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유(地楡)[본경/동의보감]

2024. 3. 6. 20:59[신농본초경]/중경(中經)

지유(地楡)[본경/동의보감]

 

 

 

 

오이풀/지유(地楡)

 

 

오이풀

 

이명:[지우초] [수박풀] [외순나물] [지우]

학명:Sanguisorba officinalis L.

분류군:Rosaceae(장미과)

일본명:ワレモコウ(Waremoko)

영명:Great Burnet, Burnet Bloodwor

漢名:地楡(땅 지, 느릅나무 유)

 

잎은 엽병이 길며 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5~11개로 긴타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원두이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2.5-5cm, 1-2.5(3.5)cm로서 삼각형의 톱니가 있고 털은 없으며, 소엽병은 길이 6~30mm이고 밑 부분에 흔히 소엽편이 있다. 근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작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서 사각형이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꽃은 7~9월에 피며 혈적색이고 수상화서는 긴 대가 있으며 길이1~2.5cm, 지름 6~8mm로서 곧게 서고, 포는 넓은 타원형이며 소포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넓은 타원형이고 수술도 4개로서 꽃받침보다 짧으며 꽃밥은 흑갈색이다. 심피는 1개이다.

 

줄기

높이 30-15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근경은 옆으로 비스듬히 방추형으로 자라고, 다시 방추형의 뿌리에 잔뿌리가 내린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일본, 유럽, 중국 만주,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에 자생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

크기

높이 30~150cm

 

 

 

 

생육 환경

산야에서 흔히 자라고, 부식질이 있는 점질양토나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습윤

/번식방법

분주 또는 실생으로 행한다.

재배특성

충분히 관수 관리한다. 주로 냇가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생한다. 건조에 약하며, 보통으로 자란다.

 

이용방안

 

꽃과 열매는 꽃꽂이 소재로 이용되며, 정원이나 공원 도로변 조경에 이용해도 좋다.

오이풀, 산오이풀, 긴오이풀, 큰오이풀, 가는오이풀, 애기오이풀의 () 根莖(근경)地楡(지유)라 하며 약용한다.

 

봄 발아 전 또는 가을에 잎과 줄기가 마른 다음에 뿌리는 캐서 가는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뿌리에는 tannin, triterpenoid() 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분리된 saponin

는 지유 glycoside그 가수분해 생성물은 ponolid acid, arabinoseglucose, 지유 glycoside그 가수분해 생성물은 pomolic acid arabinose, 지유 glycoside B는 초보

鑑定(감정)에서 glucuron()이 결합한 triterpenoid() saponin이라고 말한다. 莖葉

(경엽)에는 qurcetin kaempferol의 배당체와 ursol() triterpenoid가 함유되어 있

고 잎에는 비타민C, 꽃에는chrysanthemin, cyanin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凉血(양혈), 止血(지혈),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 혈), 鼻出血(비출혈), 血痢(혈리), 崩漏(붕루), 腸風(장풍), 痔漏(치루), 癰 腫(옹종), 습진, 金瘡(금창), 화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 다.

<외용> 짓찧어서 즙을 내어 바르거나 粉末(분말)을 만들어서 바른다.

 

유사종

 

가는오이풀(S. tenuifolia var. alba Trautv. et Meyer)

자주가는오이풀(S. tenuifolia var. purpurea Trautv. et Meyer)

큰오이풀(S. stipulata Rafin.)은 백두산 자생종이다.

산오이풀(S. hakusanensis makino)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긴오이풀(S. longifolia Bertol.)은 속리산 이북에서 자란다.

 

 

 

 

학명 Sanguisorba officinalis L.

Sp. pl. 116 (1753)

 

1. Sanguisorba carnea Fisch.

Enum. Hort. Berol. altera I. 144 (1822)

 

국명 오이풀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수박풀

2. 외순나물

3. 지우

4. 지우초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오이풀

외국명 영문명

Great Burnet, Burnet Bloodwort

일본명

ワレモコウ

 

 

 

Sanguisorba officinalis L.

