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3. 6. 20:59ㆍ[신농본초경]/중경(中經)
지유(地楡)[본경/동의보감]
오이풀/지유(地楡)
오이풀
이명:[지우초] [수박풀] [외순나물] [지우]
학명:Sanguisorba officinalis L.
분류군:Rosaceae(장미과)
일본명:ワレモコウ(Waremoko)
영명:Great Burnet, Burnet Bloodwor
漢名:地楡(땅 지, 느릅나무 유)
잎
잎은 엽병이 길며 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5~11개로 긴타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원두이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2.5-5cm, 폭1-2.5(3.5㎝)cm로서 삼각형의 톱니가 있고 털은 없으며, 소엽병은 길이 6~30mm이고 밑 부분에 흔히 소엽편이 있다. 근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작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서 사각형이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꽃
꽃은 7~9월에 피며 혈적색이고 수상화서는 긴 대가 있으며 길이1~2.5cm, 지름 6~8mm로서 곧게 서고, 포는 넓은 타원형이며 소포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넓은 타원형이고 수술도 4개로서 꽃받침보다 짧으며 꽃밥은 흑갈색이다. 심피는 1개이다.
줄기
높이 30-15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근경은 옆으로 비스듬히 방추형으로 자라고, 다시 방추형의 뿌리에 잔뿌리가 내린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일본, 유럽, 중국 만주,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에 자생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
크기
높이 30~150cm
생육 환경
산야에서 흔히 자라고, 부식질이 있는 점질양토나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습윤
꽃/번식방법
분주 또는 실생으로 행한다.
재배특성
충분히 관수 관리한다. 주로 냇가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생한다. 건조에 약하며, 보통으로 자란다.
이용방안
▶꽃과 열매는 꽃꽂이 소재로 이용되며, 정원이나 공원 도로변 조경에 이용해도 좋다.
▶오이풀, 산오이풀, 긴오이풀, 큰오이풀, 가는오이풀, 애기오이풀의 根(근) 및 根莖(근경)을 地楡(지유)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발아 전 또는 가을에 잎과 줄기가 마른 다음에 뿌리는 캐서 가는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뿌리에는 tannin, triterpenoid系(계) 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분리된 saponin에
는 지유 glycosideⅠ 그 가수분해 생성물은 ponolid acid, arabinose와 glucose, 지유 glycosideⅡ 그 가수분해 생성물은 pomolic acid 와 arabinose, 지유 glycoside B는 초보
적 鑑定(감정)에서 glucuron酸(산)이 결합한 triterpenoid系(계) saponin이라고 말한다. 莖葉
(경엽)에는 qurcetin 과 kaempferol의 배당체와 ursol酸(산) 등 triterpenoid가 함유되어 있
고 잎에는 비타민C가, 꽃에는chrysanthemin, cyan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凉血(양혈), 止血(지혈),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 혈), 鼻出血(비출혈), 血痢(혈리), 崩漏(붕루), 腸風(장풍), 痔漏(치루), 癰 腫(옹종), 습진, 金瘡(금창), 화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 다.
<외용> 짓찧어서 즙을 내어 바르거나 粉末(분말)을 만들어서 바른다.
유사종
▶가는오이풀(S. tenuifolia var. alba Trautv. et Meyer)
▶자주가는오이풀(S. tenuifolia var. purpurea Trautv. et Meyer)
▶큰오이풀(S. stipulata Rafin.)은 백두산 자생종이다.
▶산오이풀(S. hakusanensis makino)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긴오이풀(S. longifolia Bertol.)은 속리산 이북에서 자란다.
학명 Sanguisorba officinalis L.
Sp. pl. 116 (1753)
1. Sanguisorba carnea Fisch.
Enum. Hort. Berol. altera I. 144 (1822)
국명 오이풀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수박풀
2. 외순나물
3. 지우
4. 지우초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오이풀
외국명 영문명
Great Burnet, Burnet Bloodwort
일본명
ワレモコウ
Sanguisorba officinalis L.
Sp. Pl. 1: 116. 1753 [1 May 1753]
1: 116 1753
Links:
hybridparent of:Rosaceae Sanguisorba × pseudo-officinalis Naruh. J. Phytogeogr. Taxon. 58(1): 16 (-17; figs.). 2010 [Dec 201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지유(地榆)
Sanguisorba officinalis Linn.
