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1. 18. 00:46ㆍ백두산 환&단&약이야기/본초의 법제
영양각포제(羚羊角炮制)
약재래원(药材来源)
羚羊角爲牛科動物賽加羚羊Saiga tatarica Linnaeus的角。全年均可捕捉,捕得後,將角從基部鋸下,曬幹。
고대포제방법(古代炮制方法)
唐代載有燒成炭(《千金》)、炙令焦(《外台》)的方法。
宋代有炒制(《聖惠方》)法。
元代增加煮制(《世醫》)法。
明代有蜜制(《醫學》)、略燒存性(《嬰童》)等炮制方法。
현대포제방법(现代炮制方法)
1、羚羊角片:取原藥材,用溫水浸泡4~5天,抽去骨塞,在蒸籠內蒸軟,趁熱橫切爲薄片,幹燥。
2、羚羊角粉:取原藥材,除去骨塞,砸碎,剉末或粉碎成細粉。
음편성상(饮片性状)
羚羊角片爲類圓形薄片;類白色或黃白色半透明,外表可見紋絲,微呈波狀,中央可見空洞;質堅韌,不易拉斷;無臭,味淡。羚羊角粉爲乳白色的細粉,無臭,味淡。
포제목적(炮制目的)
羚羊角味鹹,性寒。歸肝經、心經。
具有平肝息風,清肝明目,散血解毒的功能。用於高熱驚癇,神昏痙厥,子癇抽搐,癲癇發狂,頭痛眩暈,目赤翳障,溫毒發斑,癰腫瘡毒。羚羊角炮制後,便於調劑和服用。
응용선택(应用选择)
1、風熱感 冒常與金銀花、牛蒡子、荊芥、連翹、薄荷、桔梗、甘草、竹葉等同用,具有辛涼清熱,散風解表的作用,用於風熱感冒初起,憎寒壯熱,頭眩咳嗽,咽喉腫痛等症,如羚翹解毒丸(《北京市中藥成方選集》)。
2、驚癇抽搐 常與桑葉、川貝母、生地、鉤藤、菊花、白芍等同用,具有涼肝息風,清熱止痙的作用,用於熱極風動而致高熱不退,手足抽搐,甚至神昏,如羚角鉤藤湯(《重訂通俗傷寒論》)。配伍鉤藤、天竺黃、鬱金、朱砂等,可治癲癇、驚悸。
3、高熱神昏 常與石膏、寒水石、磁石等同用,能清熱解毒,鎮痙開竅,可治高熱神昏、狂躁、抽搐等症,如紫雪丹(《條辨》),近代也用於流行性腦脊髓膜炎、乙型腦炎等。配伍石決明、石膏、龍膽、僵蠶、全蠍、鉤藤等同用,具有清熱平肝,息風止痙的作用,用於溫病高熱不退,熱被動風而致頸項強直、四肢痙攣抽搐等症,如羚羊鎮痙湯(《溫病芻言》)。
4、目赤頭痛常與柴胡、決明子、黃芩、赤芍等同用,治肝火上炎,目赤頭痛,如羚羊角散(《濟生方》)。
5、眼目外障常與、防風、桔梗、茺蔚子、玄參、知母、熟大黃、草決明、車前子等同用,用於眼目外障,紅赤腫脹,流淚,眵多黏稠,沙澀不適,珠目脹急等症,如羚羊角飲子(《瑤函》)。
6、頭暈目眩與石決明、牡蠣、天麻等同用,能平肝潛陽,可治肝陽上亢所致的頭暈目眩。
부(附)
1、近代炮制方法還有銼粉、浸鎊、蒸刨等。
2、文獻摘錄“銼爲末,勿令犯風,研極細入藥,免刮入腸”(《入門》)。“古法爲末,酒調服之,催產難,燒灰服之,治產後血沖心煩”(《入門》)。
총결(總結)
羚羊角從唐代開始使用輔料和采用不同的方法炮制。
近年來各地的炮制規範中收載的大多是鎊片法,也有研粉法。
古代雖有燒、炙之方法,但臨床上仍以鎊片或研末生用爲主,近代的炮制方法亦在於切片或粉碎。
羚羊角含角質蛋白、磷酸鈣及不溶性無機鹽等。據化學分析,羚羊角與骨塞中所含的化學成分基本相似,只是含量多少問題,爲了提高羚羊角的利用率,骨塞也考慮不除去作爲藥用。另據報道,羚羊角所含成分,煎熬時很難溶出,爲了提高臨床療效,只宜制成粉末,或用水研汁內服。
藥理實驗證實
有解熱及抗驚厥作用,臨床常用於感染性疾病的高熱及癲癇所致的抽搐,常與水牛角等再配成中成藥,如“紫雪丹”,有良好的止痙作用。
^^^^^^^^^^^^^^^^^^^^^^^^^^^^^^^^^^^^^^^^^^^^^^^^^^^^^^^^^^^^^^^^^^^^^^^^^^^^^
【修治】
雷斅曰︰凡用,有神羊角甚長,有二十四節,內有天生木胎。此角有神力,可抵千牛。
대개 이것을 사용(使用)할 때는 신양각(神羊角)이란 것이 있다. 심히 길어서 이십사절(二十四節)이 있으며, 그 속에 천생(天生)의 목태(木胎)가 있다. 이 뿔이 가진 신력(神力)은 천우(天牛)에 저당(抵當)되는 것이다.