Sp. Pl. 1: 116. 1753 [1 May 1753]

1: 116 1753

Links:

hybridparent of:Rosaceae Sanguisorba × pseudo-officinalis Naruh. J. Phytogeogr. Taxon. 58(1): 16 (-17; figs.). 2010 [Dec 201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지유(地榆)

 

Sanguisorba officinalis Linn.

 

이명(異名)

 

Poterium officinale (L.) A. Gray

Sanguisorba polygama F. Nyl.

Sanguisorba officinalis var. longa Kitag.

Sanguisorba officinalis var. montana (Jord.) Focke

Sanguisorba officinalis var. polygama (F. Nyl.) Serg.

Sanguisorba montana Jord.

Sanguisorba officinalis var. microcephala Kitag.

Sanguisorba officinalis f. microcephala (Kitag.) Kitagawa

Sanguisorba officinalis var. cordifolia Liou et Li

Pimpinella officinalis (L.) Lam.

Poterium boreale Salisb., nom. illegit.

Sanguisorba altissima Moench, nom. illegit.

Sanguisorba andersonii G.Don

Sanguisorba auriculata Scop.

Sanguisorba baicalensis Popl.

Sanguisorba bracteosa Besser ex Eichw.

Sanguisorba cernua Besser

Sanguisorba cordifolia Opiz

Sanguisorba cylindrica Charb.

Sanguisorba hispanica Mill.

Sanguisorba komaroviana Nedol. S

anguisorba konradii Opiz

Sanguisorba major Bubani, nom. inval.

Sanguisorba menziesii Rydb.

Sanguisorba microcephala C.Presl

Sanguisorba nudicaulis Raf.

Sanguisorba praecox Besser ex Rchb., nom. illegit.

Sanguisorba rectispica Kitag.

Sanguisorba rubra Schrank

Sanguisorba sabauda Mill.

Sanguisorba serotina Jord.

Sanguisorba serpentini H.J.Coste & Puech

Sanguisorba taurica Juz.

Sanguisorba officinalis subsp. officinalis

Sanguisorba officinalis var. nana Rouy

Sanguisorba officinalis subsp. microcephala (C.Presl) Calder & R.L.Taylor Sanguisorba officinalis subsp. montana (Jord. ex Boreau) Gremli

Sanguisorba officinalis var. altissima Moench ex Steud., nom. illegit.

Sanguisorba officinalis f. pilosella (Ohwi) H.Hara

Sanguisorba officinalis var. hispanica (Mill.) Willd.

Sanguisorba officinalis var. pilosella Ohwi

Sanguisorba officinalis var. sabauda (Mill.) Steud.

Sanguisorba officinalis var. serotina (Jord.) A.Braun & Bouch‚

Sanguisorba officinalis var. serpentini (H.J.Coste & Puech) Rouy & E.G.Camus

 

多年生草本1-2根粗壯莖直立有稜無毛單數羽狀複葉小葉2-57矩圓狀卵形至長橢圓形2-6厘米08-3厘米先端急尖或鈍基部近心形或近截形邊緣有圓而銳的鋸齒無毛有小托葉托葉包莖近鑲刀狀有齒花小密集成頂生圓柱形的穗狀花序有小苞片萼裂片4,花瓣狀紫紅色基部具毛無花瓣雄蕊4花柱比雄蕊短瘦果褐色有細毛有縱稜包藏在宿萼內

 

分布在華北華中華南西南生於山坡草地

 

種子含油約30%根爲收斂止血藥能清熱涼血外敷治燙傷

 

&&&&&&&&&&&&&&&&&&&&&&&&&&&&&&&&&&&&&&&&&&&&&&&&&&

 

 

긴오이풀/지유(地榆)

 

 

 

긴오이풀

[이삭지우초] [긴잎오이풀] [이삭오이풀]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Rosaceae(장미과)

ホナガワレモコウ

 

 

근출엽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엽병이 짧아지며 기수 1회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2-4쌍이며 선상 긴 타원형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둔두(鈍頭)에 심저(心底)거나 평저(平底)이고 소엽병 기부에 잎같은 탁엽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열매

수과는 난원형으로 지름 1mm가량으로 8-9월에 익는다.

