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1. 10. 01:59ㆍ백두산 환&단&약이야기/본초의 법제
사향(麝香)의 포제(炮制)
麝香多僞破看一片毛共在裹中者爲勝且燒當門子沸良久者卽好破看麝內有顆子者卽當門子也[本草]
사향에는 가짜가 많으나 그것을 쪼개 보아 속에 털이 있는 것은 좀 나은 것이다. 사향의 당문자(當門子)를 태워 보아 부글부글 끓는 것이 좋은 것이다. 사향을 쪼개 보면 속에 알맹이가 있는 것도 있는데 이것을 당문자(當門子)라고 한다[본초].
雷斅曰︰凡使麝香,用當門子尤妙。以子日開之,微研用,不必苦細也。
대개 麝香(사향)을 使用(사용)함에는 當門子(당문자)를 使用(사용)하는 것이 가장 妙(묘)하다. 子日(자일)에 그것을 開破(개파)하여 微硏使用(미연사용)한다. 반드시 極細硏(극세연) 할 필요는 없다.
辟惡氣,殺鬼精物,去三蟲蠱毒,溫瘧驚癎。久服,除邪,不夢寤魘寐(《本經》)。
惡氣(악기)를 辟(피)하고 歸精物(귀정물)을 殺(살)하며, 三蟲(삼충), 蠱毒(고독), 温疟(온학), 驚癎(경간)을 去(거)한다. 久服(구복)하면 除邪(제사)하고 夢寤(몽오), 魘寐(염매)를 막는다.
療諸凶邪鬼氣,中惡,心腹暴痛,脹急痞滿,風毒,去面黑黽、目中膚翳,婦人產難墮胎。通神仙(《別錄》)。
諸種(제종)의 凶邪(흉사), 鬼氣(귀기), 中惡(중악), 心腹暴痛(심복폭통), 脹急(창급), 痞滿(비만), 風毒(풍독)을 療(요)하며, 面上(면상)의 黑黽(흑민)), 目中(목중)의 膚翳(부예)를 去(거)한다. 婦人(부인)의 産難(산난), 墮胎(타태)하고, 神仙(신선)에 通(통)한다.
佩服及置枕間,辟惡夢,及尸疰鬼氣。又療蛇毒(弘景)。
佩服(패복)하거나 枕間(침간)에 두면 惡夢(악몽), 尸注(시주), 鬼氣(귀기)를 辟(피)한다. 또 蛇毒(사독)을 療(요)한다.
《抱朴子》云︰入山辟蛇,以麝香丸著足爪中有效。因麝啖蛇,故以厭之也)。治蛇、蠶咬,沙蟲溪瘴毒,辟蠱氣,殺臟腑蟲,治瘧疾,吐風痰,療一切虛損惡病。納子宮,暖水臟,止冷帶下(《日華》)。
抱朴子(포박자)에 “入山(입산)하여 辟蛇(피사)할때는 麝香丸(사향환)을 足爪間(족조간)에 付着(부착)하면 有效(유효)하다.”라고 記述(기술)되어 있다. 麝(사)는 蛇(사)를 壓(압)하므로 禁厭(금염)한 것이다. “蛇(사), 蠶咬(잠교), ,사충(沙蟲), 계장(溪瘴)의 독(毒)을 치(治)하고 장부(臟腑)의 충(蟲)을 살(殺)한다. 학질(瘧疾)을 치(治)하고 풍담(風痰)을 토(吐)하며 일체(一切)의 허손(虛損), 악병(惡病)을 요(療)한다. 자궁(子宮)에 납(納)하면 수장(水臟)을 난(暖)하게 하며, 冷帶下(냉대하)를 療(요)한다.
熟水研服一粒,治小兒驚癇客忤,鎮心安神,止小便利。又能蝕一切癰瘡膿水(《藥性》。
熟水(숙수)로 一粒(일립)을 硏服(연복)하면 小兒(소아)의 驚癎(경간), 客忤(객오)을 治(치)하고, 鎭心(진심)하며, 安神(안신)하고, 小便利(소변리)를 止(지)한다. 또 能(능)히 一切(일체)의 癰瘡膿水(옹창농수)를 蝕(식)한다.
又云︰入十香丸服,令人百毛九竅皆香)。
또 “十香丸(십향환)에 넣어 服用(복용)하면 사람의 百毛九竅(백모구규)를 모두 香氣(향기)롭게 한다.
除百病,治一切惡氣及驚怖恍惚(孟詵)。
百病(백병)을 除(제)한다. 一切(일체)의 惡氣(악기) 및 驚怖(경포), 恍惚(황홀)을 治(치)한다.
療鼻窒,不聞香臭(好古)。
鼻窒(비질)로 香臭(향취)를 不問(불문)하는 者(자)를 療(요)한다.
通諸竅,開經絡,透肌骨,解酒毒,消瓜果食積,治中風、中氣、中惡,痰厥,積聚症瘕(時珍)。
諸竅(제규)를 通(통)하고, 經絡(경락)을 開(개)하며 肌骨(기골)을 透(투)하고, 酒毒(주독)을 解(해)하며, 瓜果(과과)의 食積(식적)을 消(소)하며, 中風(중풍), 中惡(중악), 痰厥(담궐), 積聚癥瘕(적취징가)를 治(치)한다.
