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羊)[본경/동의보감]

2024. 3. 16. 23:36[신농본초경]/중경(中經)

()[본경/동의보감]

 

 

 

 

 

 

 

산양(山羊)

 

 

소과에 속하는 동물. 천연기념물 제217. 외국산 산양과는 속이 전혀 다르다. 형태적으로 그 특징은 안선이 없는 점이다. 겨울털은 회황색을 띠고 등면의 정중선은 암색이며 모피는 방모상이다.

 

학명/Naemorhedus goral raddeanus (HEUDE.)

 

생물학적 분류/소과

 

서식지·소재지

강원도 유진면, 설악산, 오대산, 대관령, 태백산 일대

외형(크기|길이|높이)

몸의 길이 129, 꼬리길이 15, 뒷다리길이 30, 귀의 길이 12, 뿔의 길이 13

출산·개화시기/4

천연기념물(보호수)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217

천연기념물(보호수) 지정일

19681120

 

 

정의/소과에 속하는 동물.

 

 

천연기념물 제217.

 

학명은 Naemorhedus goral raddeanus (HEUDE.)이며, 외국산 산양과는 속()이 전혀 다르다. 형태적으로 그 특징은 안선(顔腺)이 없는 점이다. 겨울털은 회황색을 띠고 등면의 정중선은 암색이며 모피는 방모상(尨毛狀)이다.

 

주둥이로부터 후두부에 이르는 대부분은 흑색을 띠고 머리 옆과 입술은 회갈색에 흑색이 섞여 있으며, 입술의 다른 부분은 희고, 뺨은 흑색, 목에는 백색의 큰 반점이 있다.

 

귀는 길고 외면은 엷은 쥐색이며, 기부(基部)는 암색에 녹갈색이고 안쪽은 백색이다. 몸 뒤에는 짧은 갈기가 있으며 흑색을 띤다. 어깨로부터 무릎에 이르는 곳에 흑색의 띠가 거모(距毛)까지 달하였다.

 

뒷다리는 후각과관절(後腳踝關節)로부터 거모까지 짙은 밤색으로, 앞면은 갈색이고 옆면은 담황갈색이며 가슴과 상복부는 흑색이다. 서혜부(鼠蹊部)와 대퇴부의 내면, 그리고 꼬리의 기부까지는 백색이다.

 

꼬리의 윗면은 갈색이고 아랫면은 백색이다. 꼬리의 끝에는 흑백의 두 가지 긴 털이 과관절(踝關節)까지 달한다. 몸의 길이는 129, 꼬리길이는 15, 뒷다리길이는 30, 귀의 길이는 12, 뿔의 길이는 13정도로 암수가 다 있다.

 

생태

 

산양은 설악산·대관령·태백산과 같은 기암절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산림지대에서 서식한다. 바위와 절벽의 꼭대기와 산맥의 노출된 지역에서 항상 볼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폭설로 말미암아 다소 낮은 산림지대로 내려오지만, 서식지를 멀리 떠나지 않는다. 성질이 매우 국소적이어서 한번 선택한 지역에서 영구히 살며 이동하는 성질이 없기 때문이다.

 

보통은 햇볕이 잘 내리쬐는 남향, 다른 어떤 동물도 접근하기 어려운 험준한 바위와 바위 사이, 또는 동굴에 25마리씩 군집생활을 한다. 그들의 목소리는 염소와 같이 평화스러운 편이나, 부상을 당했을 때는 까치와 같이 찢어지는 것처럼 운다. 보금자리는 사람이나 동물들이 드나들 수 없는 바위구멍에다 만들고, 바위이끼·잡초·진달래와 철쭉의 잎을 잘 먹는다.

 

번식은 4월에 두세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강원도 유진면·설악산·오대산·대관령·태백산 일대에서 서식하고, 중국의 동북지방, 목단강, 우수리지방, 흑룡강 유역에도 분포한다.

 

현황

 

19643월의 대폭설로 말미암아 강원도에서 포획된 산양의 수가 무려 3,000마리나 되고, 이듬해 2월 설악산·대관령·오대산·태백산 계곡에 11.5m의 폭설이 내렸을 때도 3,000마리가 포획되는 등 점차 그 수가 줄어들어 196811월에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기에 이르렀다. 현재는 적극적인 보호로 점차 그 수가 증가되고 있다.

