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1. 18. 00:41ㆍ백두산 환&단&약이야기/본초의 법제
우황포제(牛黃炮制)
약재래원(药材来源)
牛黃爲牛科動物牛Bos taurus domesticus Gmelin幹燥的膽結石。宰牛時,如發現牛黃,應立即濾去膽汁,取出牛黃,除去外部筋膜,陰幹。
고대포제방법(古代炮制方法)
南北朝時代有搗、細研如塵、牛皮制(《雷公》)。
宋代有黑豆制(《聖惠方》)。
明代增加了藥汁制(《普濟方》)。
현대포제방법(现代炮制方法)
牛黃:取原藥材,除去雜質,研成細粉。
음편성상(饮片性状)
牛黃爲棕黃色或紅棕色細粉。氣清香,味微苦而後微甜。有清涼感,嚼之不粘牙。
질량표준(质量标准)
牛黃水分不得過9.0%,總灰分不得過10.0%,遊離膽紅素在453nm波長處測定吸光度不得過0.70,含膽酸不得少於4.0%;含膽紅素不得少於35.0%。
포제목적(炮制目的)
牛黃味苦,性涼。歸心經、肝經。
具有清心豁痰,開竅涼肝,息風解毒的功能。
牛黃多爲生用,用於熱病神昏,中風痰迷,驚癇抽搐,癲癇發狂,咽喉腫痛,口舌生瘡,癰腫疔瘡。炮制後主要是保證藥物淨度,便於調劑和制劑。
응용선택(应用选择)
生用
1、小兒驚風常與全蠍、朱砂、冰片、鉤藤等同用,可治小兒驚風,手足搐搦,遍身壯熱等症,如牛黃散(《聖惠方》)。配伍膽南星、琥珀等,可治小兒痰熱驚風,如牛黃抱龍丸(《中國藥典》)。
2、熱病癲狂常與當歸、川芎、冰片、朱砂等同用,能清心化痰,鎮驚祛風,用於神志混亂,語言不清,痰涎壅盛,頭暈目眩,癲癇驚風,痰迷心竅,如牛黃清心丸(《局方》)。
3、咽喉腫痛常與石膏、雄黃、大黃、黃芩等同用,能清熱解毒,用於咽喉腫痛,牙齦腫痛,口舌生瘡,目赤腫痛,如牛黃解毒丸(《中國藥典》)。
현대연구(現代硏究)
牛黃含膽酸、脫氧膽酸、膽酸鈣及膽紅素等。
實驗證明,
從牛黃中分離提取的強心成分,對離體蛙心灌流實驗有顯著的興奮作用。天然牛黃對自發性及腎性高血壓大鼠均有顯著而持久的降壓作用,作用機制可能與其抗腎上腺素作用有關。此外,從牛黃中提得的兩種平滑肌收縮成分SMC-F和SMC-S2(可能爲兩種膽酸肽類),給麻醉兔靜脈注射,出現明顯而短暫的血壓下降。
近年來發現,牛膽汁中具有抗腫瘤成分,可使腫瘤組織廣泛壞死。臨床實驗中使用的抗癌散Ⅲ號中即含牛黃,治療食管癌取得一定療效。
부(附)
1、近代炮制方法還有水飛等。
2、文獻摘錄“須先單搗,細研如塵,卻絹裹,又用黃嫩牛皮裹,安於井面上,去水三四尺已來,一宿,至明方取用之”(《雷公》)。“小棗大,用研蘿蔔根並醋一大盞煮盡”(《普濟方》)。
총결(總結)
牛黃從南北朝時開始使用輔料和采用不同的方法炮制。近年來各地的炮制規範收載的大多是用生品。古代的炮制方法,如黑豆汁制、牛皮制、藥汁制等現在已失傳,有關古代炮制法的研究需進一步發掘整理。
^^^^^^^^^^^^^^^^^^^^^^^^^^^^^^^^^^^^^^^^^^^^^^^^^^^^^^^^^^^^^^^^^^^^^^^^
【修治】
雷曰︰凡用,單搗細研如塵,絹裹定,以黃嫩牛皮裹,懸井中一宿,去水三四尺,明早取之。
대개 이것을 使用(사용)함에는 細硏(세연)하여 塵(진)과 같이 하며 絹布(견포)에 싸서 부드러운 牛皮(우피)에 다시 싸고, 一夜(일야)동안 우물 안에 水面(수면)에서 三(삼)~四尺(사척) 떨어뜨려 달아맨다. 다음날 아침에 取(취)한다.
【氣味】
苦,平,有小毒。
《日華》曰︰甘,涼。
普曰︰無毒。
之才曰︰人參為之使。得牡丹、菖蒲,利耳目。惡龍骨、龍膽、地黃、常山、蜚蠊,畏牛膝、幹漆。
人參(인삼)이 使(사)가 되며, 牡丹(모단), 菖蒲(창포)와 配合(배합)하면 耳目(이목)을 利(이)한다. 龍骨(용골), 龍膽(용담), 地黃(지황), 常山(상산), 蜚蠊(비렴)을 惡(오)하며, 牛膝(우슬), 乾漆(건칠)을 畏(외)한다.
時珍曰︰《別錄》言牛黃惡龍膽,而錢乙治小兒急驚疳病,涼驚丸、麝香丸皆兩用之,何哉?龍膽治驚癇解熱殺蟲,與牛黃主治相近,亦肝經藥也,不應相惡如此。
別錄(별록)에서 “牛黃(우황)은 龍膽(용담)을 惡(오)한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錢乙(전을)의 小兒(소아)의 急驚(급경), 疳病(감병)을 治(치)하는 涼驚丸(양경환), 麝香丸(사향환)의 二方(이방)이 모두 다 이것을 使用(사용)하고 있는 것은 矛盾(모순)같으나 龍膽(용담)은 驚癎(경간)을 治(치)하고, 解熱(해열)하고, 殺蟲(살충)하며, 牛黃(우황)의 主治(주치)와 相近(상근)하다 역시 모두 肝經(간경)의 藥(약)으로서 如此(여차), 相惡(상오)하지 않는 듯하다.
