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차(普洱茶)[본초강목습유]

2023. 6. 15. 20:44[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보이차(普洱茶)[본초강목습유]

 

 

 

 

 

苦甘微寒無毒服蓽 威靈仙土茯苓忌之

 

本經主 瘡利小便去痰熱止渴令人少睡有力悅志

 

發明 茗乃茶之粗者味苦而寒最能降火消痰開鬱利氣下行之功最速

 

本經主瘡利小便去痰熱之患然過飲即令人少寐以其氣清也

 

消食止渴無出其右合醋治傷暑泄利同薑治滯下赤白兼香豉蔥白生薑治時疫氣發熱頭痛

 

一味濃煎治風痰茶之產處最多惟陽羨者謂之真茶凡茶皆能降火清頭目其陳年者曰臘茶以其經冬過臘故以命名佐劉寄奴治便血最效

 

產徽者曰松蘿專於化食產浙紹者曰日鑄專於清火

 

產閩者曰建茶專於辟瘴

 

產六合者曰苦丁專於止痢

 

產滇南者名曰普洱茶則兼消食辟瘴止痢之功

 

蒙山者世所罕有近世每采石苔代充誤人殊甚其餘雜茶皆苦寒伐胃胃虛血弱之人有嗜茶成癖者久而傷精血不華色黃瘁痿弱嘔逆洞泄種種皆傷茶之害而侵晨啜茗每傷腎氣酒後嗜茶多成茶癖又新茶飲之令人聲音不清其能鬱遏火邪也至於精氣寒滑觸之易泄者勿食宜以沙菀蒺藜點湯代之茶子味苦氣肅善於降火專治頭中鳴響天白蟻之病江右人每以打油味最清香浸油沐發最佳取茶子餅煮汁澆花以辟盆中之蚯蚓煎湯滌衣垢則不退顏色總取其質之輕清而不沾滯也

 

 

 

 

 

 

보이다(普洱茶)[本草綱目拾遺]

 

보이차(普洱茶)

 

 

보이차(普洱茶)

Camellia sinensis var. assamica (Mast.) Kitamura

 

 

 

 

 

 

이명(異名)

 

Camellia assamica (Mast.) H. T. Chang

Camellia assamica var. polyneura H. T. Chang

Camellia assamica var. kucha H. T. Chang et Wang

Camellia multisepala H. T. Chang et Tang

Camellia polyneura H. T. Chang et Y. J. Tang ex H. T. Chang

Camellia sinensis var. kucha H. T. Chang et H. S. Wang ex H. T. Chang

Camellia theifera Griff.

Thea viridis var. assamica (J. W. Mast.) Choisy

 

雲南大葉種

 

 

植株喬木型樹冠高大自然生長樹高5-6m最高達20m以上樹姿半開展部分開展或較直立分枝部位高分枝較疏葉片屬特大葉類葉長平均13cm葉寬5cm最大葉面達26.0×10.5cm2葉形長橢圓形橢圓或近倒披針形葉片多爲水平狀著生葉尖漸尖葉色濃綠或黃綠光澤性好葉面隆起或顯著隆起葉肉厚而柔軟側脈明顯多爲10對以上葉緣背卷鋸齒較深尚齊芽葉肥壯茸毛特多葉片柵狀組織一層柵狀組織與海綿組織比約爲13發芽期早生長期長育芽力強1年萌發5-6新梢持嫩性強花多數單生部分叢生或呈假總狀花序花冠短徑爲25mm長徑爲45mm花瓣6-7花萼5抗寒性弱-5以下便遭受嚴重凍害適制紅茶鮮葉中茶多酚與兒茶素含量豐富

 

 

Camellia sinensis ( L. ) Kuntze var. assamica ( J.W.Mast. ) Kitam.

Acta Phytotax. Geobot. 14(2): 59. 1950 [Feb 1950]

14(2): 59 1950

Links:

basionym:Theaceae Thea assamica J.W.Mast. J. Agric. Soc. India 3: 63. 1844

 

 

 

 

출처:.IPNI

 

 

^^^^^^^^^^^^^^^^^^^^^^^^^^^^^^^^^^^^^^^^^^^^^^^^^^^^^^^^^^^^^^^^^

 

普洱茶

 

 

 

出雲南普洱府成團有大小三等。 

 

운남(雲南)의 보이부(普洱府)에서 나온다. ()으로 된 것인데 대(), (), ()의 삼등(三等)이 있다.

 

 

雲南志普洱山在車裡軍民宣慰司北其上產茶性溫味香名普洱茶

 

 

운남지(雲南志) 보이산(普洱山)은 차리군민선위사(車裡軍民宣慰司)의 북방(北坊)에 있으며, 그 위에서 산출(産出)되는 차()는 성()이 온()하고 미()가 향기롭다. 보이차(普洱茶)라고 한다.

