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8. 8. 01:52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고량강(高良薑)[본초강목]
^^^^^^^^^^^^^^^^^^^^^^^^^^^^^^^^^^^^^^^^^^^^^^^^^^^^^^^^^^^^^^^^^^^^^^^^^^^^^^
高良薑
(《別錄》中品)
【校正】
並入《開寶本草》紅豆蔻。
【釋名】
蠻薑(《綱目》),子名紅豆蔻。
時珍曰︰陶隱居言此薑始出高良郡,故得此名。按高良,即今高州也。漢為高涼縣,吳改為郡。其山高而稍涼,因以為名,則高良當作高涼也。
陶隱居(도은거)는 “이 薑(강)으 맨처음 産(산)한 곳이 高良郡(고량군)이었기 때문에 그 名稱(명칭)이 생긴 것이다. ”라고 하였다. 살펴보면 高良(고량)이라는 땅은 現在(현재)의 高州(고주)로서 漢代(한대)에서는 高良縣(고량현)이라 불러고, 吳時代(오시대)에는 縣(현)이 郡(군)으로 改稱(개칭)되기도 하였다. 그 地方(지방)은 山(산)이 높고, 淸涼(청량)하기 때문에 그 地名(지명)으로 불려왔다고 하니, 高良(고량)은 高涼(고량)이라 쓰는 것이 올바른 것 같다.
【集解】
弘景曰︰出高良郡,二月、三月採根。形氣與杜若相似,而葉如山薑。
恭曰︰出嶺南者,形大虛軟,生江左者細緊,亦不甚辛,其實一也。今人呼細者為杜若,大者,為高良薑,亦非也。
頌曰︰今嶺南諸州及黔、蜀皆有之,內郡雖有而不堪入藥。春生莖葉如薑苗而大,高一、二尺許。花紅紫色,如山薑花。
珣曰︰紅豆蔻生南海諸穀,高良薑子也。其苗如蘆,其葉如薑,花作穗,嫩葉卷之而生,微帶紅色。嫩者入鹽,累累作朵不散落,須以朱槿花染令色深。善醒醉,解酒毒,無他要使也。
술에 취하여 主櫝(주독)을 解(해)하는 데는 이 이상 좋은 것이 없다.
時珍曰︰按︰範成大《桂海志》雲︰紅豆蔻花叢生,葉瘦如碧蘆。春末始發,初開花抽一幹,有大籜包之,籜拆花見。一穗數十蕊,淡紅鮮妍,如桃杏花色。蕊重則下垂如葡萄,又如火齊瓔珞及剪彩鸞枝之狀。每蕊有心兩瓣,人比之連理也。其子亦似草豆蔻。
【修治】
時珍曰︰高良薑、紅豆蔻,並宜炒過入藥。亦有以薑同吳茱萸、東壁土炒過入藥用者。
高良薑(고량강), 紅頭簆(홍두구) 모두 볶고 나서 藥(약)에 쓰는 것이 좋다. 또 薑(강)을 吳茱萸(오수유), 東壁土(동벽토)와 함께 볶아 藥(약)에 넣을 수 있다.
根
【氣味】
辛,大溫,無毒。
志曰︰辛、苦,大熱,無毒。
張元素曰︰辛,熱,純陽,浮也。入足太陰、陽明經。
辛(신)하고 熱(열)하다. 純陽(순양)하여 浮(부)가 된다. 足太陰(족태음), 陽明經(양명경)들어간다.
【主治】
暴冷,胃中冷逆,霍亂腹痛(《別錄》)。
暴冷(폭냉), 胃中(위중)의 冷逆(냉역), 霍亂腹痛(곽란복통),
下氣益聲,好顏色。煮飲服之,止痢 (藏器)。
下氣(하기)하고 소리를 益(익)하며 顔色(안색)을 좋게 한다. 煮(자)하여 飮用(음용)하면 止痢(지리)한다.