 

 

 

1.

Capra hircus Linnaeus, 1758 산양(山羊)

 

 

 

^^^^^^^^^^^^^^^^^^^^^^^^^^^^^^^^^^^^^^^^^^^^^^^^^^^^^^^^^^^^^^^^^^^^^^^^

 

/양육(羊肉)

 

 

 

 

 

학명 /Ovis aries

 

생물학적 분류

척삭동물문 > 포유강 > 우제목 > 소과 > 양속

식성/초식성

먹이/풀잎, 사초식물, 활엽초본, 새싹

활동시간 /

분포지/호주, 뉴질랜드, 미국, 아프리카, 아시아

서식장소 /고원지대, 경사가 있는 산지, 울통불퉁한 언덕, 바위언덕

 

생김새

 

털색은 크림색에서 어두운 회색, 갈색까지 다양

크기/ 1.2~1.8m. 어깨높이 127~65cm. 꼬리길이 7~15cm. 몸무게 20~200kg

Goral과 달리 꼬리에 분비선이 없고 가는 코와 위로 선 귀를 가지고 있다. 수컷은 뿔을 가지고 있고 암컷의 것은 좀 더 작다. 야생이 아닌 가축의 경우에만 양털외피를 가지고 있으며, Capra 와는 달리 수염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가축 양이 야생화가 되면 점차 구불구불한 양털이 없어지고 일반 야생 양이 가진 것과 같은 거친 털이 자라기 시작한다.

 

생태정보

 

짝짓기시기 7~12. 초산연령 생후 2~3. 임신기간(포란기간) 150~180. 새끼수(산란수) 1마리

수명 10~20

 

특징

 

야생 양은 고원지대에서 주로 발견된다. 경사가 있는 산지나 울퉁불퉁한 언덕, 바위언덕 등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운 날씨에는 낮엔 주로 휴식을 취하고, 온도가 내려가는 밤에 주로 먹이 활동을 하기도 한다. 대부분이 계절에 따라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다. 여름에는 넓은 고지대로 올라가고, 겨울에는 좁은 계곡으로 이동한다. 월동방법은 절벽이나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계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야생 양은 매우 민감한 동물로 좋은 시력을 가지고 있으며 경사진 곳을 잘 오르내리고, 수영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놀라면 민첩하고 빠르게 도망간다. 주로 100마리 이상이 한 무리를 이루는데 몇몇 다른 Ovis 종은 수컷이 암컷과 새끼와 몇 년간 떨어져 지내기도 한다. 가장 높은 세력을 가진 수컷만이 암컷과 짝짓기를 할 수 있다.

 

가장 우두머리 수컷은?: 나이와 몸집의 크기에 따라 뿔의 크기도 달라지는데 그 뿔이 가장 큰 수컷이 싸움에서도 유리하다. 어린 수컷은 공격적이지만 나이가 든 수컷은 그들이 가진 큰 뿔로 상대로부터 받은 공격을 쉽게 완활 할 수 있다. 따라서 큰 뿔을 가질수록 서열 싸움에 따른 부상이 적다.

 

양이 가축화가 된 유래는?: 무플론과 비슷한 종에서 유래한 가축양은 9000~11000년 전 지중해 와 카시피안지역에서 처음 가축화가 되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총 백만 마리의 가축 양이 사육되고 있다.

 

자연으로 돌아간 가축양에 의한 자연의 피해: 가축으로 키우던 양이 야생화 되는 수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면서 기존의 야생 양들과 먹이 경쟁을 하거나 질병을 퍼뜨리는 등 자연을 훼손시키고 있다. 그 외 사냥이나 농경지의 증가에 따른 야생 양의 감소도 문제가 되고 있다.

 

출처서울동물원

 

 

 

2.

