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1. 12. 01:23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괴실(槐實)[본초강목]
^^^^^^^^^^^^^^^^^^^^^^^^^^^^^^^^^^^^^^^^^^^^^^^^^^^^^^^^^^^^^^^^^^^^^^^
槐
(《本經》上品)
【校正】
並入《嘉 》槐花、槐膠。
【釋名】
櫰。
時珍曰︰按︰《周禮》外朝之法,面三槐,三公位焉。吳澄注雲︰槐之言懷也,懷來人於此也。
周禮(주례)의 外朝法(외조법)에서는 “三槐(삼괴)에 面(면)하고, 三公(삼공)은 여기에 자리 한다.”라고 하였으며, 吳澄(오징)의 註(주)에는 “槐(괴)의 뜻은 懷(회)로서 사람을 이에 따라오게 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王安石釋雲︰槐華黃,中懷其美,故三公位之。《春秋元命包》雲︰槐之言歸也。古者樹槐,聽訟其下,使情歸實也。
王安石(왕안석)의 釋(석)에서는 “槐(괴)는 黃中(황중)에 그 美(미)를 간직하고 있다. 그래서 三公(삼공)은 여기에 자리한다.”라고 하였다. 春秋(춘추)의 元命包(원명포)에는 “槐(괴)의 意味(의미)는 歸(귀)로서 古代(고대)에는 槐(괴)를 심고 그 아래에서 訟事(송사)를 聽取(청취)하고 情(정)으로써 歸實(귀실)하게 하였다.”고 하였다.
【集解】
《別錄》曰︰槐實生河南平澤。可作神燭。
頌曰︰今處處有之。其木有極高碩者。按︰《爾雅》槐有數種︰葉大而黑者名 槐,晝合夜開者名守宮槐,葉細而青綠者但謂之槐,其功用不言有別。四月、五月開黃花,六月、七月結實。七月七日采嫩實,搗汁作煎。十月採老實入藥。皮、根采無時。醫家用之最多。
時珍曰︰槐之生也,季春五日而兔目,十日而鼠耳,更旬而始規,二旬而葉成。初生嫩炸熟,水淘過食,亦可作飲代茶。或采槐子種畦中,采苗食之亦良。其木材堅重,有青黃白黑色。其花未開時,狀如米粒,炒過煎水染黃甚鮮。其實作莢連珠,中有黑子,以子連多為好。《周禮》︰秋取槐、檀之火。《淮南子》︰老槐生火。《天玄主物簿》雲︰老槐生丹。槐之神異如此。
槐實
【修治】
雷斅曰︰凡采得,去單子並五子者,只取兩子、三子者,以銅錘捶破,用烏牛乳浸一宿,蒸過用。
대개 採取(채취)하면 單子(단자) 및 五子(오자)인 것을 除去(제거)한다. 다만 兩子(양자), 三子(삼자)인 것을 取(취)하여 銅錘(동추)로 捶破(추파)하고, 烏牛乳(오우유)에다 하룻밤 浸(침)한 다음 蒸用(증용)한다.
【氣味】
苦,寒,無毒。
《別錄》曰︰酸、鹹。之才曰︰景天為之使。
【主治】
五內邪氣熱,止涎唾,補絕傷,火瘡,婦人乳瘕,子藏急痛(《本經》)。
五內(오내)의 邪氣熱(사기열), 涎唾(연타)를 멎게 하고, 絶傷(절상)을 補(보)한다. 火瘡(화창), 婦人(부인)의 乳瘕(유가), 子臟(자장)의 急痛(급통)
久服,明目益氣,頭不白,延年。治五痔瘡 ,以七月七日取之,搗汁銅器盛之,日煎令可,丸如鼠屎,納竅中,日三易乃愈。又墮胎(《別錄》)。
久服(구복)하면 明目益氣(명목익기)하고, 毛髮(모발)을 白色(백색)이 되지 않게 하며, 天壽(천수)를 누린다. 五痔(오치), 瘡瘻(창루)를 治(치)하려면 七月(칠월) 七日(칠일)에 採取(채취)하여 찧어서 銅器(동기)에 담아 每日(매일) 煎(전)하여 丸(환)을 만들 수 있을 때까지를 限度(한도)로 하고, 鼠屎(서시) 정도를 竅中(규중)에 넣는다. 一日(일일) 三回(삼회) 바꾸면 癒(유)한다. 또한 墮胎(타태)한다.
