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1. 5. 23:4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송화석(松花石)[본초강목습유]
^^^^^^^^^^^^^^^^^^^^^^^^^^^^^^^^^^^^^^^^^^^^^^^^^^^^^^^^^^^^^^^^^^^^^^^^^^^^
松化石
唐書:仆骨東境康於河,斷松投之,輒化為石,其色佳,謂之康於石。
錄異記:婺州永康縣山亭中有枯松,因斷之,誤墜水中化為石,取未化者試於水,隨亦化焉,其所化者枝干乃皮與松無異,但堅勁。
博物志云:松本石氣,石裂受沙即產松,松至三千年更化為石。
박물지(博物志:서진(西晉)의 장화(張華)가 저술한 《박물지》 10권이 있는데, 내용은 선인(仙人)과 괴수(怪獸)에 대한 이야기가 많으나 자연관찰에 관한 사항도 있다.)에 송(松)은 원래 석(石)의 기(氣)로서 석(石)이 열(裂)하여 사(沙)를 수(受)하면 송(松)을 산(産)한다. 송(松)은 삼천년(三千年)에 이르러서 다시 화(化)하여 석(石)이 된다.
與地紀:宋建炎間,遂寧府轉運使衙門後圃有松石,外猶松樹,而中化為石。又重慶府永川縣有石松坪,有松花石,石質而松理,或二三尺許,大可合抱,然不過相望數山有之,俗呼雷燒松。
神仙傳,三千年當化為石。
신선전(神仙傳:동진시대 갈홍이 『포박자』 내편을 완성한 후 신선들에 대한 기록을 모아 편찬한 10권의 지괴소설이며 신마소설인 동시에 도교 경전 중 전기류에 해당한다.)에는 삼천년이 지나 화석(化石)이 된다고 하였다.
張綠猗塗說:松花石有黃紫二色,質理甚細,皮上有水紋,或松皮紋,亦有節暈紋者,天台山間有之。西北亦產,乃年久折松入澗水,得地氣變石。且有變不全,尚帶松質者,入藥宜用全化者。
장녹의도설(張菉漪塗說)에는 松花石(송화석)에는 황(黃), 자(紫)의 두가지 색이 있으며, 질리(質理)는 매우 세섬(細纖)하고 피상(皮上)에 수문(手紋) 또는 송피문(松皮紋)이 있다 또 절운문(節暈紋)의 것도 있다.... 연구(年久)하여 부러진 소나무가 간수(澗水)에 들어가 지기(地氣)를 득(得)하여 변석(變石)된 것이다. 또 변화가 완전하지 못한 것은 송(松)의 질(質)을 띈 것이 있다. 완전히 화한 것을 약으로 사용한다.
服之令人忘情絕想。
송화석(松花石)을 복용하면 사람이 정(精)을 망각(忘却)하고, 상(想)을 절(絶)하게 한다.
治相思症,凡男女有所思不遂者,服之,便絕意不復再念。
[상사병(相思病)을 치(治)한다.]
남녀의 상사병(相思病)에는 이것을 복용(服用)하면 절의(絶意)하고, 재념(再念)이 없어진다.
敏按:松化石乃有情化無情,為陽極反陰之象,
생각하건데 송화석(松花石)이라는 것은 유정(有情)이 무정(無情)으로 변화한 것으로 양극(陽極)하면 반음(反陰)되는 상(象)이다.
男女愛慕,結想成病,致君相二火虛磨妄動,鑠耗真陰,魂狂魄越,神不守舍。非此反折之使入和平不可,正取其貞凝之氣以釋妄緣也。
남녀의 애모(愛慕)가 결상(結想)되어 발병된 것은 군상(君相)의 이화(二火)가 허마(虛磨)하여 망동(忘動)하다. 또한 진음(眞陰)을 삭모(鑠耗)하고, 혼광(魂狂)하며 백월(魄越)하고, 신(神)이 그 사(舍)를 불수(不守)함에 이르는 것으로 그 반절(半折)의 사약(使藥)을 화평(和平)의 약(藥)에 넣지 않으면 바르게 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정응(貞凝)의 기(氣)를 취(取)하여 망연(妄緣)을 석(釋)하는 것이다.
瀕湖石部不灰木後附松石云:松久所化,不入藥用,殆未深悉其奧妙耳。
[本草綱目拾遺]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춘화(迎春花)[본초강목] (0) | 2018.11.22 |
---|---|
마란(馬蘭)[본초강목] (0) | 2018.11.16 |
송화석(松花石)[본초강목] (0) | 2018.11.05 |
면가(緬茄)[본초강목습유] (0) | 2018.11.02 |
동청(冬靑)[본초강목] (0) | 2018.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