Ovis aries Linnaeus, 1758

 

 

이명(異名)

 

Ovis ophion Blyth, 1841

Ovis musimon Pallas, 1762

Ovis orientalis Gmelin, 1774

Ovis musimon musimon Pallas, 1762

Ovis musimon ophion Blyth, 1841

Ovis aries ophion Blyth, 1841

Ovis aries musimon Pallas, 1762

 

면양(綿羊)

 

외형특정(外形特征)

 

羊體軀豐滿,被毛綿密,頭短公綿羊多有螺旋狀大角母綿羊無角或角細小顱骨上具淚窩鼻骨較隆起四蹄都有趾腺公綿羊無偞氣體重自數十千克至百餘千克不等其構造和習性因具有多種特點而適於放牧嘴尖唇薄而靈活,利於采食短草,亦能采食粗硬的秸稈樹枝消化能力強有的類型可在尾部臀部和內髒器官周圍蓄積脂肪以供冬春青飼料缺乏時消耗仿效性合群性強,有跟隨領頭羊(通常是老母綿羊)集合成群的習性放牧時好向高處采食,夜間亦喜睡於牧地高處由於被毛的保溫和隔熱作用能耐寒耐熱但在剪毛後不久如天氣驟冷或受雨淋時易得病一般喜幹燥而怕潮濕性怯懦少自衛能力易受獸害自然壽命約15

 

 

 

번식관리(繁殖管理)

  

綿羊是季節性繁殖動物一般配種季節在日照縮短氣溫下降的911月份,但在緯度較低而飼養管理較好的地方 ,也能全年發情配種發情持續期爲12發情周期平均17妊娠期151152142155)。初生重約3.54.5千克,多爲單羔,但雙羔和三羔亦常見性成熟和初配年齡因品種類型和飼養管理而異:母羊410月齡性成熟初配年齡爲12繁殖年限約68公羊57月齡性成熟,1820月齡初配,繁殖年限68適宜的配種期依當地的氣候牧草條件母羊膘情和最適宜的接羔時間而定同時也考慮飼料羊舍和勞力等因素而以產冬羔爲最佳配種方法采用人工授精或自然交配同期發情胚胎移植胚胎體外培養和冷凍精液等新技術已在綿羊繁殖上應用利用激素誘導母羊同期發情和通過人工授精使產羔時間大體一致有利於集中產羔和成批生產肥羔爲提高肥羔產量常選擇配種季節長或全年能配種的品種使母羊一年兩產或兩年三產培育早熟多胎品種和降低母羊初配年齡也可提高產羔率良好的接羔和育羔工作可提高成活率。   雜交優勢在綿羊育種上的利用較爲普遍一般是用長毛羊和細毛羊或中毛羊品種進行品種間雜交來生產肉用商品羔羊如在美國英國和新西蘭大多通過雜交配種當年產羔屠宰或出售至肥育場肥育以提高出欄率或商品率並減輕冬春草地的負擔

 

 

관리(管理)   

 

綿羊(16)綿羊善於利用粗纖維因而飼糧中粗飼料的比重可達9095%蛋白質的比重宜占1015%根據不同季節的氣候牧草生長和水源條件選擇牧地進行放牧飼養全年放牧可以獲得所需蛋白質的大部分和豐富的礦物質維生素來源冬季和早春牧草枯黃又值產羔和哺乳季節需進行補飼可按羊只的種用價值體重生長發育狀況以及妊娠泌乳的營養需要進行羔羊4月齡斷乳,哺乳期宜補喂精料斷乳後的公母羔分別編入育成羊群或肥育群中飼養利用牧羊犬放牧羊群效果既好又可節約費用20世紀60年代以來有些國家采用高度集約化方法生產羔羊肉其特點是充分控制環境條件和利用全價日糧,使羔羊快速生長,縮短生產流程且飼養密度高生產過程高度機械化和自動化產品定型規格化能全年均衡生產。   

 

綿羊飼養管理上的其他措施還包括

 

斷尾

即在細毛羊和半細毛羊出生1個月內將其尾巴斷去,以防止尾巴容易引起糞便等汙染並便於交配

 

去勢

 

即將不配種的公羊羔的睾丸除去去勢後的公羊性情溫馴容易肥育,且肉質細嫩而無偞味

 

剪毛

 

一般每年56 月間剪毛一次但粗毛羊可春秋各剪一次要求剪齊不剪二茬毛並按不同的細度和長度等分級化學脫毛方法也有試用主要是喂給環磷酰胺使毛脫落以提高優等毛的比例和勞動生產率也有研究用激光束來剪毛的剪毛或脫毛後半個月左右進行藥浴預防外部寄生蟲感染。 

