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황련(鮮黃蓮)

2024. 5. 22. 21:17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선황련(鮮黃蓮)

 

 

 

깽깽이풀 /선황련(鮮黃蓮)

 

 

 

깽깽이풀

 

이명:깽이풀, 황련, 조황련

학명: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S.Moore

분류군:Berberidaceae(매자나무과)

일본명:タッタソウ(Tatsuta-so)

영명:Chinese Twinleaf

 

잎은 긴 엽병 끝에 달리고 원심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9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전체가 딱딱하며 연잎처럼 물에 젖지 않는다.

 

 

열매

열매는 골돌로서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부리처럼 길며 종자는 흑색이고 타원형이다.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2cm로서 홍자색이며 1-2개의 화경(花莖)이 잎보다 먼저 나와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이고 피침형이며 꽃잎은 6-8개로서 도란형이고 옆으로 퍼지며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줄기

원줄기가 없다.

 

뿌리

근경은 짧고 옆으로 자라며, 근경에서 여러 잎이 나온다. 원뿌리는 단단하며 잔뿌리가 많다.

 

원산지

한국,만주,아무르,우수리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20-30cm 정도로 자란다.

 

문헌자료

이유미ㆍ김성식. 1997. 명지산의 식물상 및 희귀식물. 환경생태학회지. 11(3) : 366-386.

이유미ㆍ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도서출판생명의나무. 서울.

 

 

 

생육환경

산골짝의 중복 이하에서 자란다. 북쪽으로 터진 계곡 입구의 동향 사면이 주요 생육지로 약간 습윤하고 반그늘인 곳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다.

 

광선

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번식방법

실생 및 분주로 번식한다.

1.실생번식 : 씨를 채취하여 바로 강모래 묘상에 뿌려 성장이 좋으면 2년 안에 꽃을 볼 수가 있다.

2.분주번식 : 5-10정도 높이의 풀이지만 포기나누기로 잘 번식하므로 매년 포기나누기를 하면 쿠션 모양이 된다. 산모래 등으로 한 배양토를 접시분에 반구형으로 불룩하게 흙을 돋우고 그 위에 심는다. 분을 놓는 장소는 봄부터 장마철까지는 양지, 그 이후는 반그늘에서 재배한다.

 

재배특성

보습성이 좋고 유기질이 풍부하여 비옥한 토양조건의 반그늘에서 재배한다. 동향의 완만한 경사면에서 재배하면 좋다. 재배에 강건하며 매화와 같은 흰꽃은 얕은 분에 무리를 지어 심으면 한결 앙증스럽고 운치있다.

 

파종기

5,6

 

이식기

4

 

삽목기

6

 

이용방안

잎과 꽃의 관상가치가 매우 뛰어나므로 지피식물을 비롯하여 화단식재용 또는 초물분재용 또는 초물분재 등과 같은 관상식물로 가치가 높다.

 

根莖(근경)鮮黃連(선황련)이라 하며 약용한다.

9-10월에 채취하여 자상부위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 (), ()에는 berberine 등의 alkaloid를 함유하고 있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 健胃(건위)의 효능이 있다. 下痢(하리), 發熱煩躁(발열번조), 口舌生瘡(구설생창), 眼結膜炎(안결막염), 편도선염, 식식욕감퇴, 惡心嘔吐(오심구토), 鼻出血(비출혈), 토혈, 장염, 腹瀉(복사), 이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6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洗眼(세안)한다.

 

보호방안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환경부 선정 보호야생동ㆍ식물(1997)

 

 

유사종

한계령풀(Leontice microrhyncha): 전체에 털이 없으며 뿌리는 땅 속 깊이 곧게 들어가고, 구경이 달린다.

 

특징

종자에 당분이 존재하는 밀선이 있어 개미 등의 곤충이 잘 물어서 전파시킨다. 따라서 자연상태에서는 개미들의 활동 범위내에서 일정한 범위로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경우가 많다.

자생지에 따라 독특한 형질을 나타내는 지역형이 뚜렷한데 크게 구분하여 북위38˚를 중심으로 남쪽에 생육하는 개체들은 잎이 전개되기 이전에 꽃이 피며 다화성으로서 관상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북쪽에 생육하는 개체들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크며 잎과 꽃이 동시에 피고 비다화성으로 관상가치는 떨어진다.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67)

 

 

 

학명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S.Moore

J. Linn. Soc., Bot. 17: 377 (1879)

1. Plagiorhegma dubium Maxim.

Prim. fl. amur. p. 34 (1859)

국명 깽깽이풀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깽이풀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황련

3. 황련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영문명 : Chinese Twinleaf

일본명 : タッタソウ

북한명 : 깽깽이풀

 

 

Jeffersonia dubia Benth. & Hook.f. ex Baker & Moore

J. Linn. Soc., Bot. 17: 377. 1879 [1880 publ. 1879]

17: 377 1879

Original Data:

Notes: Manchu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et Hook. f. ex Baker et Moore 异名

 

正名Plagiorhegma dubium Maxim. 鲜黄连

 

 

 

선황련(鮮黃蓮)

Plagiorhegma dubium Maxim.