화서는 8-9월에 가지 끝에 달리고 긴 원주형이며 꽃은 수상(穗狀)으로 다닥다닥 달리고 홍자색이며 위에서부터 피기 시작한다. 화서는 길이 3-5cm, 지름 6-8mm이다. 포는 피침형이고 꽃받침은 4개로 갈라져서 뒤로 젖혀지며 열편은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잎이 없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

근경은 굵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속리산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1m 정도로 자란다.

 

 

생육환경

산지에서 자란다.

 

수분

습윤

 

결실기

8,9

 

이용방안

오이풀, 산오이풀, 긴오이풀, 큰오이풀, 가는오이풀, 애기오이풀의 根莖地楡(지유)라 하며 약용한다.

 

봄 발아 전 또는 가을에 잎과 줄기가 마른 다음에 뿌리는 캐서 가는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뿌리에는 tannin, triterpenoid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분리된 saponin에는 지

glycoside그 가수분해 생성물은 ponolid acid, arabinoseglucose, 지유 glycoside

그 가수분해 생성물은 pomolic acidarabinose, 지유 glycoside B는 초보적 鑑定(

)에서 glucuron이 결합한 triterpenoidsaponin이라고 말한다. 莖葉에는 qurcetin

kaempferol의 배당체와 ursoltriterpenoid가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비타민C, 꽃에

chrysanthemin, cyanin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凉血(양혈), 止血(지혈),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

), 血痢(혈리), 崩漏(붕루), 腸風(장풍), 痔漏(치루), 癰腫(옹종), 습진, 金瘡(금창), 화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즙을 내어 바르거나 粉末(분말)을 만들어서 바른다.

학명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Mem. Accad. Belogna. 12: 234 (1861)

 

1. Sanguisorba rectispica Kitag.

Bot. Mag. (Tokyo) 50 : 135 (193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긴오이풀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1. 긴잎오이풀

2. 이삭오이풀

3. 이삭지우초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긴잎오이풀

외국명 영문명

 

일본명

ホナガワレモコウ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Mem. Acad. Sc. Bologna xii. (1861) 234.

xii. (1861) 234 0

Links:

basionym of:Rosaceae Sanguisorba officinalis L. subsp. longifolia (Bertol.) K.M.Purohit & Panigrahi Blumea 30(1): 57 (1984):.

 

basionym of:Rosaceae Sanguisorba officinalis L. subsp. longifolia (Bertol.) K.M.Purohit & Panigrahi Bull. Bot. Soc. Bengal 36(1-2): 34. 1986 [1982 publ. 1986]

 

hybridparent of:Rosaceae Sanguisorba × takahashihideoi Naruh. J. Phytogeogr. Taxon. 58(1): 17 (-19; figs.). 2010 [Dec 201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異名

 

正名Sanguisorba officinalis var. longifolia (Bertol.) Yü et Li 장엽지유(長葉地榆)

 

 

장엽지유(長葉地榆)

 

Sanguisorba officinalis var. longifolia (Bertol.) Yü et Li

 

이명(異名)

 

Sanguisorba formosana Hayata

Sanguisorba officinalis subsp. longifolia (Bertol.) K. M. Purohit et Panigrahi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Sanguisorba rectispicata Kitag.

Sanguisorba officinalis var. meridionalis Liou et Li

Poterium longifolium (Bertol.) Hook. f.

Sanguisorba betoloniana Liou & Li

 

 

基生葉小葉帶狀長圓形至帶狀披針形基部微心形圓形至寬楔形莖生葉較多與基生葉相似但更長而狹窄花穗長圓柱形26厘米直徑通常0.51厘米雄蕊與萼片近等長花果期811

 

 

Sanguisorba officinalis L. var. longifolia ( Bert. ) T.T.Yu & C.L.Li

Acta Phytotax. Sin. 17(1): 9 (1979).

