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白芷)[본초강목]

2023. 5. 7. 00:20[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백지(白芷)[본초강목]

 

 

 

^^^^^^^^^^^^^^^^^^^^^^^^^^^^^^^^^^^^^^^^^^^^^^^^^^^^^^^^^^^^^^^^^^^^^^^^^

白芷

 

(《本經中品

 

釋名

 

 

白茝 芳香本經澤芬別錄苻蘺別錄莞 蒚麻 藥

 

時珍曰徐鍇雲初生根幹為芷則白芷之義取乎此也

 

徐鍇(서개)初生(초생)根幹(근간)()로 한다.”라고 하였다. 白芷(백지)意義(의의)는 여기서 依據(의거)하였다.

 

王安石字說香可以養鼻又可養體字從臣臣音怡(원문참고)養也許慎說文晉謂之齊謂之楚謂之蘺又謂之藥生於下澤芬芳與蘭同德故騷人以蘭 為詠而本草有芬香澤芬之名古人謂之香白芷雲

 

 

 

集解

 

 

別錄白芷生河東川穀下澤二月八月採根曝乾

 

弘景曰今處處有之東間甚多葉可合香

 

頌曰所在有之吳地尤多根長尺餘粗細不等白色枝幹去地五寸以上春生葉相對婆娑紫色闊三指許花白微黃入伏後結子立秋後苗枯二月八月採根曝乾以黃澤者為佳

 

雷斅曰凡采勿用四條一處生者名喪公藤又勿用馬蘭根

 

 

 

 

修治

 

雷斅曰采得刮去土皮細銼以黃精片等分同蒸一伏時曬乾去黃精用

 

採取(채취)한 후에는 上皮(상피)를 깍아내고 잘게 다져 黃精片(황정편) 等分(등분)을 함께 한동안 찌고 曬乾(쇄건)하여 黃精(황정)()하여 使用(사용)한다.

 

 

時珍曰今人采根洗刮寸截以鍛石拌勻曬收為其易蛀並欲色白也入藥微焙

 

지금은 一般的(일반적)으로 採根(채근)하여 씻고 깎아 一寸(일촌) 만큼씩 자르고 石灰(석회)와 잘 섞어 말려서 收取(수취)해둔다. 이것은 벌레가 붙기 쉬운 것을 防止(방지)하는 것과 ()을 희게 해두기 위한 것이다. ()에는 微焙(미배)하여 넣는다.

 

 

氣味

 

無毒

元素曰氣溫味苦大辛

氣味俱輕陽也手陽明引經本藥同升麻則通行手足陽明經亦入手太陰經

 

氣味(기미)는 모두 ()하면서 ()하다. 手陽明引經(수양명인경)本藥(본약)으로서 升麻(승마)共用(공용)하면 手足陽明經(수족양명경)通行(통행)시킨다. 또한 手太陰經(수태음경)에도 들어간다.

 

之才曰當歸為之使惡旋覆花制雄黃硫黃

 

當歸(당귀)使()가 되며, 旋覆花(선복화)()하고 雄黃(웅황), 硫黃(유황)()한다.

 

 

主治

 

女人漏下赤白血閉陰腫寒熱頭風侵目淚出長肌膚潤澤顏色可作面脂(《本經》)。

 

女人(여인)漏下赤白(누하적백), 血閉(혈폐), 陰腫(음종), 寒熱頭痛(한열두통)이 눈을 ()하여 눈물이 나오는 것, 肌膚(기부)ff ()하고, 顔色(안색)潤澤(윤택)하게 하며, 面脂(면지)를 만드는 것이 좋다.

 

 

療風邪久渴吐嘔兩脅滿風痛頭眩目癢可作膏藥(《別錄》)。

 

風邪(풍사), 久渴(구갈), 吐嘔(토구), 兩脅滿(양협만), 風痛(풍통), 頭眩(두현), 目癢(목양)治療(치료)한다. 膏藥(고약)을 만들면 좋다.

 

 

治目赤弩肉去面䵟疵瘢補胎漏滑落破宿血補新血乳癰發背瘰癧腸風痔 瘡痍疥癬止痛排膿大明)。

 

目赤弩肉(목적노육)()하고, 面䵟(면간), 疵瘢(자반)()하며, 胎漏滑落(태루활락)()하고, 宿血(숙혈)()하며, 新血(신혈)()한다. 乳癰(유옹), 發背(발배), 瘰鬁(라력), 腸風(장풍), 痔瘻(치루), 瘡痍(창이), 疥癬(개선), 止痛(지통)하고 排膿(배농)한다.