驚癇寒熱,熱盛狂痙,除邪逐鬼(《本經》)。
驚癎寒熱(경간한열), 熱盛狂痙(열성광경), 邪(사)를 除(제)하고 鬼(귀)를 逐(축)한다.
療小兒百病,諸癇熱,口不開,大人狂癲,又墮胎。久服,輕身增年,令人不忘(《別錄》)。
小兒(소아)의 百病(백병), 諸癎熱(제간열)로 입이 열리지 않는 것, 大人(대인)의 狂癲(광전)을 療(요)한다. 또 墮胎(타태)하고 久服(구복)하면 輕身(경신)하고 千壽(천수)를 增(증)하며, 健忘(건망)을 治(치)한다.
主中風失音口噤,婦人血噤驚悸,天行時疾,健忘虛乏(《日華》)。
中風失音(중풍실음), 口噤(구금), 婦人(부인)의 血噤(혈금), 驚悸(경계), 天行時疾(천행시질), 健忘(건망), 虛乏(허핍)에 主效(주효)하다.
安魂定魄,辟邪魅,猝中惡,小兒夜啼(甄權)。
安魂(안혼), 安魄(안백)하며, 邪魅(사매)를 辟(피)하고, 小兒(소아)의 夜啼(야제)
益肝膽,定精神,除熱,止驚痢,辟惡氣,除百病(思邈)。
肝膽(간담)을 益(익)하고, 精神(정신)을 定(정)하며, 除熱(제열), 驚痢(경리)를 멎게 한다. 惡氣(악기)를 辟(피)하고 百病(백병)을 除(제)한다.
清心化熱,利痰涼驚(寧源)。
淸心(청심)하고 化熱(화열)하며, 利痰(이담)하여 涼驚(양경)한다.
痘瘡紫色,發狂譫語者可用(時珍。出王氏方)。
痘瘡(두창)이 紫色(자색)이 되어 發狂(발광)하고, 譫語(섬어)하는 者(자)에게 使用(사용)하면 有效(유효)하다. 王氏方(왕씨방)에 있다.
【發明】
李杲曰︰牛黃入肝,治筋病。凡中風入臟者,必用牛、雄、腦、麝之劑,入骨髓,透肌膚,以引風出。若風中腑及血脈者用之,恐引風邪流入於骨髓,如油入面,莫之能出也。
牛黃(우황)은 入肝(입간)하여 筋病(근병)을 다스린다. 中風(중풍)이 入藏(입장)한 것에는 반드시 牛黃(우황), 腦(뇌), 麝(사)를 使用(사용)한다. 骨髓(골수)에 入(입)하여 肌膚(기부)에 透(투)하며, 그것으로 風(풍)을 引出(인출)하는 것이다. 風(풍)이 腑(부) 및 血脈(혈맥)에 中(중)했을 때는 이것을 使用(사용)해서는 風邪(풍사)를 骨髓(골수)로 流入(유입)할 염려가 있으며, 恰似(흡사) 기름을 麵(면)에 넣는 것과 같이 끌어내기는 不可能(불가능)하게 된다.
時珍曰:牛之黃,牛之病也。故有黃之牛,多病而易死。諸獸皆有黃,人之病黃者亦然。因其病在心及肝膽之間,凝結成黃,故還能治心及肝膽之病。正如人之淋石,複能治淋也。
소가 黃色(황색)이 되는 것은 소의 病(병)이다. 그러므로 黃(황)이 든 소는 대개가 病死(병사)하기 쉽다. 모든 獸類(수류)에는 어느 것에나 黃(황)이 있으며, 人間(인간)의 黃病(황병)도 역시 그와 같은 것이다. 그 病(병)이 心(심) 및 肝(간), 膽間(담간)에 있으면 凝結(응결)하여 黃(황)이 되는 것이므로 오히려 能(능)히 心(심) 및 肝膽(간담)의 病(병)을 治療(치료)한다. 그것이 바로 人間(인간)의 淋石(임석)이 能(능)히 淋(임)을 다스릴수 있는 것과 같은 理致(이치)이다.
按《宋史》云︰宗澤知萊州,使者取牛黃。宗澤云︰方春疫癘,牛飲其毒則結為黃。今和氣流行,牛無黃矣。觀此,則黃為牛病,尤可征矣。
宋史(송사)에 “宗澤(종택)이 萊州(내주)의 長官(장관)이 되었을 때 使者(사자)로 하여금 牛黃(우황)을 採取(채취)하게 하였다. 그때 宗澤(종택)이 <方(방)에 春疫癘(춘역려)가 있어서 소가 그 毒(독)을 먹으면 그것이 結(결)하여 黃(황)이 된다고 하였는데 今年(금년)은 和氣(화기)가 流行(유행)하여 소에 黃(황)이 없다.>라고 말했다.” 라고 한 것을 미루어 보면 黃(황)이란 것은 소가 病(병)들어야 된다는 것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다.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본초의 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용(鹿茸), 귀판(龟版) (0) | 2019.11.25 |
---|---|
영양각포제(羚羊角炮制) (0) | 2019.11.18 |
백화사법제(白花蛇法制) (0) | 2019.11.18 |
영물급 태자삼 (0) | 2019.11.17 |
사향(麝香)의 포제(炮制) (0) | 2019.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