17(1): 9 (1979) 0

Original Data:

Notes: S. longifolia

 

 

 

^^^^^^^^^^^^^^^^^^^^^^^^^^^^^^^^^^^^^^^^^^^^^^^^^^^^^^^^^^^^^^^^^^^^^^^^^

地榆

 

味苦微寒

 

主婦人乳痓痛七傷帶下病止痛除惡肉止汗療金創

 

(《禦覽引雲主消酒又雲明目,《大觀本草》,消酒作黑字而無明目)。生山穀

名醫生桐柏及冤句二月八月採根暴幹

廣雅菗蒢地榆也陶宏景雲葉似榆而長初生布地而花子紫黑色如豉故中玉豉

 

 

[本經/中經]

 

^^^^^^^^^^^^^^^^^^^^^^^^^^^^^^^^^^^^^^^^^^^^^^^^^^^^^^^^^^^^^^^^^^^^^^^^^

 

 

地楡

 

지유(地楡)

 

 

불휘性微寒一雲平味苦甘酸無毒

 

()은 미한(微寒)하고 <일운(一雲) ()> ()는 고(), ()하며 무독(無毒)하다.

 

主婦人七傷帶下病及産後瘀痛止血痢排膿療金瘡

 

부인(婦人)의 칠상(七傷), 대하병(帶下病) 및 산후(産後)의 어통(瘀痛)에 주효(主效)하다. 혈리(血痢)를 지()하고, 배농(排膿)하며, 금창(金瘡)을 치료(治療)한다.

 


生山野葉似楡而長花子紫黑色如栥故一名玉栥根外黑裏紅二月八月採根暴乾本草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잎은 느릅나무()와 비슷하고 길며 꽃과 씨는 검은 자줏빛이고 약전국( )과 비슷하기 때문에 일명 옥시()라고도 한다. 뿌리의 겉은 검고 속은 붉다. 음력 2,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

 


性沈寒入下焦治熱血痢去下焦之血腸風及瀉痢下血須用之陽中微陰治下部血湯液

 

()은 침(), ()하여 하초(下焦)에 들어간다. 열혈리(熱血痢)를 치()하고, 하초(下焦)의 혈장풍(血腸風) 및 사리(瀉痢), 하혈(下血)에는 반드시 용()한다. 양중(陽中)의 미음(微陰)으로 하초(下焦)의 혈행(血行)을 치()한다.[탕액].

 

 

 

@地楡

 

지유(地楡)

 

 

主帶下十二病一曰多赤二曰多白三曰月水不通四曰陰蝕五曰子藏堅六曰子門僻七曰合陰陽患痛八曰小腹寒痛九曰子門閉十曰子宮冷十一曰夢與鬼交十二曰五藏不定又治崩漏不止煎服末服拄佳本草

 

대하(帶下)의 십이병(十二病)에 주효(主效)하다. 첫째 적()이 다()한 것, 둘째 백다(白多)한 것, 셋째 월경불통(月經不通), 넷째, 음식(陰蝕), 다섯째 자장(子臟)이 견()한 것, 일곱째, 합음양환통(合陰陽患痛), 여덟째 소복(小腹)의 한통(寒痛) 아홉째 자문(子門)의 폐(), 열 번째, 자궁(子宮)의 냉(), 열 한번째 몽매귀교(夢寐鬼交), 열 두번째 오장(五臟)의 부정(不定) 등이다. 또한 붕루(崩漏)가 멎지 않는 것에는 전복(煎服), 말복(末服) 하면 좋다.

 


赤白帶骨立者地楡一斤犫水熬成膏空心服二合日二良方

 

적백대(赤白帶) 하면서 뼈가 앙상할 정도로 여윈 사람에는 지유(地楡) 일근(一斤)을 물로 오고(熬膏)하여 이합(二合)씩 하루 두 번 공심(空心)에 복용(服用)한다. [양방].

 

@地楡

 

지유(地楡)

 

 

治痢性沈寒入下焦赤白痢及膿血痢水煎空心服三合如水瀉及白痢不可用本草

 

 

치리(治痢)한다. ()이 침(), ()하여 하초(下焦)에 들어간다. 적백리(赤白痢) 및 농혈리(膿血痢)에는 수전(水煎)하여 공심(空心)에 삼합(三合)을 복용(服用)한다. 수사(水瀉) 및 백리(白痢)에는 사용하지 않는다.[본초].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