 

 

能蝕膿止心腹血刺痛女人瀝血腰痛血崩甄權)。

 

()()하고, 心腹(심복)血刺痛(혈자통), 女人(여인)瀝血(역혈), 腰痛(요통), 血崩(혈붕)을 멈춘다.

 

 

解利手陽明頭痛中風寒熱及肺經風熱頭面皮膚風痺燥癢元素)。

 

手陽明(수양명)頭痛(두통), 中風寒熱(중풍한열) 肺經(폐경)風熱(풍열), 頭部(두부), 面部(면부), 皮膚(피부)風痺燥癢(풍비조양)解利(해리)한다.

 

 

治鼻淵鼻衄齒痛眉棱骨痛大腸風秘小便去血婦人血風眩運翻胃吐食解砒毒蛇傷刀箭金瘡時珍)。

 

鼻淵(비연), 鼻衄(비뉵), 齒痛(치통), 眉稜骨痛(미릉골통), 大腸風秘(대장풍비), 小便失血(소변실혈), 婦人(부인)血風眩運(혈풍현운), 反胃吐食(반위토식)()하고, 砒毒(비독)()한다. 蛇傷(사상), 刀箭(도전), 金瘡(금창)

 

 

發明

 

杲曰白芷療風通用其氣芳香能通九竅表汗不可缺也

 

白芷(백지)()治療(치료)하는데 通用(통용)되는 ()이다. ()芳香(방향)으로 九竅(구규)를 잘 ()하고, 表汗(표한)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귀중한 藥材(약재)이다.

 

劉完素曰治正陽明頭痛熱厥頭痛加而用之

 

正陽明(정양명)頭痛(두통), 熱厥頭痛(열궐두통)治療(치료)하는데 이것을 加用(가용)한다.

 

 

好古曰同辛夷細辛用治鼻病入內托散用長肌肉則入陽明可知矣

 

辛夷(신이), 細辛(세신)共用(공용)하면 脾病(비병)治癒(치유)하고, 內托散(내탁산)에 넣어 사용하여 肌肉(기육)生長(생장)하는 것을 보면 陽明(양명)에 들어가는 것이 確認(확인)된다.

 

時珍曰白芷色白味辛行手陽明庚金性溫氣厚行足陽明戊土芳香上達入手太陰肺經肺者庚之弟戊之子也

 

白芷(백지)()은 희고, ()()하여 手陽明(수양명)庚金(경금)()하고 ()()하며, ()()하여 足陽明(족양명)戊土(무토)()하고, 芳香(방향)은 위에 ()하여 手太陰(수태음), 肺經(폐경)에 들어간다. ()()에 대하여 ()地位(지위), ()에 대해서는 ()에 해당 되는 것이다.

 

故所主之病不離三經如頭目眉齒諸病三經之風熱也如漏帶癰疽諸病三經之濕熱也風熱者辛以散之濕熱者溫以除之為陽明主藥故又能治血病胎病而排膿生肌止痛

 

그러므로 白芷(백지)主病(주병)上記(상기)三經(삼경)範圍(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 (), (), ()諸病(제병)과 같은 三種(삼종)風熱(풍열)인 것이다. 漏帶(누대), 癰疽(옹저)諸病(제병)과 같은 三經(삼경)濕熱(습열)이다. 風熱(풍열)()하여 ()하고, 濕熱(습열)()하여 ()하니 이것이 陽明(양명)()所以(소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關係(관계)로서 또한 능히 血病(혈병), 胎病(태병)治療(치료)하고 排膿(배농)하고, 生肌(생기)하며, 止痛(지통)한다.

 

 

按王璆百一選方王定國病風頭痛至都梁求名醫楊介治之連進三丸即時病失懇求其方則用香白芷一味洗曬為末煉蜜丸彈子大每嚼一丸以茶清或荊芥湯化下遂命名都梁丸其藥治頭風眩運女人胎前產後傷風頭痛血風頭痛皆效

 

王璆(왕구)百一選方(백일선방)王定國(왕정국)風頭痛(풍두통)을 앓았을 때 都梁(도량)에 가서 名醫楊介(명의양개)治療(치료)()했더니 ()는 이것을 治療(치료)함에 () 三丸(삼환)續服(속복)시켜 그것으로 ()은 즉시 治癒(치유)되었는데, 懇請(간청)하여 그 處方(처방)을 구하니 그것은 香白芷(향백지) 一味(일미)()하여 씻어 曬乾(쇄건)하고 作末(작말)하여 煉蜜(연밀)彈子大(탄자대) 크기의 ()을 만들고 一丸(일환)씩을 씹어 茶清(다청) 혹은 荊芥湯(형개탕)으로 녹여 服用(복용)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유로 都梁丸(도량환)이라고 하였다. ()頭風眩運(두풍현운), 婦人(부인)産前(산전), 産後(산후), 傷風頭痛(상풍두통), 血風頭痛(혈풍두통)()하여 어느 것에든 ()가 있다.”라고 記載(기재)하였다.