治大熱難產(甄權)。
大熱(대열), 難産(난산)을 治(치)한다.
殺蟲去風。合房陰乾煮飲,明目,除熱淚,頭腦心胸間熱風煩悶,風眩欲倒,心頭吐涎如醉, 如舡車上者(藏器)。
殺蟲去風(살충거풍)한다. 合房陰乾(합방음건)하여 煮飮(자음)하면 明目(명목)한다. 熱淚(열루), 頭腦(두뇌), 心胸間(심흉간)의 熱風(열풍), 煩悶(번민), 風眩(풍현)으로 쓰러지려 하고, 心頭(심두)의 涎(연)을 吐(토)하며, 醉(취)한 것과 같고 旋車上(선차상)에 있는 것 같이 吐(토)할 듯한 것을 除去(제거)한다.
治丈夫、女人陰瘡濕癢。催生,吞七粒(大明)。
男子(남자), 婦人(부인)의 陰瘡(음창), 濕癢(습양)을 治(치)한다. 催生(최생)에는 七粒(칠립)을 삼킨다.
疏導風熱(宗奭 )。
風熱(풍열)을 疎導(소도)한다.
治口齒風,涼大腸,潤肝燥(李杲)。
口齒(구치)의 風(풍)을 治(치)하고, 大腸(대장)을 凉(양)하며, 肝燥(간조)를 潤(윤)한다.
【發明】
好古曰︰槐實純陰,肝經氣分藥也。治証與桃仁同。
槐實(괴실)은 純陰(순음)으로서 肝經(간경)의 氣分藥(기분약)이다. 治証(치증)은 桃仁(도인)과 같다.
弘景曰︰槐子,以十月巳日采相連多者,新盆盛,合泥百日,皮爛為水,核如大豆。服之令腦滿,發不白而長生。
塊子(괴자)를 十月(시월)의 巳日(사일)에 相連(상련)하여 많은 것을 採取(채취)하고, 新盆(신분)에 가득 담아. 泥(니)로 合(합)하고, 百日(백일)이 지나 爛皮(난피)하여 물이 되었을 때 大豆(대두) 정도의 核(핵)을 服用(복용)하면 腦(뇌)를 充滿(충만)하게 하고, 白髮(백발)이 되지 않으면서 長壽(장수)한다.
頌曰︰折嫩房角作湯代茗,主頭風,明目補腦。水吞黑子,以變白髮。扁鵲明目使發不落法︰十月上巳日,取槐子去皮,納新瓶中,封口二七日。初服一枚,再服二枚,日加一枚。 至十日,又從一枚起,終而複始。令人可夜讀書,延年益氣力,大良。
嫩房角(눈방각)을 꺽어 湯(탕)을 만들어 茗(명)을 代用(대용)하면 頭風(두풍)에 主效(주효)가 있으며 눈이 밝아지고 補腦(보뇌)한다. 黑子(흑자)를 물로 삼키면 白髮(백발)을 검게 한다. 扁鵲(편작)의 明目(명목)하고 落髮(낙발)을 막는 方法(방법): 十月(십월)의 上巳日(상사일)에 塊子(괴자)를 採取(채취)하여 去皮(거피)하고, 新甁中(신병중)에 넣어 二(이)~七日(칠일)간 입을 封(봉)하고, 初服(초복)에는 一個(일개), 再服(재복)에는 二個(이개), 날마다 一個(일개)씩 增量(증량)하여 十日(십일)에 達(달)하였을 때 다시 一個(일개)에서 始作(시작)하고 끝나면 다시 始作(시작)한다. 그러면 夜中(야중)에 讀書(독서)할 수 있게 되고, 天壽(천수)를 延長(연장)하며, 益氣力(익기력)하는 등 매우 좋다.