 

 

南詔備考普洱府出茶產攸樂革登倚邦莽枝蠻專慢撒六茶山而以倚邦蠻專者味較勝

 

남조비고(南詔備考) 보이부(普洱府)에서 나오는 차()는 유락(攸樂), 혁등(革登), 의방(倚邦), 망지(莽枝), 만전(蠻專), 만살(慢撒)의 육다산(六茶山)에서 나오는 것인데, 의방(倚邦), 만전(蠻專)의 것이 약간 우수(優秀)하다.

 

 

 

味苦性刻解油膩牛羊毒虛人禁用苦澀逐痰下氣刮腸通泄

 

()(), ()()하며 油膩(유니), (), ()()解消(해소)하지만 ()()()한다. 苦澀(고삽)하며 逐痰(축담)하고, 下氣刮腸(하기괄장)하며, 通泄(통설)한다.

 

 

普洱茶大者一團五斤如人頭式名人頭茶每年入貢民間不易得也有偽作者名川茶乃川省與滇南交界處土人所造其餅不堅色亦黃不如普洱清香獨絕也

 

생각하건대 보이다(普洱茶)는 큰 것은 일단(一團)으로 해서 오근(五斤)이나 되고, 인두(人頭)와 같은 형()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인두다(人頭茶)라고도 한다. 매년 입공(入貢)하지만, 민간(民間)에서 쉽게 구할수 없다. 위작품(僞作品)이 있는데 그것을 천다(川茶)라고 한다. 즉 사천성(泗川省)과 전남(滇南/운남)의 경계지역(境界地域)에 있는 토인(土人)이 제조(製造)하는 것으로 그 병()은 긴()하지 않고, ()또한 황색(黃色)으로서 보이차(普洱茶)의 청향독절(清香獨絕)한 것에는 미치지 못한다.

 

 

普洱茶膏黑如漆醒酒第一綠色者更佳消食化痰清胃生津功力尤大也

 

보이차(普洱茶)는 칠()과 같이 고흑(膏黑)인데 술을 깨는데는 제일(第一)인 것이다. 녹색(綠色)의 것이 더욱 좋으며, 소식화담(消食化痰)하고, 청위생진(淸胃生津)하는 공력(功力)이 가장 크다.

 

物理小識普雨茶蒸之成團狗西番市之最能化物與六安同普雨即普洱也)。

 

 

물리소식(物理小識)에 보이차(普洱茶)는 증()하여 단()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서번(狗西番)에서 팔고 있다. 가장 잘 식물(食物)을 소화(消化)한다. 육안(六安)과 같다고 하였다. 생각하건대 보우(普雨), 즉 보이(普洱)인 것이다.

 

 

普洱茶膏能 治百病如肚脹受寒用薑湯發散出汗即愈口破喉顙受熱疼痛用五分口過夜即愈;受暑擦破皮血者,可見

 

普洱茶膏(보이다고)()百病(백병)()한다. 肚脹(두창)하고 ()을 받은 ()라면 薑湯(강탕)을 사용해서 發散(발산)하고 出汗(출한)하면 ()한다. 口破喉顙(구파후상)()을 받아 疼痛(동통)하는 경우에는 五分(오분)을 입에 ()하고 一夜(일야)을 지내면 ()한다. ()를 얻어 破血(파혈)이 한 것은 ()하여 ()하면 즉시 ()한다.

 

悶瘄:百草鏡雲此症有三一風閉二食閉三火閉惟風閉最險凡不拘何閉用茄梗伏月采風乾房中焚之內用普洱茶二錢煎服少頃盡出費容齋子患此已黑黯不治得此方試效

 

百草鏡(백초경) ()에는 ()이 있다. ()風閉(풍폐), ()食閉(식폐), ()火閉(화폐)이지만 다만 風閉(풍폐)만이 가장 危險(위험)한 것이다. 어느 ()茄梗(가경)伏月(복월)採取(채취)해서 風乾(풍건)한 것을 室內(실내)에서 ()하고, 내용으로는 普洱茶(보이다) 二錢(이전)煎服(전복)한다. 얼마 후 모두 나온다. 費容齋(비용재)()가 이 병에 걸렸을 때 黑黯(흑암)이 되어 治療方法(치료방법)이 없었으나 ()을 얻어 試圖(시도)한 바 ()가 있었다.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실(槲實)[본초강목]  (1) 2023.07.16
약밤나무[본초강목]  (0) 2023.07.04
초과(草果)[본초강목]  (2) 2023.06.06
삼백초(三白草)[본초강목]  (0) 2023.06.06
율초(葎草)[본초강목]  (2) 2023.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