李杲曰︰麝香入脾治內病。凡風病在骨髓者宜用之,使風邪得出。若在肌肉用之,反引風入骨,如油入面之不能出也。
사향(麝香)은 비(脾)에 입(入)하여 내병(內病)을 치(治)한다. 대개 풍병(風病)의 골수(骨髓)에 유(留)한 것에는 이것을 사용(使用)하여 풍사(風邪)로 하여금 출(出)하도록 해야 한다. 만약 기내(肌內)에 유체(留滯)해 있을 때는 이것을 사용(使用)하면 오히려 풍(風)을 골내(骨內)로 인입(引入)하여 기름이 면(麪)에 들어갔을 때와 같아져 인출(引出)이 불가능(不可能)하게 된다. [동원(東垣)]
朱震亨曰︰五臟之風,不可用麝香以瀉衛氣。口鼻出血,乃陰盛陽虛,有升無降,當補陽抑陰,不可用腦、麝輕揚飛竄之劑。婦人以血為主,凡血海虛而寒熱盜汗者,宜補養之;不可用麝香之散,琥珀之燥。
오장(五臟)의 풍(風)에는 사향(麝香)을 사용(使用)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위기(衛氣)를 사(瀉)하여 구비(口鼻)에서 출혈(出血)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음성양허(陰盛陽虛)로 유승무강(有昇無降)이므로 보양(補陽)하고, 억음(抑陰)해야 한다. 뇌(腦), 사(麝)의 경양(輕揚), 비찬(飛竄)의 제(劑)를 사용(使用)해서는 안된다. 부인(婦人)은 혈(血)이 주(主)이며, 대개 혈해(血海)가 허(虛)하여 한열(寒熱)하고, 도한(盜汗)하면 보양(補養)해야 한다. 사향(麝香)의 산(散), 호박(琥珀)의 조(燥)를 사용(使用)해서는 안 된다.[단계(丹溪)]
嚴用和曰︰中風不省者,以麝香、清油灌之,先通其關,則後免語蹇癱瘓之証,而他藥亦有效也。
중풍불성(中風不省)인 자(者)에게는 사향(麝香), 청유(淸油)를 관(灌)하여 먼저 그 관(關)을 통(通)해야 한다. 그 다음에 어건(語蹇), 탄탄(癱瘓)의 증(証)을 면(免)하여 타약(他藥)도 유효(有效)하게 된다.[엄용화(嚴用和)]
時珍曰︰嚴氏言風病必先用麝香,而丹溪謂風病、血病必不可用,皆非通論。蓋麝香走竄,能通諸竅之不利,開經絡之壅遏。若諸風、諸氣、諸血、諸痛、驚癇、症瘕諸病,經絡壅閉,孔竅不利者,安得不用為引導以開之、通之耶?非不可用也,但不可過耳。
엄씨(嚴氏)는 풍병(風病)에는 반드시 먼저 사향(麝香)을 사용(使用)한다고 하고, 단계(丹溪)는 풍병(風病), 혈병(血病)에는 반드시 사용(使用)불가(不可)라고 말한다. 이것은 어느 것도 타당(妥當)한 논리(論理)는 아니다. 대저(大抵) 사향(麝香)은 주찬(走竄)하여 제규(諸竅)가 불리(不利)한 것을 통(通)하고, 경락(經絡)의 옹알(壅遏)된 것을 개(開)하는 것이다. 제풍(諸風), 제기(諸氣), 제혈(諸血)의 제통(諸痛), 경간(驚癎), 징가(癥瘕), 제병(諸病)의 경락옹폐(經絡壅閉), 공규불리(孔竅不利)의 것인 경우 그것을 인도(引導)하여 개(開)하고, 통리(通利)해서 안 된다는 법(法)이 있겠는가. 사용(使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과(過)해서는 안 된다.
《濟生方》治食瓜果成積作脹者用之,治飲酒成消渴者用之,云果得麝則壞,酒得麝則敗,此得用麝之理者也。
제생방(濟生方)에서는 과과(瓜果)를 먹고 적창(積脹)하는 것을 다스림에는 이것을 사용(使用)하고, 음주(飮酒)로 인한 소갈(消渴)을 치(治)하는데도 이것을 사용(使用)한다. “과(果)는 사(麝)를 득(得)하면 괴(壞)하고, 주(酒)는 사(麝)를 득(得)하면 패(敗)한다”라고 말한다. 이것은 사(麝)를 사용(使用)하는 이(理)를 득(得)한 것이다.[이시진(李時珍)]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본초의 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화사법제(白花蛇法制) (0) | 2019.11.18 |
---|---|
영물급 태자삼 (0) | 2019.11.17 |
기원당귀 (0) | 2019.11.04 |
황기(黃芪)의 포제(炮制) (0) | 2019.11.04 |
녹용(鹿茸) (0) | 2019.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