時珍曰︰按︰《太清草木方》雲︰槐者虛星之精。十月上巳日采子服之,去百病,長生通神。《梁書》言︰庾肩吾常服槐實,年七十餘,發鬢皆黑,目看細字,亦其驗也。古方以子入冬月牛膽中漬之,陰乾百日,每食後吞一枚。雲久服明目通神,白髮還黑。有痔及下血者,尤宜服之。
太清草木方(태청초목방)에서는 “槐(괴)는 虛星(허성)의 精(정)인 것이다. 十月(시월), 上巳日(상사일)에 子(자)를 採取(채취)하여 服用(복용)함녀 百病(백병)을 除去(제거)하고, 長生(장생)하여 通神(통신)한다.”라고 하였으며, 梁書(양서)에는 庾肩吾(유견오)는 恒常(항상) 槐實(괴실)을 먹었는데 七十餘歲(칠십여세)인데도 髮鬂(발빈)이 모두 黑色(흑색)이었으며, 細字(세자)를 볼 수 있었다.“고 한 것은 모두 그 效驗(효험)을 말 한 것이다. 古方(고방)에서는 冬期(동기)에 子(자)를 牛膽(우담)중중에 담그고, 百日間(백일간) 陰乾(음건)한 다음 每(매) 食後(식후)에 一個(일개)를 삼킨다고 하였는데 久服(구복)하면 明目通神(명목통신)하고, 白髮(백발)을 黑髮(흑발)로 돌아가게 한다. 痔(치)와 下血(하혈)있는 者(자)는 特(특)히 이것을 服用(복용)하는 것이 좋다.
【附方】
舊一,新四。
槐角丸︰治五種腸風瀉血。糞前有血名外痔,糞後有血名內痔,大腸不收名脫肛,穀道四面 肉如奶名舉痔,頭上有孔名 瘡,內有蟲名蟲痔,並皆治之。槐角(去梗,炒)一兩,地榆、當歸(酒焙)、防風、黃芩、枳殼(麩炒)各半兩,為末,酒糊丸梧桐子大。每服五十丸,米飲下。(《和劑局方》)。
五種(오종)의 腸風瀉血(장풍사혈)을 治(치)한다. 糞前(분전)에 血(혈)이 있는 것을 外痔(외치)라 하고, 糞後(분후)에 血(혈)이 있는 것을 內痔(내치), 大腸不收(대장불수)를 脫肛(탈항), 穀道(곡도)의 四面(사면)에 弩肉(노육)이 嬭(내)처럼 되는 것을 擧痔(거치), 頭上(두상)에 孔(공)이 있는 것을 瘻瘡(누창), 內(내)에 蟲(충)이 있는 것을 蟲痔(충치)라고 한다. 모두 治(치)할 수 있다. 槐角(괴각)을 去梗(거경)하고 炒(초)한 것 一兩(일량), 地楡(지유), 當歸(당귀)를 酒焙(주배)하고 防風(방풍), 黃芩(황금), 枳殼(지각)을 麩炒(부초)하여 각 半兩(반량)을 作末(작말)하고, 酒糊(주호)로 梧子(오자) 크기의 丸(환)을 만들어 五十丸(오십환)씩을 米飮(미음)으로 服用(복용)한다.
