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1196)
-
패왕화(霸王花)
패왕화(霸王花) 흰용과 학명: Selenicereus undatus 셀레니케레우스 운다투스는 선인장과의 다육 식물이다. 과거에는 삼각주선인장속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삼각주선인장속이 달빛선인장속에 병합되며 재분류되었다. 원산지는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 북부이다. 열매는 용과의 일종으로, 과일로 먹는다. 량천척(量天尺) Selenicereus undatus (Haw.) D. R. Hunt,2017 이명(異名) Hylocereus undatus (Haw.) Britton & Rose Cereus undatus Haw. Cereus tricostatus Rol.-Goss. Cereus trigonus var. guatemalensis Eichler Hylocereus guate..
2024.07.20 -
백두산영지
백두산영지 송삼영지(松杉靈芝) Ganoderma tsugae Murr 송삼영지의 기원은 다공균과 구멍장이버섯과 진균인 송삼영지의 자실체이다. 형태는 일년생의 자실체이고 갓(균모)은 부채모양 7~18×5~14㎝이고 두께는 1~3㎝이다. 분포는 낙엽송과 홍송의 몸통 부분의 나무 위에서 자라고 흑룡강, 길림, 감숙에 분포한다. 채취와 제법은 가을철에 채취해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다당류와 polypetide류 등 10가지 종류의 성분을 함유한다. 현대연구(現代硏究) 肝炎、關節炎、糖尿病、高血壓、高血脂、神經衰弱等疾病有效外,還對人類三大致死性疾病 冠心病、癌症、腦溢血有顯著療效。 간염, 관절염,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신경쇠약 및 기타 질병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암 및 뇌졸중..
2024.07.12 -
계피자기(桂皮紫萁)
계피자기(桂皮紫萁) 꿩고비/ 계피자기(桂皮紫萁) 꿩고비 학명 : 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Copel.분류군 : Osmundaceae(고비과)일명 : 山鳥銭巻(ヤマドリゼンマイ/Yamadori-zenmai) 잎 잎은 곧추서고 끝 부분이 약간 뒤로 젖혀지며 어릴 때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의 솜털로 덮이지만 나중에 없어지며, 포자낭이 붙는 잎조각의 솜털은 검은 색이 많다. 영양엽은 길이가 30∼80cm, 폭이 10∼25cm이고 황록색이며 1회우상복엽니다. 잎조각은 자루가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작은 잎조각은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다. 포자엽은 영양엽보다 작고 2회 깃꼴로 갈라지며 포자낭군이 입체적으로 달린다. 포자낭은 적갈색이고, 측맥이 2개로 갈라진..
2024.05.23 -
선황련(鮮黃蓮)
선황련(鮮黃蓮) 깽깽이풀 /선황련(鮮黃蓮) 깽깽이풀 이명:깽이풀, 황련, 조황련학명: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S.Moore분류군:Berberidaceae(매자나무과)일본명:タッタソウ(Tatsuta-so)영명:Chinese Twinleaf 잎 잎은 긴 엽병 끝에 달리고 원심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9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전체가 딱딱하며 연잎처럼 물에 젖지 않는다. 열매 열매는 골돌로서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부리처럼 길며 종자는 흑색이고 타원형이다. 꽃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2cm로서 홍자색이며 1-2개의 화경(花莖)이 잎보다 먼저 나와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이고 피침형이며 꽃잎은 6-8개..
2024.05.22 -
오지모도(五指毛桃)
오지모도(五指毛桃) 과명/뽕나무과(Moraceae) 약명/오지모도(五指毛桃) - 조엽용(粗葉榕, Ficus hirta Vahl.)의 뿌리를 말린 것 학명/Ficus hirta Vahl. 오지모도는 청대에 영남 지방의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에서 “오조룡(五爪龍)”이라는 이름의 약으로 처음 기술되었다. 문헌에서는 Ficus simplicissima Lour와 종종 섞여 있다. 이 종은 한약재 오지모도(Fici Radix)의 공식적인 기원식물 내원종으로서 광동성중약재표준에 등재되어 있다. 의약 재료는 주로 중국의 광동성, 해남성 및 광서성에서 생산된다. 뿌리에는 쿠마린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광동성중약재표준은 의약 물질의 품질관리를 위해 물 추출물의 함량..
2024.05.22 -
화두초(鏵頭草)
화두초(鏵頭草) 흰제비꽃/화두초(鏵頭草) 흰제비꽃 이명:[흰오랑캐] [털흰씨름꽃] [흰씨름꽃] [민흰제비꽃] [털대흰제비꽃] [털흰제비꽃] 학명:Viola patrinii DC. ex Ging. 분류군:Violaceae(제비꽃과) 일명:シロスミレ(Shiro-sumire) 영명:Whiteflower Violet 잎 잎은 다소 곧추서고 삼각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부분이 수평에 가까우며 길이 2.5-7cm, 폭 1-2cm로서 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고 길이 4-10cm의 날개가 있다. 엽맥과 엽병 밑부분에 짧게 퍼진 털이 있다. 열매 삭과는 길이 8mm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 화경은 길이 7-15cm이며 꽃은 흰빛 또는 자줏빛이 돌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
202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