭曰筍難化不益人脾病不宜食之一小兒食干筍三寸許噎於喉中壯熱喘粗如驚服驚藥不效後吐出筍諸証乃定其難化也如此

 


() 消化(소화)가 좋지 않고, 人體(인체) 無益(무익)하다. 脾病(비병)에 이것을 먹으면 좋지 않다. 어느 小兒(소아) 乾筍(건순) 三寸(삼촌) 정도를 먹고, 喉中(후중) ()하여 壯熱(장열)하고 ()하며, 거의 ()과 같은 상태였는데 驚藥(경약) 服用(복용)하여도 無效(무효)하였다. () () 吐出(토출)한 다음에야 諸證(제증) 安定(안정)되었다. 이것은 이렇듯 소화하기 어려운 것이다.

 

 


時珍曰贊寧筍譜筍雖甘美而滑利大腸無益於脾俗謂之刮腸篦惟生薑及麻油能殺其毒


 

僧贊寧(승찬녕) 竹譜(죽보)에는 () 甘美(감미)하기기는 하나 大腸(대장) 滑利(활리)하고, () 無益(무익)한 것인데 俗稱(속칭) 이것을 刮腸篦(괄장비)라고 한다. 다만 生姜(생강) 麻油(마유)만이 곧잘 그 () ()한다.

 

 


人以麻滓沃竹叢則次年凋疏可驗矣其蘄州叢竹毛斑竹匡廬扁竹灃州方竹嶺南葸竹勞竹月竹諸筍皆苦韌不堪食也

 


 

世間(세간)에서 麻滓(마재) 竹叢(죽총) ()하면 다음 해에는 凋疏(조소)해지는데 그것이 그 記據(기거)인 것이다. 蘄州(기주) 叢竹(총죽), 毛斑竹(모반죽), 匡廬(광려) 扁竹(편죽), 灃州(풍주) 方竹(방죽), 嶺南(영남) 葸竹(사죽), 勞竹(노죽), 月竹(월죽) 諸筍(제순)은 모두 苦韌(고인)하여 먹을 수 없다.“라고 하였다.


 

 


時珍常見俗醫治痘往往勸飲筍湯云能發痘蓋不知痘瘡不宜大腸滑利而筍有刮腸之名則暗受其害者不知若乾人也戒之哉戒之哉


나는(時珍) 항상 俗醫(속의) 治痘(치두)할 때 흔히 筍湯(순탕)을 복용시키고 <곧잘 () ()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것을 보는데 () 痘瘡(두창) 大腸(대장) 滑利(활리)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에는 滑腸(활장)이라는 名稱(명칭)까지 있는 만큼 암암리에 그 ()를 받으므로 그 被害者(피해자)가 얼마나 많은지 셀 수 없다. 警戒(경계)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桃竹筍(《拾遺》)

 


藏器曰南人謂之黃筍灰汁煮之可食不爾戟人喉其竹叢生丑類非一

 


南方(남방)에서 이것을 黃筍(황순)이라고 한다. 灰注(회주)하여 ()하면 ()할 수 있으나 不然(불연)이면 咽喉(인후) 刺戟(자극)한다.  () 叢生(총생)하며, 種類(종류) 多樣(다양)하다.

 

 


時珍曰桃枝竹出川廣中皮滑而廣犀紋瘦骨四寸有節可以為席

 


桃枝竹(도지죽) (), 廣地方(광지방)에서 産出(산출)된다. () ()하고 黃色(황색)이며 犀紋(서문)이 있으며, 뼈처럼 ()하고, 四寸(사촌)간경으로 ()이 있다. 이것으로 방석르 만들 수 있는 것이다.

 


 

 

氣味

 

 

 

有小毒

 

 


主治


 

六畜瘡中蛆搗碎納之蛆盡出藏器)。


 

六畜(육축) 瘡中(창중) ()가 있는 경우에는 搗碎(도쇄)하여 넣으며 ()가 모두 나온다.

 

 


刺竹筍


 

時珍曰生交廣中叢生大者圍二尺枝節皆有刺夷人種以為城伐竹為弓根大如車輻一名芭竹


 

(), 廣地方(광지방)에서 産出(산출)된다. 叢生(총생)하는데 큰 것은 周圍(주위) 二尺(이척), () () 모두 ()가 있다. 이것을 심고 城壁(성벽) 代用(대용)으로 하며,  () ()하여 활을 만든다. 뿌리의 굵기는 車軸(거축) 정도이다. 一名(일명) 芭竹(파죽)이라 한다.

 

 


氣味

 

有小毒

 


食之落人發(《竹譜》)。


 

이것을 먹으면 落髮(낙발)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陽桃)[본초강목]  (0) 2020.04.22
대청(大青)[본초강목]  (0) 2020.04.22
파두(巴豆)[본초강목]  (0) 2020.04.15
앵자동(罌子桐)[본초강목]  (0) 2020.04.15
오구목(烏臼木)[본초강목]  (0) 2020.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