大腸脫肛︰槐角、槐花各等分,炒為末。用羊血蘸藥,炙熟食之,以酒送下。豬腰子(去皮)蘸炙亦可。(《百一選方》)
內痔外痔︰許仁則方︰用槐角子一鬥,搗汁曬稠,取地膽為末,同煎,丸梧桐子大。每飲服十丸。兼作挺子,納下部。或以苦參末代地膽亦可。(《外台秘要》)
目熱昏暗︰槐子、黃連(去須)各二兩,為末,蜜丸梧桐子大。每漿水下二十丸,日二服。(《聖濟總錄》)。
槐花
【修治】
宗奭曰︰未開時采收,陳久者良,入藥炒用。染家以水煮一沸出之,其稠滓為餅,染色更鮮也。
未開時(미개시)에 採收(채수)한 陳久(진구)한 것이 좋다. 藥(약)에는 炒用(초용)한다. 染色用(염색용)에는 水煮(수자)하여 一沸(일비)한 다음 꺼내어, 그 稠滓(조재)를 餠(병)으로 만들면 染色(염색)이 더욱 鮮明(선명)해진다.
【氣味】
苦,平,無毒。
元素曰︰味厚氣薄,純陰也。
【主治】
五痔,心痛眼赤,殺腹臟蟲,及皮膚風熱,腸風瀉血,赤白痢,並炒研服(大明)
五痔(오치), 心痛(심통), 眼赤(안적), 腹臟(복장)의 蟲(충)을 殺(살)하고, 또한 皮膚風熱(피부풍열), 腸風瀉血(장풍사혈), 赤白痢(적백리)에는 모두 炒硏(초연)하여 服用(복용)한다.
涼大腸(元素)。
大腸(대장)을 凉(양)하게 한다.
炒香頻嚼,治失音及喉痺,又療吐血衄血,崩中漏下
香炒(향초)하여 頻嚼(빈작)하면 失音(실음) 및 喉痺(후비)를 治(치)한다. 또한 吐血(토혈), 衄(육), 崩中漏下(붕중누하)를 療(요)한다.
【發明】
時珍曰︰槐花味苦、色黃、氣涼,陽明、厥陰血分藥也。故所主之病,多屬二經。
槐花(괴화)는 味苦(미고), 黃色(황색), 氣涼(기량)하여 陽明(양명), 厥陰(궐음)의 血分藥(혈분약)이다. 따라서 主治(주치)하는 病(병)은 대개 그 二經(이경)에 屬(속)한다.
【附方】
舊一,新二十。
衄血不止︰槐花、烏賊魚骨等分,半生半炒為末,吹之。(《普濟方》)
舌衄出血︰槐花末,敷之即止。(《朱氏集驗》)。
吐血不止︰槐花燒存性,入麝香少許,研勻,糯米飲下三錢。(《普濟方》)。
咯血唾血︰槐花炒研。每服三錢,糯米飲下,仰臥一時取效。(朱氏小便尿血︰槐花(炒)、鬱金(煨)各一兩,為末。每服二錢,淡豉湯下,立效。(《篋中秘寶方》)。
大腸下血︰《經驗方》︰用槐花、荊芥穗等分,為末。酒服一錢匕。《集簡方》︰用柏葉三錢,槐花六錢,煎湯日服暴熱下血︰生豬臟一條,洗淨控乾,以炒槐花末填滿紮定,米醋沙鍋內煮爛,擂丸彈子大,曬乾。每服一丸,空心酒毒下血︰槐花(半生半炒)一兩,山梔子(焙)五錢,為末。 新汲水服二服。(《經驗良方》)
臟毒下血︰新槐花炒研,酒服三錢,日三服。或用槐白皮煎湯服。(《普濟方》)。
婦人漏血不止︰槐花燒存性,研。每服二、三錢,食前溫酒下。(《聖惠方》)。
血崩不止︰槐花三兩,黃芩二兩,為末。每服半兩,酒一碗,銅秤錘一枚,桑柴火燒紅,浸入酒內,調服。忌口。(中風失音︰炒槐花,三更後仰臥嚼咽。(危氏《得效方》)。
