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교고

2024. 6. 22. 00:23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단&고]연구

아교고

 

 

 

조성(組成)

 

흑지마(黑芝麻)아교(阿膠)핵도인(核桃仁)홍조(紅棗)구기자(枸杞子)황주(黃酒)빙당(冰糖)

 

 

 

아교(阿膠) 엽천사

 

气平味甘无毒

 

主心腹内崩劳极洒洒如疟状腰腹痛四肢酸疼女子下血安胎久服轻身益气阿胶气平禀天秋收之金气入手太阴肺经味甘无毒得地中正之土味入足太阴脾经气味降多于升色黑质润阴也

心腹者太阴经行之地也

内崩劳极者脾血不统内崩而劳极也

阴者中之守阴虚则内气馁而洒洒恶寒如疟状也

其主之者味甘可以益脾阴也

腰腹皆藏阴之处阴虚则空痛阿胶色黑益阴所以止痛四肢脾主之酸疼者血不养筋也

味甘益脾脾统血四肢之疼自止女子下血脾血不统也

味甘以统脾血血自止也

安胎者亦养血之功也

久服轻身益气者气平益肺肺主气气充则身轻也

 

제방(制方)

 

阿胶同杜仲杞子白芍山药生地人参黄耆续断治崩中漏下

同白芍炙草麦冬生地白胶归身杞子杜仲续断治妇人胎漏下血

同川莲黄芩白芍鸡子黄名黄莲阿胶汤治少阴病心烦不卧

同蒲黄生地治吐血衄血同黄连白茯丸治下痢赤白

 

 

 

아교(阿膠) 풍조장

既得阿井純陰之濟水又得純黑補陰之驢皮氣味俱陰功力自大味淡性平入手太陰足少陰厥陰經爲補精養血滋肝補腎更能入肺腎補不足蓋肺主氣腎納氣也故既專補血複能益氣凡吐血衄血血淋尿血腸風下血血痢女子血氣痛血枯崩中帶下胎前產後諸疾及虛勞咳嗽肺痿肺癰膿血雜出等症神效者皆取其入肺入腎益陰滋水補血清熱之功也

 

阿膠主心腹內崩勞極灑灑如瘧狀腰腹痛四肢酸痛養血安胎陰氣不足

 

腳酸不能久立久咳膿血血崩帶下羸瘦勞傷咳嗽喘急吐血衄血淋尿血腸風血痢肺痿肺癰潤燥養肝化痰清肺更主女人下血凡血痛血枯調經崩中胎產諸疾皆妙久服輕身益氣補血和血之聖藥也

又牛皮膠名爲水膠潤燥利大小腸

 

爲外科活血止痛要藥兼治一切男婦血症諸膠皆養血補虛而阿膠又黑驢皮阿井水所熬即濟水所瀦其色正綠性極下趨清而且重其性純陰與諸水大別所以尤能滋肺養肝滋腎也

阿井乃濟水之眼內經以濟水爲天地之肝故入肝多功烏騾皮合北方水色順而健行之物故入腎多功水充則火有制火息則風不生故木旺風淫火盛金衰之症莫不應手取效凡用當擇光如漆帶油絲者爲真真者折之即斷體堅而脆味淡不臭夏月不濕軟不粘紙者爲佳宜切塊蛤粉拌炒成珠或灑化成膏

 

 

 

 

기미(氣味)

 

無毒

 

別錄微溫

 

 

 

()(), ()()하며, (), () ()()하여 ()하여 ()하며, ()하다. 手少陰(수소음), 足少陽(족소양), 足厥陰經(족궐음경)으로 들어간다. ()()하면 좋으며 薯蕷(서여)使()로 하며, 大黄(대황)()한다.

 

 

주치(主治)

 

 

心腹內崩(심복내붕), 極端(극단)으로 ()하여 洒洒(쇄쇄)하여 ()과 같은 狀態(상태)가 되어 腰腹痛(요복통), 四肢酸(사지산)()하는 (), 婦人(부인)下血(하혈), 安胎(안태)한다. 久服(구복)하면 輕身益氣(경신익기)한다.

 

 

男子(남자)小腹痛(소복통), 虛勞羸瘦(허로이수), 陰氣不足(음기부족), 脚酸(각산)으로 久不能立者(구불능입자), 肝氣(간기)()한다.