 

이명(异名)

Plagiorhegma dubia Maxim.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et Hook. f. ex Baker et Moore

Jeffersonia manchuriensis Hance

 

多年生草本9-30厘米根状茎外皮暗褐色内部鲜黄色密生细而有分枝的须根基生叶丛生叶片近圆形直径约5厘米顶端凹人中央有1针刺状突起基部深心形边缘波状掌状脉9-11下面灰绿色无毛柄长9-30厘米花葶长约17厘米花单生淡紫色萼片4紫红色早落花瓣6-8倒卵形基部狭窄成1短距雄蕊8雌蕊1,柱头2子房有多数胚珠蒴果纺锤形长约1.5厘米黄褐色有梗种子多数黑色

 

分布于东北苏联也有生于山坡灌木丛中或山坡阴湿处根状茎人药为健胃剂

 

 

Plagiorhegma dubium Maxim.

Prim. Fl. Amur. 34. t. 1 (1859).

34. t. 1 (1859) 0

 

 

^^^^^^^^^^^^^^^^^^^^^^^^^^^^^^^^^^^^^^^^^^^^^^^^^^^^^^^^^^^^^^^^^^^^^^^^^^^^^

선황련(鮮黃蓮)

 

出处】《东北药植志

 

 

 

 

별명(別名)

 

洋虎耳草(《中国植物图鉴》),细辛幌子常黄连铁丝草(《东北药植志》),朝鲜黄连(《东北常用中草药手册》),毛黄连(《辽宁经济植物志》)。

 

 

래원(來源)

 

为小檗科植物鲜黄连的根茎910月采挖除去地上部分及根须晒干

 

 

원형태(原形态)

 

多年生草本高约25厘米根茎短外皮暗褐色内部鲜黄色密生细而有分枝的须根叶片近圆形径约58厘米基部深心形顶端微凹边缘波状掌状脉79叶质薄两面平滑无毛叶柄长1325厘米无毛基部具紫褐色的鳞片花单生于花茎顶端径约2厘米萼片4紫红色早落花瓣68倒卵形淡紫红色或带紫红色雄蕊8雌蕊1纺锤形蒴果种子黑色有光泽花期45果期56

 

 

생경분부(生境分部)

 

生长于林下山坡灌木丛或山脚湿润地上分布东北产辽宁吉林黑龙江等地

 

 

성상(性狀)

 

干燥根茎甚短外表棕褐色上有茎基残存并被小鳞片断面黄白色木质部往往有空隙气特异味苦

 

 

화학성분(化学成分)

 

根茎含小檗碱等生物碱

 

 

성미(性味)

 

东北常用中草药手册》:""

 

 

공능주치(功能主治)

 

东北常用中草药手册》:"청열해독(淸熱解毒)건위(健胃)지사

 

 

발열번조(发热烦躁)구설생창(口舌生瘡)안결막염(眼结膜炎)편도체염(扁桃体炎)식욕감퇴(食欲减退)악심구토(惡心嘔吐)뉵혈(衄血)토혈(吐血)장염(腸炎)복사(腹瀉)리질(痢疾)"

 

 

용법용량(用法用量)

 

内服煎汤12

外用煎水洗眼

 

적록】《중약대사전

 

^^^^^^^^^^^^^^^^^^^^^^^^^^^^^^^^^^^^^^^^^^^^^^^^^^^^^^^^^^^^^^^^^^^^^^^^^^^^^

 

 

선황련(鮮黃蓮)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Et Hook.f.