凡使不可單用,須要不拆元對,繩縛,鐵銼銼細,重重密裹,避風,以旋旋取用,搗篩極細,更研萬匝入藥,免刮人腸。
대개 사용(使用)할 때는 단용(單用)해서는 안 된다. 반드시 부러지지 않는 원래의 짝을 끈으로 결박(結縛)하여 철좌(鐵銼)로 좌세(銼細)하여 여러 번 단단히 싸고 바람에 닿지 않게 하여 조금씩 사용한다. 도사(搗篩)하여 극세말(極細末)하고 다시 일만잡연(一萬匝硏)하여 약(藥)에 사용(使用)한다. 이렇게 하면 장(腸)을 괄삭(刮削)하는 우(虞)를 면(免)할 수 있다.[뇌효(雷斅)]
【氣味】
鹹,寒,無毒。
《別錄》曰︰苦,微寒。
甄權曰︰甘,溫。能縮銀。
【主治】
明目,益氣起陰,去惡血注下,辟蠱毒惡鬼不祥,常不魘寐(《本經》)
明目(명목)하고, 起陰(기음)하고, 惡血注下(악혈주하)를 去(거)하고, 蠱毒(고독), 惡鬼(악귀)
, 不詳(불상)을 辟(피)하며 언제나 魘寐(염매)하지 않는다.
除邪氣驚夢,狂越僻謬,療傷寒時氣寒熱,熱在肌膚,溫風注毒伏在骨間,及食噎不通。久服,強筋骨輕身,起陰益氣,利丈夫.(《別錄》)。
邪氣(사기), 驚夢(경몽), 狂越(광월), 僻謬(벽류)를 除(제)하며, 傷寒時氣(상한시기)의 寒熱(한열), 熱(열)이 肌膚(기부)에 있는 者(자), 濕風酒毒(습풍주독)이 骨間(골간)에 伏在(복재)하는 者(자) 및 噎不通(식일불통)을 療(요)한다. 久服(구복)하면 筋骨(근골)을 補强(보강)하고, 輕身(경신)하며, 陰起(음기)하고, 益氣(익기)하며, 男性(남성)을 利(이)한다.
治中風筋攣, 附骨疼痛。作末蜜服, 治卒熱悶,及熱毒痢血, 疝氣。摩水塗腫毒。(《孟詵》)。
中風筋攣(중풍근련), 附骨疼痛(부골동통)을 治(치)한다. 作末(작말)하여 蜜服(밀복)하면 卒熱悶(졸열민) 및 熱毒痢血(열독이혈), 疝氣(산기)를 治(치)한다. 水摩(수마)하여 腫毒(종독)에 塗布(도포)한다.
治一切熱毒風攻注.中惡毒風卒死.昏亂不識人.散產後惡血衝心煩悶.燒末酒服之.治小兒驚癇.治山瘴及噎塞.(《藥性》)。
一切(일체)의 熱毒風(열독풍)의 攻注(공주), 中惡(중악), 毒風(독풍)의 卒死(졸사), 昏亂(혼란)하여 意識(의식)을 喪失(상실)한 者(자)를 治(치)하며, 産後(산후)의 惡血(악혈)이 衝心煩悶(충심번민)함을 散(산)한다. 燒末(소말)하여 酒(주)로 調服(조복)하면 小兒(소아)의 驚癎(경간)을 治(치)하고, 山瘴(산장) 및 噎塞(일새)를 治(치)한다.