이명(異名)
Poterium officinale (L.) A. Gray
Sanguisorba polygama F. Nyl.
Sanguisorba officinalis var. longa Kitag.
Sanguisorba officinalis var. montana (Jord.) Focke
Sanguisorba officinalis var. polygama (F. Nyl.) Serg.
Sanguisorba montana Jord.
Sanguisorba officinalis var. microcephala Kitag.
Sanguisorba officinalis f. microcephala (Kitag.) Kitagawa
Sanguisorba officinalis var. cordifolia Liou et Li
Pimpinella officinalis (L.) Lam.
Poterium boreale Salisb., nom. illegit.
Sanguisorba altissima Moench, nom. illegit.
Sanguisorba andersonii G.Don
Sanguisorba auriculata Scop.
Sanguisorba baicalensis Popl.
Sanguisorba bracteosa Besser ex Eichw.
Sanguisorba cernua Besser
Sanguisorba cordifolia Opiz
Sanguisorba cylindrica Charb.
Sanguisorba hispanica Mill.
Sanguisorba komaroviana Nedol. S
anguisorba konradii Opiz
Sanguisorba major Bubani, nom. inval.
Sanguisorba menziesii Rydb.
Sanguisorba microcephala C.Presl
Sanguisorba nudicaulis Raf.
Sanguisorba praecox Besser ex Rchb., nom. illegit.
Sanguisorba rectispica Kitag.
Sanguisorba rubra Schrank
Sanguisorba sabauda Mill.
Sanguisorba serotina Jord.
Sanguisorba serpentini H.J.Coste & Puech
Sanguisorba taurica Juz.
Sanguisorba officinalis subsp. officinalis
Sanguisorba officinalis var. nana Rouy
Sanguisorba officinalis subsp. microcephala (C.Presl) Calder & R.L.Taylor Sanguisorba officinalis subsp. montana (Jord. ex Boreau) Gremli
Sanguisorba officinalis var. altissima Moench ex Steud., nom. illegit.
Sanguisorba officinalis f. pilosella (Ohwi) H.Hara
Sanguisorba officinalis var. hispanica (Mill.) Willd.
Sanguisorba officinalis var. pilosella Ohwi
Sanguisorba officinalis var. sabauda (Mill.) Steud.
Sanguisorba officinalis var. serotina (Jord.) A.Braun & Bouch‚
Sanguisorba officinalis var. serpentini (H.J.Coste & Puech) Rouy & E.G.Camus
多年生草本,高1-2米;根粗壯;莖直立,有稜,無毛。單數羽狀複葉;小葉2-5對,稀7對,矩圓狀卵形至長橢圓形,長2-6厘米,寬0.8-3厘米,先端急尖或鈍,基部近心形或近截形,邊緣有圓而銳的鋸齒,無毛;有小托葉;托葉包莖,近鑲刀狀,有齒。花小密集,成頂生、圓柱形的穗狀花序;有小苞片;萼裂片4,花瓣狀,紫紅色,基部具毛;無花瓣;雄蕊4;花柱比雄蕊短。瘦果褐色,有細毛,有縱稜,包藏在宿萼內。
分布在華北、華中、華南、西南。生於山坡、草地。
種子含油約30%;根爲收斂止血藥,能清熱涼血,外敷治燙傷。
&&&&&&&&&&&&&&&&&&&&&&&&&&&&&&&&&&&&&&&&&&&&&&&&&&
긴오이풀/지유(地榆)
긴오이풀
[이삭지우초] [긴잎오이풀] [이삭오이풀]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Rosaceae(장미과)
ホナガワレモコウ
잎
근출엽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엽병이 짧아지며 기수 1회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2-4쌍이며 선상 긴 타원형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둔두(鈍頭)에 심저(心底)거나 평저(平底)이고 소엽병 기부에 잎같은 탁엽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열매
수과는 난원형으로 지름 1mm가량으로 8-9월에 익는다.
꽃
화서는 8-9월에 가지 끝에 달리고 긴 원주형이며 꽃은 수상(穗狀)으로 다닥다닥 달리고 홍자색이며 위에서부터 피기 시작한다. 화서는 길이 3-5cm, 지름 6-8mm이다. 포는 피침형이고 꽃받침은 4개로 갈라져서 뒤로 젖혀지며 열편은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잎이 없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
근경은 굵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속리산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1m 정도로 자란다.