癰疽發背︰凡人中熱毒,眼花頭暈,口乾舌苦,心驚背熱,四肢麻木,覺有紅暈在背後者。即取槐花子一大抄,鐵杓炒褐色,以好酒一碗汗之。乘熱飲酒,一汗即愈。如未退,再炒一服,極效。縱成膿者,亦無不愈。彭幸庵雲︰此方三十年屢效者。(劉松石《保壽堂方》)
楊梅毒瘡︰乃陽明積熱所生。槐花四兩略炒,入酒二盞,煎十餘沸,熱服。胃虛寒者勿用。(《集簡方》)
外痔長寸︰疔瘡腫毒︰一切癰疽發背,不問已成未成,但 痛者皆治。槐花(微炒)、核桃仁二兩,無灰酒一鐘,煎十餘沸,熱服。未成者二、三服,已成者一、二服見效。(《醫方摘要》)
發背散血︰槐花、綠豆粉各一升,同炒作象牙色,研末。用細茶一兩,煎一碗,露一夜,調末三錢敷之,留頭。勿犯婦女手。(《攝生眾妙方》)
下血血崩︰槐花一兩,棕灰五錢,鹽一錢,水三鐘,煎減半服。(《摘玄方》)
白帶不止︰槐花(炒)、牡蠣(煆)等分。為末。每酒服三錢,取效。(同上)
葉
【氣味】
苦,平,無毒。
【主治】
煎湯,治小兒驚癇壯熱,疥癬及疔腫。皮、莖同用(大明)。
煎湯(전탕)은 小兒(소아)의 徑間(경간), 壯熱(장열), 疥癬(개선) 및 疔腫(정종)을 治(치)한다.
皮(피), 莖(경)을 함께 使用(사용)한다.
邪氣產難絕傷,及癮疹牙齒諸風,采嫩葉食(孟
邪氣難産(사기난산), 絶傷(절상), 癮疹(은진), 牙齒(아치)의 諸風(제풍)에는 嫩葉(눈엽)을 採食(채식)한다.
【附方】
舊二,新一。
霍亂煩悶︰槐葉、桑葉各一錢,炙甘草三分,水煎服之。(《聖惠方》)。
腸風痔疾︰用槐葉一斤,蒸熟曬乾研末,煎飲代茶。久服明目。(《食醫心鏡》)。
鼻氣窒塞︰以水五升煮槐葉,取三升,下蔥、豉調和再煎,飲。(《千金方》)。
枝
【氣味】
同葉。
【主治】
洗瘡及陰囊下濕癢。八月斷大枝,候生嫩 ,煮汁釀酒,療大風痿痺甚效(《別錄》)。
瘡(창) 및 陰囊(음낭) 下(하)의 濕癢(습양)을 씻는다.k 八月(팔월) 大枝(대지)를 잘라, 嫩檗(눈벽)이 나오는 것을 기다려 煮汁(자즙)을 만들어 술을 빚고 大風痿痺(대풍위비)를 療(요)하면 甚效(심효)하다.
炮熱,熨蠍毒(恭)。
炮熱(포열)하여 蠍毒(갈독)을 熨(위)한다.
青枝燒瀝,塗癬。 黑煆,揩牙去蟲。煎湯,洗痔核(頌)。
靑枝(청지)를 燒瀝(소력)하여 癬(선)에 바른다. 黑煆(흑하)하여 揩牙(개아)하면 蟲(충)을 除去(제거)한다. 煎湯(전탕)하여 痔核(치핵)을 씻는다.
燒灰,沐頭長發(藏器)。
燒灰(소회)로 沐頭(목두)하면 長髮(장발)이 된다.
治赤目、崩漏(時珍)。
赤目(적목), 崩漏(붕루)를 治(치)한다.
【發明】
頌曰︰劉禹錫《傳信方》著硤州王及郎中槐湯灸痔法甚詳。以槐枝濃煎湯先洗痔,便以艾灸其上七壯,以知為度。
劉禹錫(유우석)의 傳信方(전신방)에는 硤州(협주)의 王及郎中(왕급랑중)의 槐湯灸痔法(괴탕구치법)은 매우 詳細(상세)하다. 槐枝(괴지)의 濃煎湯(농전탕)으로 먼저 洗痔(세치)한 다음, 그 艾(애)로 그 위에 七壯(칠장)을 灸(구)한다.