治驚悸煩悶,心胸惡氣,瘰癧惡瘡溪毒(藏器)。
驚悸(경계), 心煩(심번), 心胸(심흉)의 惡氣(악기), 癩癧(나력), 惡瘡(악창), 溪毒(계독)을 治(치)한다.
平肝舒筋,定風安魂,散血下氣,辟惡解毒,治子癇痙疾(時珍)。
肝氣(간기)를 평정하고 근육을 풀고 風病(풍병)을 안정시키고 魂(혼)을 편안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하고 下氣(하기)시키며 惡氣(악기)를 辟(피)하고 解毒(해독)하며, 子癎(자간), 痙疾(경질)을 治(치)한다.
時珍曰︰羊,火畜也,而羚羊則屬木,故其角入厥陰肝經甚捷,同氣相求也。
羊은 화축(火畜)이지만 영양(羚羊)은 목(木)에 속(屬)한다. 그러므로 각(角)은 궐음(厥陰), 간경(肝經)으로 들어감이 심히 빠르다. 이는 동기상구(同氣相求)인 것이다.
肝主木,開竅於目;其發病也,目暗障翳,而羚羊角能平之。
간(肝)은 목(木)을 주(主)하고 규(竅)를 목(目)에 개(開)하므로 그것에 발병(發病)하면 목암(目暗), 장예(障翳)가 되지만 영양각(羚羊角)은 그것을 평정(平定)한다.
肝主風,在合為筋;其發病也,小兒驚癇,婦人子癇,大人中風搐搦,及筋脈攣急,歷節掣痛,而羚角能舒之。
肝은 風을 主하고, 합재(合在)하여 근(筋)이 되며, 그 발(發)하는 병(病)은 소아경간(小兒驚癇), 부인(婦人)의 자간(子癎), 대인(大人)의 중풍축닉(中風搐搦) 및 근맥연급(筋脈攣急), 력절체통(歷節掣痛)이지만 영양각(羚羊角)은 능히 그것을 평서(平舒)한다.
魂者,肝之神也;發病則驚駭不寧,狂越僻謬,魘寐卒死,而羚角能安之。
혼(魂)은 간(肝)의 신(神)이므로 그 발병(發病)도 경해불녕(驚駭不寧) 광월(狂越), 벽류(僻謬),염매졸사(魘寐卒死)이지만 영각(羚角)은 그것을 평정(評定)한다.
血者,肝之藏也;發病則瘀滯下注,疝痛毒痢,瘡腫漏癧,產後血氣,而羚角能散之。
혈(血)은 간(肝)에 수장(收藏)되는 것이므로 그것에 발생(發生)되는 병(病)은 어체(瘀滯), 하주(下注), 산통(疝痛), 독리(毒利), 창종(瘡腫), 누력(漏癧), 산후(産後)의 혈기(血氣)이지만 영각(羚角)은 능히 그것을 소산(消散)시킨다.
相火寄於肝膽,在氣為怒;病則煩懣氣逆,噎塞不通,寒熱及傷寒伏熱,而羚角能降之。
상화(相火)가 간담(肝膽)에 寄(기)하면 기(氣)에 있어서는 노(怒)가 되고, 병(病)으로서는 번만(煩懣), 기역(气逆), 열새불통(噎塞不通)이지만 영양각(羚羊角)은 능(能)히 그것을 하강(下降)시킨다.
羚之性靈,而筋骨之精在角;故又能辟邪惡而解諸毒,碎佛牙而燒煙走蛇虺也。《本經》、《別錄》甚著其功,而近俗罕能發揚,惜哉﹗
영양(羚羊)은 성(性)이 영묘(靈妙)하여 근골(筋骨)의 정(精)이 각(角)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또 능(能)히 사악(邪惡)을 피(辟)하고, 제독(諸毒)을 해(解)하며, 불아(佛牙)를 분쇄(粉碎)하는 것으로 연소(燃燒)하면 사훼(蛇虺)를 피(辟)한다. 본경(本經), 별록(別錄)에 매우 분명히 그 공효(功效)를 기술(記述)하고 있으나, 근래(近來)항간(巷間)에서 능(能)히 그것을 발양(發揚)하는 것이 없는 것이 심히 유감(遺憾)이다.[이시진(李時珍)]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본초의 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삼(黨參)의 포제(炮制) (0) | 2019.11.25 |
---|---|
녹용(鹿茸), 귀판(龟版) (0) | 2019.11.25 |
우황포제(牛黃炮制) (0) | 2019.11.18 |
백화사법제(白花蛇法制) (0) | 2019.11.18 |
영물급 태자삼 (0) | 201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