 

別名(별명)

细辛幌子常黄连铁丝草朝鲜黄连毛黄连

 

 

英文名(영문명)

Rhizome of Chinese Twinleaf

 

 

귀경(歸經)

대장(大腸)폐경(肺經)

 

藥化學成分(약화학성분)

鲜黄连根和根茎含小檗碱berbeine),木兰花碱magnoflorine)。细胞培养提取液含药根碱jatrorrhizine),去氢二松柏醇-4-β-D-葡萄糖甙dehydrodiconiferyl-alco-hol-4-β-D-glucoside,去氢二松柏醇-r-β-D-葡萄糖甙dehydrodi-coniferyl-alcohol-y-β-D-glucoside)。

 

 

 

 

공효(功效)

청열조습(淸熱燥濕)사화해독(瀉火解毒)

 

주치(主治)

습열설사(濕熱泄瀉)적백이질(赤白痢疾)완협동통(緩頰疼痛)구토(嘔吐)탄산(呑酸)토혈(吐血)육혈(衄血)구설생창(口舌生瘡)목적종통(目赤腫痛)인통후아(咽痛喉哦)옹저정창(癰疽疔瘡)

 

 

각가논술(各家論術)

 

동북상용중초약수책》:治发热烦躁口舌生疮眼结膜炎扁桃体炎食欲减退恶心呕吐衄血吐血肠炎腹泻痢疾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秋季采挖除去茎叶及泥土晒干

 

 

용약금기(用藥禁忌)

芜花为使恶蘘草牵牛子畏大黄黄连藜芦

畏芦笋菰笋酱豉冷水得火良与牵相反体弱者和孕妇禁忌

 

植物形态(식물형태)

鲜黄连

 

多年生草本10-30cm

 

根茎短外皮暗褐色断面鲜黄色须根发达形成密集的根系叶丛生有长柄柄长13-25cm,基部具紫褐色的鳞片叶质薄叶片近圆形直径5-8cm先端微凹基部深心形边缘不规则波状掌状脉7-9上面绿色下面灰绿色两面光滑无毛花葶顶端着生一花花葶长15-17cm萼片4紫红色5-6cm早落花冠淡紫色或紫红色直径约2cm或稍多花瓣6-8倒卵形雄蕊8长约为花瓣的1/31/4雌蕊1纺锤形柱头2蒴果革质梨形近先端半盖裂种子多数黑色有光泽花期4-5果期5-6

 

 

 

공효분류(功效分類)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건비약(健脾藥)

 

성미(性味)

性寒

 

생약재감정(生藥材鑑定)

 

性状鉴别 根茎呈不规刚圆状扁柱状直径2-6mm3-6cm表面棕褐色有节及纵皱被褐色小鳞片上端有残存茎基下端着生多数有分歧的须根质脆易折断断面鲜黄色不整齐木部较宽髓部较小常有裂隙须根细长扭曲状弯曲直径0.3-1.0mm长约20cm表面土黄色不易折断断面淡黄色纤维性较强气清香味苦

  

 

显微鉴别 根茎横切面木栓层为数列扁平细胞有时残缺或完全脱落皮层薄壁细胞7-10散有根迹维管束和叶迹维管束维管束无限外韧型环列韧皮部较窄韧皮纤维散在类圆形直径13-16um木质部宽广导管较密集直径30-90um木纤维成群类圆形直径13-23um木薄壁细胞尖方形类圆形髓较宽细胞类圆形壁较厚

  

 

根横切面表皮细胞1长圆形长方形外壁及径向壁微木栓化皮层细胞3-5含众多颗粒状物韧皮部较窄韧皮纤维散在类圆形直径10-15um木质部较宽4

 

粉末特征棕黄色

 

木栓细胞棕黄色多角形

 

导管主为网纹及环纹导管

 

纤维细长直径8-10um壁厚胞腔平直狭缝状。④淀粉粒少单闰圆球形直径4-15um脐点层纹不明显

 

 

약화학감정(药化学鉴定)

理化鉴别

 

1取本品粉末0.1g1%盐酸5ml水浴温浸10min滤过分取1ml滤液中加碘化铋钾试剂2-3产生橙红色沉淀

  

2薄层色谱 取上述滤液作供试品溶液另取盐酸小檗碱以乙醇溶解成每1ml0.5-1mg的对照溶液取供试品溶液20ul点于同一硅胶H-CMC薄层板上以正于醇-冰醋酸-712展距10cm取出晾干254nm紫外公析灯下观察供试品色谱在与对照品色谱相应的位置上显相同的黄色斑点

 

 

약재기원(藥材基源)

为小檗科植物鲜黄连的根及茎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6-12g

외용适量煎汁洗眼或涂口舌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피자기(桂皮紫萁)  (0) 2024.05.23
오지모도(五指毛桃)  (0) 2024.05.22
화두초(鏵頭草)  (1) 2024.03.28
오기조양초(五氣朝陽草)  (0) 2024.03.06
미상륙엽(美商陸葉)  (1) 202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