王及素有痔疾,充西川安撫使判官,乘騾入駱穀,其痔大作,狀如胡瓜,熱氣如火,至驛僵仆。
感知(감지)가 있음을 限度(한도)로 한다. 王及(왕급)은 元來(원래) 痔疾(치질)이 있었는데, 西川(서천)의 安撫使判官(안무사판관)으로 任命(임명)되었을 때 騾(나)를 타고 駱穀(낙곡)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그 痔(치)가 크게 發作(발작)하였고, 胡瓜(호과)와 같은 狀態(상태)가 되었으며, 熱氣(열기)가 불과 같았는데,驛(역)에 도착하자 쓰러지고 말았다.
郵吏用此法灸至三、五壯,忽覺熱氣一道入腸中,因大轉瀉,先血後穢,其痛甚楚。瀉後遂失胡瓜所在,登騾而馳矣。
그때 郵吏(우리)가 이 方法(방법)으로 灸(구)하자 三(삼)~五壯(오장)에 이르러 忽然(홀연)히 一道(일도)의 熱氣(열기)가 腸中(장중)으로 들어오는 것을 느꼈고, 크게 전사(轉瀉)하였기 때문에 血(혈)이 먼저, 穢(예)가 後(후)에 나왔고, 그 痛楚(통초)가 매우 甚(심)했으나 瀉(사)한 後(후)에는 마침내 胡瓜(호과)와 같은 것의 所在(소재)를 알수 없게 되었으며, 騾(나)를 타고 달려가 赴任(부임)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附方】
舊五,新一。
風熱牙痛︰槐枝燒熱烙之。(《聖惠方》)。
胎赤風眼︰槐木枝如馬鞭大,長二尺,作二段齊頭。麻油一匙,置銅缽中。晨使童子一人,以其木研之,至暝乃止。令仰臥,以塗目,日三度瘥。
九種心痛︰當太歲上取新生槐枝一握,去兩頭,用水三大升,煎取一升,頓服。(《千金》)。
崩中赤白,不問遠近︰取槐枝燒灰,食前酒下方寸匕,日二服。(《梅師方》)。
胎動欲產,日月未足者︰取槐樹東引枝,令孕婦手把之,即易生。(《子母秘錄》)。
陰瘡濕癢︰槐樹北面不見日枝,煎水洗三、五遍。冷再暖之。(孟詵《必效方》)。
木皮、根白皮
【氣味】
苦,平,無毒。
【主治】
爛瘡,喉痺寒熱(《別錄》)。
爛瘡(난창), 喉痺(후비), 寒熱(한열)
煮汁,淋陰囊墜腫氣痛。煮漿水,漱口齒風疳口血(甄權)。
煮汁(자즙)하여 陰囊墜腫(음낭추종)으로 氣痛(기통)하는 경우에 淋(임)한다. 끓인 漿水(장수)로 口齒(구치)의 風疳口血(풍감구혈)을 漱(수)한다.
治中風皮膚不仁 浴男子陰疝卵腫,浸洗五痔,一切惡瘡,婦人產門癢痛,乃湯火瘡。煎膏,止痛長肉,消癰腫。(大明)。
中風(중풍)의 皮膚不仁(피부불인)을 治(치)g나다. 男子(남자)의 陰疝卵腫(음산난종)을 浴(욕)하고, 五痔(오치), 一切(일체)의 惡瘡(악창), 婦人(부인)의 產門癢痛(산문양통) 및 燙火傷(탕화상)을 浸洗(침세)한다. 煎膏(전고)는 止痛長肉(지통장육)하며, 癰腫(옹종)을 解消(해소)한다.
煮汁服,治下血。(蘇頌)。
煮汁(자즙)을 服用(복용)함녀 下血(하혈)을 治(치)한다.