治風破氣,腹內久冷氣痛,去風冷痺弱(甄權)。
治風(치풍)하고 氣(기)를 破(파)하며, 腹內(복내)의 久冷(구랭), 氣痛(기통)을 治(치)하고, 風冷痺弱(풍랭비약)을 去(거)한다.
轉筋瀉痢,反胃嘔食,解酒毒,消宿食(大明)。
轉筋(전근), 瀉痢(사리), 反胃(반위), 酒毒(주독)을 解(해)하고, 宿食(숙식)을 消化(소화)한다.
含塊咽津,治忽然惡心,嘔清水,逡巡即瘥。若口臭者,同草豆蔻為末,煎飲(蘇頌)。
그 塊(괴)를 머금고 唾液(타액)을 삼키면 突然(돌연) 惡心(오심)하여 淸水(청수)를 토하는 것을 治(치)하고 점차로 治癒(치유)된다. 입에서 惡臭(악취)가 나면 草豆蔻(초두구)와 함께 末(말)로 하여 달여 마신다.
健脾胃,寬噎膈,破冷癖,除瘴瘧(時珍)。
脾(비), 胃(위)를 健(건)하게 하고, 噎膈(일격)을 寬(관)하며, 冷癖(냉벽)을 破(파)하고, 瘴瘧(장학)을 除去(제거)한다.
【發明】
楊士瀛曰︰噫逆胃寒者,高良薑為要藥,人參、茯苓佐之,為其溫胃,解散胃中風邪也。
噫逆(애역)하고 胃寒(위한)한 者(자)에게는 高良薑(고량강)이 要藥(요약)이다. 人參(인삼), 茯苓(복령)을 佐(좌)로 使用(사용)하면 胃(위)를 溫(온)하고, 胃中(위중)의 風邪(풍사)를 解散(해산)하는 功力(공력)을 發揮(발휘)한다.
時珍曰︰孫思邈《千金方》言︰心脾冷痛,用高良薑,細銼微炒為末,米飲服一錢,立止。
孫思邈(손사막)의 千金方(천금방)에 “心脾(심비)의 冷痛(냉통)에는 高良薑(고량강)을 잘게 다지고 微炒(미초)하여 作末(작말)하고, 米飮(미음)으로 一錢(일전)을 服用(복용)하면 즉시 멈춘다.”라고 하였다.
太祖高皇帝禦製周顛仙碑文,亦載其有驗雲。
太祖高皇帝(태조고황제)의 禦製(어제)인 周顛仙(주전선)의 碑文(비문)에도 그 效驗(효험)이 記載(기재)되어 있다.
又穢跡佛有治心口痛方雲︰凡男女心口一點痛者,乃胃脘有滯或有蟲也。多因怒及受寒而起,遂致終身。俗言心氣痛者,非也。
또한 穢跡佛(예적불)에 心口痛(심구통)을 治(치)하는 方(방)이라는 것으로서 <무릇 男子(남자)의 心口(심구) 一部分(일부분)이 아픈 것은 胃脘(위완)에 滯(체)가 있든가 혹은 蟲(충)이 있기 때문이다. 大部分(대부분)은 怒(노)와 寒(한)을 받은 것이 原因(원인)으로 생기는데 마침내는 身命(신명)을 잃을 수가 있다. 흔히 心氣痛(심기통)이라 하는 것은 잘못이다.
用高良薑(以酒洗七次焙研),香附子(以醋洗七次焙研),各記收之。病因寒得,用薑末二錢,附末一錢;因怒得,用附末二錢,薑末一錢;寒怒兼有,各一錢半,以米飲加入生薑汁一匙,鹽一撚,服之立止。韓飛霞《醫通》書亦稱其功雲。
高良薑(고량강)을 술로 七回(칠회)씻어 焙硏(배연)하고, 香附子(향부자)를 醋(초)로 七回(칠회)씻어 焙硏(배연)하여 각각 섞이지 않도록 印(인)을 붙여 저장하여, 病(병)이 寒(한)으로 인해 생기면 그 薑末(강말) 二錢(이전), 附末(부말) 一錢(일전)을 使用(사용)하고, 怒(노)가 原因(원인)이 되어 發病(발병)하면 附末(부말) 二錢(이전), 薑末(강말) 一錢(일전)을 使用(사용)하며, 寒(한),怒(노)가 동시에 原因(원인)이 된 때에는 각 一錢半(일전반)을 使用(사용)하여 어느 쪽이든 米飮(미음)으로 生薑汁(생강즙) 一匙(일시), 소금 한 줌을 加(가)하여 服用(복용)하면 금방 그친다.“라고 하였다. 韓飛霞(한비하)의 義通(의통)에도 역시 그 功力(공력)을 推稱(추칭)하고 있다.