생육환경
산지에서 자란다.
수분
습윤
결실기
8월,9월
이용방안
▶오이풀, 산오이풀, 긴오이풀, 큰오이풀, 가는오이풀, 애기오이풀의 根 및 根莖을 地楡(지유)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발아 전 또는 가을에 잎과 줄기가 마른 다음에 뿌리는 캐서 가는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뿌리에는 tannin, triterpenoid系 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분리된 saponin에는 지
유 glycosideⅠ 그 가수분해 생성물은 ponolid acid, arabinose와 glucose, 지유 glycoside
Ⅱ 그 가수분해 생성물은 pomolic acid와 arabinose, 지유 glycoside B는 초보적 鑑定(감
정)에서 glucuron酸이 결합한 triterpenoid系 saponin이라고 말한다. 莖葉에는 qurcetin과
kaempferol의 배당체와 ursol酸 등 triterpenoid가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비타민C가, 꽃에
는 chrysanthemin, cyan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凉血(양혈), 止血(지혈),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
혈), 血痢(혈리), 崩漏(붕루), 腸風(장풍), 痔漏(치루), 癰腫(옹종), 습진, 金瘡(금창), 화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즙을 내어 바르거나 粉末(분말)을 만들어서 바른다.
학명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Mem. Accad. Belogna. 12: 234 (1861)
1. Sanguisorba rectispica Kitag.
Bot. Mag. (Tokyo) 50 : 135 (193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긴오이풀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1. 긴잎오이풀
2. 이삭오이풀
3. 이삭지우초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긴잎오이풀
외국명 영문명
일본명
ホナガワレモコウ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Mem. Acad. Sc. Bologna xii. (1861) 234.
xii. (1861) 234 0
Links:
basionym of:Rosaceae Sanguisorba officinalis L. subsp. longifolia (Bertol.) K.M.Purohit & Panigrahi Blumea 30(1): 57 (1984):.
basionym of:Rosaceae Sanguisorba officinalis L. subsp. longifolia (Bertol.) K.M.Purohit & Panigrahi Bull. Bot. Soc. Bengal 36(1-2): 34. 1986 [1982 publ. 1986]
hybridparent of:Rosaceae Sanguisorba × takahashihideoi Naruh. J. Phytogeogr. Taxon. 58(1): 17 (-19; figs.). 2010 [Dec 201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異名】
正名:Sanguisorba officinalis var. longifolia (Bertol.) Yü et Li 장엽지유(長葉地榆)
장엽지유(長葉地榆)
Sanguisorba officinalis var. longifolia (Bertol.) Yü et Li
이명(異名)
Sanguisorba formosana Hayata
Sanguisorba officinalis subsp. longifolia (Bertol.) K. M. Purohit et Panigrahi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Sanguisorba rectispicata Kitag.
Sanguisorba officinalis var. meridionalis Liou et Li
Poterium longifolium (Bertol.) Hook. f.
Sanguisorba betoloniana Liou & Li
基生葉小葉帶狀長圓形至帶狀披針形,基部微心形,圓形至寬楔形,莖生葉較多,與基生葉相似,但更長而狹窄;花穗長圓柱形,長2—6厘米。直徑通常0.5—1厘米,雄蕊與萼片近等長。花果期8—11月。
Sanguisorba officinalis L. var. longifolia ( Bert. ) T.T.Yu & C.L.Li
Acta Phytotax. Sin. 17(1): 9 (1979).
17(1): 9 (1979) 0
Original Data:
Notes: S. longifolia
^^^^^^^^^^^^^^^^^^^^^^^^^^^^^^^^^^^^^^^^^^^^^^^^^^^^^^^^^^^^^^^^^^^^^^^^^
地榆
味苦微寒。
主婦人乳痓痛,七傷帶下病,止痛。除惡肉,止汗,療金創
(《禦覽》引雲:主消酒,又雲明目,《大觀本草》,消酒作黑字,而無明目)。生山穀。
《名醫》曰:生桐柏及冤句,二月八月,採根,暴幹。
案《廣雅》雲:菗蒢,地榆也。陶宏景雲:葉似榆而長,初生布地,而花子紫黑色如豉,故中玉豉。
[本經/中經]
^^^^^^^^^^^^^^^^^^^^^^^^^^^^^^^^^^^^^^^^^^^^^^^^^^^^^^^^^^^^^^^^^^^^^^^^^
地楡
지유(地楡)
외鏁ꏉ불휘性微寒(一雲平)味苦甘酸無毒
성(性)은 미한(微寒)하고 <일운(一雲) 평(平)> 미(味)는 고(苦), 감(甘)하며 무독(無毒)하다.