【附方】
舊四,新二。
中風身直,不得屈伸反複者︰取槐皮黃白者切之,以酒或水六升,煮取二升,稍稍服之。(《肘後方》)
破傷中風︰避陰槐枝上皮,旋刻一片,安傷處,用艾灸皮上百壯。不痛者灸至痛,痛者灸至不痛,用手摩之。(《普濟》)
風蟲牙痛︰槐樹白皮一握切,以酪一升煮,去滓,入鹽少許,含漱。(《廣濟方》)
下膿血︰多取槐白皮濃煮汁,先熏後洗。良久欲大便,當有蟲出,不過三度即愈。仍以皮為末,綿裹納下部中。(《梅師方》)。
槐膠
【氣味】
苦,寒,無毒。
【主治】
一切風,化涎,肝臟風,筋脈抽掣,及急風口噤,或四肢不收頑痺,或毒風周身如蟲行,或破傷風,口眼偏斜,腰背強硬。任作湯、散、丸、煎,雜諸藥用之。亦可水煮和藥為丸(《嘉祐 》)。
一切(일체)의 風(풍), 化涎(화연)한다. 肝藏風(간장풍)을로 筋脈抽掣(근맥추체)하는 것 및 急風口噤(급풍구금), 또는 四肢不收(사지불수)한 것, 頑痺(완비) 또는 毒風(독풍)으로서 全身(전신)에 蟲(충)이 기어가는 것처럼 느끼는 것 또는 破傷風(파상풍)으로 口眼偏斜(구안편사)하고 腰背強硬(요배강경)한 것에는 任意(임의)로 湯(탕), 散(산), 丸(환), 煎(전)으로 하고 諸藥(제약)을 섞어 服用(복용)한다. 또한 水煮(수자)하고, 藥(약)을 調和(조화)하여 丸(환)을 만드는 것도 좋다.
煨熱,綿裹塞耳,治風熱聾閉。(時珍)。
煨熟(외숙)하여 솜에 싸서 귀를 막으면 風熱聾閉(풍열농폐)를 治(치)한다.
槐耳見菜部木耳。
[本草綱目]
槐耳
【釋名】
槐 (《唐本》)、槐菌(《唐本》)、槐雞(《蜀本》)、赤雞(《綱目》)、槐蛾。
恭曰︰此槐樹上菌也。當取堅如桑耳者。
權曰︰煮漿粥安槐木上,草覆之,即生蕈耳。
【氣味】
苦、辛,平,無毒。
【主治】
五痔脫肛,下血心痛,婦人陰中瘡痛(蘇恭)。
五痔脫肛(오치탈항), 下血(하혈), 心痛(심통) 婦人(부인)의 陰中瘡痛(음중창통)
治風破血,益力(甄權)。
治風破血(치풍파혈)하고 益力(익력)한다.
【附方】
舊三,新三。
腸痔下血︰槐樹上木耳,為末。飲服方寸匕,日三服。(《肘後方》)。
崩中下血,不問年月遠近︰用槐耳燒存性,為末。每服方寸匕,溫酒下。(《產寶》方)。
產後血疼,欲死者︰槐雞半兩為末,酒濃煎飲服,立愈。(《婦人良方》)。
蛔蟲心痛︰槐木耳燒存性,為末,水服棗許。若不止,飲熱水一升,蛔蟲立出。(張文仲《備急方》)。
月水不斷,勞損黃瘦,暫止複發,小勞輒劇者︰槐蛾(炒黃)、赤石脂各一兩,為末,食前熱酒服二錢。桑黃亦可。(《聖惠方》)。
臟毒下血︰槐耳(燒)二兩,幹漆(燒)一兩,為末。每服一錢,溫酒下。(《聖濟總錄》)
[本草綱目(본초강목)]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협(皂莢)[본초강목] (1) | 2023.11.23 |
---|---|
해인다(孩兒茶)[본초강목] (0) | 2023.11.23 |
개채(芥菜)[본초강목] (1) | 2023.11.11 |
제채(薺菜)[본초강목] (1) | 2023.10.31 |
황정(黃精)[본초강목] (1)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