 

 

筋骨(근골)()하고 , 益氣(익기)하며 止痢(지리)한다.

 

 

止泄痢(지설리)에는 黃連(황련), ()配合(배합)하는 것이 더욱 좋다.

 

 

吐血(토혈), 衄血(육혈), 血淋(혈림), 尿血(요혈), 腸風下痢(장풍하리), 婦人(부인)血痛(혈통), 血枯(혈고), 經水不足(경수부족), 無子(무자)한 것, 崩中帶下(붕중대하), 産前産後(산전산후)諸疾患(제질환), 男女(남녀)一切(일체)風病(풍병), 骨節疼痛(골절동통), 水气浮肿(수기부종), 虛勞(허로)咳嗽(해수), 喘急(천급), 肺痿(폐위)膿血(농혈)()하는 것 및 癰疽腫毒(옹저종독)()한다.

 

 

 

 

和血(화혈)하고, 滋陰(자음)하며, 去風(거풍)하고, 潤燥(윤조)하며, 化痰(화담)하고, 淸肺(청폐)하며, 小便(소변)()하고, 大腸(대장)調()하는 聖藥(성약)이다.

 

 

 

 

發明

 

 

모든 ()()奏效(주효)하며 止洩(지설)하고, 補虛(보허)하지만 그 ()驢皮(여피)의 것이 가장 治風(치풍)에 있어서 가장 奏效(주효)가 있다.

 

 

驢皮(여피)()()는 그 皮膚(피부)()發散(발산)하는 ()()한 것이다. 烏色(오색)使用(사용)하는 것은 烏色(오색)()()하며, 그것으로 ()()하면 ()을 나게 한다는 意味(의미)()한 것이다. 烏蛇(오사), 烏鴉(오아), 烏鷄(오계)()는 모두 그런 것이다.

 

 

 

阿膠(아교)는 대체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淸肺(청폐)하고, 益陰(익음)하여 諸症(제증)()한다. 陳自明(진자명)補虛(보허)에는 牛皮膠(우피교)使用(사용)하고, 去風(거풍)에는 驢皮膠(여피교)使用(사용)한다.”라고 記述(기술)하였다.

 

 

 

成无己(성무기)陰不足者(음부족자)()로써 ()한다. 阿膠(아교)()陰血(음혈)()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杨士瀛(양사영)大槪(대개) 喘嗽(천수)治療(치료)에는 肺虛(폐허)肺實(폐실), ()할 것과 ()할 것을 不問(불문)하고, 필히 阿膠(아교)使用(사용)하여 安肺(안폐), 潤肺(윤폐)해야 한다. ()和平(화평)하여 肺經(폐경)要藥(요약)이다. 小兒(소아)驚風(경풍), 瞳人(동인)不正(부정)한 것에는 阿膠(아교)人參(인삼)()로 하여 煎服(전복)한 것이 가장 有效(유효)하다. 阿膠(아교)育神(육신)하고, 人參(인삼)益氣(익기)하는 것이다.

 

 

 

痢疾(이질)傷暑伏熱(상서복열)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다. 阿膠(아교)大腸(대장)要藥(요약)이며 熱毒(열독), 留滯(유체)일 때에 ()疎導(소도)한다. 熱毒(열독), 留滯(유체)가 없어지면 平安(평안)해지는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이들의 數說(수설)阿膠(아교)蘊蓄(온축)發明(발명)함에 ()할 것이다.

 

 

 

공능(功能)

 

보혈자음(補血滋陰)윤조(潤燥)지혈(止血)

 

 

주치(主治)

 

혈허위황(血虚萎黄)현훈심계(眩暈心悸)기위무력(肌痿无力)심번불면(心烦不眠)허풍내동(虛風內動)폐조해수(肺燥咳嗽)로수각혈(劳嗽咯血)토혈(吐血)뇨혈(尿血)변혈(便血)붕루(崩漏)임신태루(姙娠胎漏)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환&단&고]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더덕 고[완성]  (1) 2023.12.04
산더덕 고[2]  (1) 2023.12.04
음양곽고[1]  (1) 2023.11.23
당삼고[2]  (0) 2023.11.13
위령선환  (1) 202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