 

 

 

^^^^^^^^^^^^^^^^^^^^^^^^^^^^^^^^^^^^^^^^^^^^^^^^^^^^^^^^^^^^^^^^^^^^^

 

 

羖羊角

 

味鹹溫

 

主青盲明目殺疥蟲止寒洩辟惡鬼虎狼止驚悸久服安心益氣輕身生川穀

 

 

名醫生河西取無時

 

說文羖夏羊牝曰羖.爾雅羊牝.郭璞雲今人便以牂為黑白羊名

 

 

[本經/中經]

 

 

^^^^^^^^^^^^^^^^^^^^^^^^^^^^^^^^^^^^^^^^^^^^^^^^^^^^^^^^^^^^^^^^^^^^^

 

羖羊角

 

고양각(羖羊角)

 

 

수양의性溫一雲微寒味醎苦無毒

 

()은 온()하고 <일운(一雲)미한(微寒)> ()는 산(), ()하며 무독(無毒)하다.

 

主靑盲明目止驚悸殺鬼魅辟虎狼療漏下惡血治風退熱[本草]

 

청맹(靑盲)에 명목(明目)하고 경계(驚悸)를 멎게 하며, 귀매(鬼魅)를 살()하고, 호랑(虎狼)을 피()하며, 누하(漏下), 악혈(惡血)을 치료(治療)한다. ()을 퇴(退)하고 풍()을 치()한다.[본초].

 

 

卽牡羊角也靑羖者佳取無時勿使中濕濕卽有毒[本草]

 

즉 모양(牡羊)의 각()이다. 청고(靑羖)가 좋다. 아무 때나 잘라서 쓰는데 습기를 받지 않게 해야 한다. 습기를 받으면 독이 생긴다[본초].

 

 

 

 

 

양두(羊頭)

 

 

性涼一雲平

 

()은 량()하다.<일운(一雲)()>

 

 

治骨蒸腦熱風眩癲疾補虛損安心止驚治小兒驚癎

 

골증(骨蒸)과 뇌열(腦熱), 풍현(風眩)과 전질(癲疾)을 치()한다. 허손(虛損)을 보()하고, 안심(安心)하며, 지경(止驚)하고, 소아(小兒)의 경간(驚癎)을 치()한다.

 

 

熱病後宜食羊頭肉冷病人勿食[本草]

 

열병(熱病) () 양두(羊頭)의 육()을 식()하면 좋다. 냉병(冷病)환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양육(羊肉)

 

性大熱一雲溫味甘無毒

 

()은 대열(大熱)하고 <일운(一雲) ()>()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治虛勞寒冷補中益氣安心止驚開胃肥健[本草]

 

허로(虛勞), 한랭(寒冷)을 치()하고, 보중익기(補中益氣), 안심(安心)하며, 지경(止驚)하고, 개위(開胃)하며, 비건(肥建)한다.[본초].

 

 

齒骨及五藏皆溫平而主疾惟肉性大熱熱病差後百日內食之復發熱瘧人食之令發熱困重皆致死[本草]

 

치골(齒骨) 및 오장(五臟)은 모두 온(), ()하여 병을 낫게 할 수 있으나 육()은 성()이 대열(大熱)하여 열병(熱病) ()에 백일 이내에 먹으면 다시 열이 나게 된다. 학질(瘧疾)을 앓을 때 먹으면 발열(發熱)하고 위독(危篤)하게 된다.[본초].

 

 

 

 

()

 

性冷

 

()은 랭()하다.

 

 

療肝風目赤暗痛能明目[本草]

 

 

 

간풍(肝風), 목적(目赤) 암통(暗通)을 치()하는데, ()히 명목(明目)하게 한다.[본초].

 

 

 

()

 

 

 

性平

 

()이 평()하다.

 

 

主靑盲明目點眼中主赤障白膜[本草]

 

청맹(靑盲)에 명목(明目)하며, 안중(眼中)에 점()하면 적장(赤障), 백막(白膜)에 주효(主效)하다. [본초].