【附方】舊三,新十。
霍亂吐利︰火炙高良薑令焦香。每用五兩,以酒一升,煮三、四沸,頓服。亦治腹痛中惡。(《外台》)
霍亂腹痛︰高良薑一兩(銼)。以水三大盞,煎二盞半,去滓,入粳米一合,煮粥食之。 便止。(《聖惠方》)
霍亂嘔甚不止。用高良薑(生銼)二錢,大棗一枚。水煎冷服,立定。 名冰壺湯。(《普濟方》)
腳氣欲吐︰蘇恭曰︰凡患腳氣人,每旦飽食,午後少食,日晚不食。若飢,可食豉粥。 若覺不消,欲致霍亂者。即以高良薑一兩,水三升,煮一升,頓服盡,即消。若猝無者,以母薑一兩代之,清酒煎服。雖不及高良薑,亦甚效也。 心脾冷痛︰高良薑丸︰用高良薑四兩(切片,分作四分︰一兩用陳廩米半合,炒黃去米;一兩用陳壁土半兩,炒黃去土;一兩用巴豆三十四個,炒黃去豆;一兩,用斑蝥三十四個,炒黃去蝥),吳茱萸一兩(酒浸一夜,同薑再炒)。為末,以浸茱酒打糊丸梧桐子大,每空心薑湯下五十丸。《永類鈐方》︰用高良薑三錢,五靈脂六養脾溫胃︰去冷消痰,寬胸下氣,大治心脾疼及一切冷物所傷。用高良薑、乾薑等分。 炮研末,麵糊丸梧子大,每食後橘皮湯下十五丸。妊婦勿服。(《和劑局方》)
脾虛寒瘧,寒多熱少,飲食不思。用高良薑(麻油炒)、乾薑(炮)各一兩。為末。每服五錢,用豬膽汁調成膏子,臨發時熱酒調服。以膽汁和丸,每服四十丸,酒下亦佳。吳開內翰,政和丁酉居 全椒縣,歲瘧大作,用此救人以百計。張大亨病此,甚欲致仕,亦服之愈。大抵寒發於膽,用豬膽引二薑入膽,去寒而燥脾胃,一寒一熱,陰陽相製,所以作效也。一方︰只用二薑(半生半炮)各半兩,穿山甲(炮)三錢。為末。每服二錢,豬腎煮酒下。(《朱氏集驗方》)
妊婦瘧疾︰先因傷寒變成者。用高良薑三錢(銼)。以 豬膽汁浸一夜,東壁土炒黑,去土,以肥棗肉十五枚,同焙為末。每用三錢,水一盞,煎熱,將發時服。神妙。(《永類鈐 方》)
暴赤眼痛︰以管吹良薑末入鼻取嚏,或彈出鼻血,即散。(《談野翁試驗方》)
風牙痛腫︰高良薑二寸,全蠍(焙)一枚。為末摻之,吐涎,以鹽湯漱口。此乃樂清丐 者所傳。鮑季明病此,用之果效。(王 《百一選方》)
頭痛搐鼻︰高良薑生研頻搐。(《普濟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근초(伸筋草)[본초강목] 석송(石松) (0) | 2023.08.08 |
---|---|
강황(薑黃)[본초강목] (0) | 2023.08.08 |
산강(山薑)[본초강목] (0) | 2023.08.08 |
백자인(柏子仁)[본초강목] (0) | 2023.07.17 |
곡실(槲實)[본초강목] (1) | 202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