主婦人七傷帶下病及産後瘀痛止血痢排膿療金瘡
부인(婦人)의 칠상(七傷), 대하병(帶下病) 및 산후(産後)의 어통(瘀痛)에 주효(主效)하다. 혈리(血痢)를 지(止)하고, 배농(排膿)하며, 금창(金瘡)을 치료(治療)한다.
生山野葉似楡而長花子紫黑色如栥故一名玉栥根外黑裏紅二月八月採根暴乾《本草》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잎은 느릅나무(楡)와 비슷하고 길며 꽃과 씨는 검은 자줏빛이고 약전국( )과 비슷하기 때문에 일명 옥시(玉 )라고도 한다. 뿌리의 겉은 검고 속은 붉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
性沈寒入下焦治熱血痢去下焦之血腸風及瀉痢下血須用之陽中微陰治下部血《湯液》
성(性)은 침(沈), 한(寒)하여 하초(下焦)에 들어간다. 열혈리(熱血痢)를 치(治)하고, 하초(下焦)의 혈장풍(血腸風) 및 사리(瀉痢), 하혈(下血)에는 반드시 용(用)한다. 양중(陽中)의 미음(微陰)으로 하초(下焦)의 혈행(血行)을 치(治)한다.[탕액].
@地楡
지유(地楡)
主帶下十二病一曰多赤二曰多白三曰月水不通四曰陰蝕五曰子藏堅六曰子門僻七曰合陰陽患痛八曰小腹寒痛九曰子門閉十曰子宮冷十一曰夢與鬼交十二曰五藏不定又治崩漏不止煎服末服拄佳《本草》
대하(帶下)의 십이병(十二病)에 주효(主效)하다. 첫째 적(赤)이 다(多)한 것, 둘째 백다(白多)한 것, 셋째 월경불통(月經不通), 넷째, 음식(陰蝕), 다섯째 자장(子臟)이 견(堅)한 것, 일곱째, 합음양환통(合陰陽患痛), 여덟째 소복(小腹)의 한통(寒痛) 아홉째 자문(子門)의 폐(閉), 열 번째, 자궁(子宮)의 냉(冷), 열 한번째 몽매귀교(夢寐鬼交), 열 두번째 오장(五臟)의 부정(不定) 등이다. 또한 붕루(崩漏)가 멎지 않는 것에는 전복(煎服), 말복(末服) 하면 좋다.
赤白帶骨立者地楡一斤犫水熬成膏空心服二合日二《良方》
적백대(赤白帶) 하면서 뼈가 앙상할 정도로 여윈 사람에는 지유(地楡) 일근(一斤)을 물로 오고(熬膏)하여 이합(二合)씩 하루 두 번 공심(空心)에 복용(服用)한다. [양방].
@地楡
지유(地楡)
治痢性沈寒入下焦赤白痢及膿血痢水煎空心服三合如水瀉及白痢不可用《本草》
치리(治痢)한다. 성(性)이 침(沈), 한(寒)하여 하초(下焦)에 들어간다. 적백리(赤白痢) 및 농혈리(膿血痢)에는 수전(水煎)하여 공심(空心)에 삼합(三合)을 복용(服用)한다. 수사(水瀉) 및 백리(白痢)에는 사용하지 않는다.[본초].
[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중경(中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羊)[본경/동의보감] (1) | 2024.03.16 |
---|---|
녹용]신농본초경/동의보감] (4) | 2024.03.07 |
모단피(牡丹皮)[본경/동의보감]모란 (1) | 2024.02.27 |
적작(赤芍)[본경/동의보감] (1) | 2024.02.27 |
진교(秦艽)[본경/동의보감] (1)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