 

 

 

靑羊膽佳[本草]

 

청양(青羊)의 담()이 좋다.[본초].

 

 

 

()

 

補心主憂恚膈氣心有孔者殺人勿食[本草]

 

보심(補心)하고 우에격기(憂恚膈氣)에 주효(主效)하다. 공혈(孔穴)이 있는 것을 먹으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主虛羸補胃虛損止尿數補氣[本草]

 

허하고 여윈 것[虛羸]을 낫게 하고 위()가 허손(虛損)된 것을 보하며 오줌이 잦은 것을 멎게 하고 기()를 보()한다[본초].

 

卽肚也

 

()()이다.

 

 

 

양신(羊腎)

 

補腎氣益精髓主虛損耳聾盜汗壯陽益胃止小便

 

신기(腎氣)를 보()하고 정수(精髓)를 익()하며, 허손(虛損), 이롱(耳聾), 도한(盜汗)에 주효(主效)하고, 장양(壯陽), 익위(益胃)하며, 소변삭(小便數)을 멎게 한다.[본초].

 

 

羊五藏補人五藏[本草]

 

()의 오장(五臟)은 사람의 오장(五臟)을 보()한다.[본초].

 

 

 

 

양수(羊髓)

 

性溫味甘無毒

 

()은 온()하고 미()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利血脈益經氣以酒服之[本草]

 

혈맥(血脈)을 이()하고, 경기(經氣)를 익()하는데, 주복(酒服)한다.[본초].

 

 

 

 

양지(羊脂)

 

治遊風幷黑䵟[本草]

 

유풍(遊風), 흑간(黑䵟)을 치()한다.[본초].

 

 

 

 

양혈(羊血)

 

 

主産後血暈及中風血悶飮一升卽愈[本草]

 

산후혈훈(産後血暈) 및 중풍(中風), 혈민(血悶)에 주효(主效)한데 일승(一升)을 마시면 유()한다.[본초].

 

 

 

 

양골(羊骨)

 

性熱

 

()은 열()하다.

 

主虛寒羸瘦有宿熱人勿食[本草]

 

허한(虛寒), 리수(羸瘦)에 주효(主效)하며, 본래부터 열인(熱人)은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脊骨

 

양척골(羊脊骨)

 

 

治腎冷腰痛搗碎煮爛和蒜虀或酒空心食[入門]

 

신허요통(腎虛腰痛)을 치()한다. 도쇄(搗碎)하고, 자란(煮爛)하여 산(), ()로 화()하여 공심(空心)에 주()로 식()한다.[입문].

 

 

脛骨

 

양경골(羖羊脛骨)

 

治牙齒疎痛火煆爲末入鹽每早擦牙上[入門]

 

아치(牙齒)의 소통(疏通)을 치()한다. 화하(火煆)하여 말()에 염()을 섞어 아침마다 이빨을 닦는다[입문].

 

 

 

 

양치(羖羊齒)

 

主小兒羊癎三月三日取之[本草]

 

소아(小兒)의 양간(羊癎)에 주효(主效)한데, 삼월(三月) 삼일(三日)에 취()한다. [본초].

 

 

 

 

 

양피(羊皮)

 

 

補虛去諸風去毛作臛食之[本草]

 

보허(補虛)하고 제풍(諸風)을 거()한다. 거모(去毛)하여 학식(臛食)한다.[본초].

 

 

 

양시(羊屎)

 

 

 

燒灰淋取汁沐頭令髮長黑又生髮

 

소회(燒灰)하여 임즙(淋汁)으로 목두(沐頭)하면 장발(長髮)하고 검어지며, 또 생발(生髮)한다.

 

 

 

理聤耳罨竹木刺又主箭鏃不出[本草]

 

정이(聤耳)를 이()하고, 죽목자(竹木刺), 전족(箭鏃)이 박혀서 나오지 않는 데 주효(主效)하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중경(中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초(紫草)[본경]  (0) 2024.06.23
작상(爵床)[본경]  (0) 2024.04.20
녹용]신농본초경/동의보감]  (4) 2024.03.07
지유(地楡)[본경/동의보감]  (3) 2024.03.06
모단피(牡丹皮)[본경/동의보감]모란  (1) 202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