 

 

戴原禮要訣亦雲頭痛挾熱項生磊塊者服之甚宜

 

戴原禮(대원례)要訣(요결)에서도 頭痛(두통)()을 품고 정수리에 磊塊(뇌괴)가 생겼을 경우에는 이것을 服用(복용)하는 것이 매우 좋다.”라고 하였다.

 

 

仙神隱書種白芷能辟蛇夷堅志所載治腹蛇傷之方亦制以所畏也而本草不曾言及

 

臞仙(구선)神隱書(신은서)에는 白芷(백지)을 심으면 능히 뱀을 물리 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夷堅志(이견지) 所載(소재)蝮蛇傷(복사상)()하는 ()에서 온 것이지만 역시 ()()하는 特長(특장)으로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本草(본초)에는 一切(일체) 이러한 것에 관하여 言及(언급)하지 않았다.

 

宗奭曰︰《藥性論言白芷能蝕膿今人用治帶下腸有敗膿淋露不已腥穢殊甚遂致臍腹冷痛皆由敗膿血所致須此排膿

 

藥性論(약성론)에는 白芷(백지)()()한다.”라고 하였으며, 지금은 一般(일반)에서 帶下(대하), ()敗膿(패농)이 있어 계속 淋露(임로)하고, 腥穢(성예)極甚(극심)해져서 마침내 臍腹冷痛(제복랭통)을 일으킨 것의 治療(치료)에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은 모두 敗膿血(패농혈)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하여 排膿(배농)하는 것이다.

 

 

白芷一兩單葉紅蜀葵根二兩白芍藥白枯礬各半兩為末以蠟化丸梧子大每空心及飯前米飲下十丸或十五丸俟膿盡乃以他藥補之

 

白芷(백지) 一兩(일량), 單葉(단엽)紅蜀葵根(홍촉규근) 二兩(이량), 白芍藥(백작약), 白枯礬(백고반) () 半兩(반량)作末(작말)하고 ()으로 ()하여 梧子(오자) 크기의 ()을 만들어 空心(공심) 食前(식전)米飮(미음)으로 十丸(십환), 또는 十五丸(십오환)服用(복용)하고, ()이 없어지는 것을 보아 다른 ()으로 ()한다.

 

 

附方舊一新三十四

 

一切傷寒神白散又名聖僧散治時行一切傷寒不問陰陽輕重老少男女孕婦皆可服之用白芷一兩生甘草半兩薑三片蔥白三寸棗一枚豉五十粒水二碗煎服取汗不汗再服病至十餘日未得汗者皆可服之此藥可蔔人之好惡也如煎得黑色或誤打翻即難愈如煎得黃色無不愈者煎時要至誠忌婦人雞犬見。(《衛生家寶方》)

一切風邪方同上風寒流涕香白芷一兩荊芥穗一錢為末蠟茶點服二錢。(《百一選方》)

小兒流涕是風寒也白芷末蔥白搗丸小豆大每茶下二十丸仍以白芷末薑汁調塗太陽穴乃食熱蔥粥取汗。(《聖惠方》)

小兒身熱白芷煮湯浴之取汗避風。(《子母秘錄》)

頭面諸風香白芷切以蘿蔔汁浸透曬乾為末每服二錢白湯下或以搐鼻。(《直指方》)

偏正頭風百藥不治一服便可天下第一方也香白芷二兩五錢川芎)、甘草)、川烏頭半生半熟各一兩為末每服一錢細茶薄荷湯調下。(《談野翁試效方》)

頭風眩運都梁丸見發明下眉棱骨痛屬風熱與痰白芷片芩酒炒等分為末每服二錢茶清調下。(《丹溪纂要》)

風熱牙痛香白芷一錢朱砂五分為末蜜丸芡子大頻用擦牙此乃濠州一村婦以醫人者廬州郭醫雲絕勝他藥也或以白芷吳茱萸等分浸水漱涎。(《醫林集要》)

一切眼疾白芷雄黃為末煉蜜丸龍眼大朱砂為衣每服一丸食後茶下日二服名還睛丸。(《普濟方》)

口齒氣臭︰《百一選方》︰用香白芷七錢為末食後井水服一錢。《濟生方》︰用白芷川芎等分為末蜜丸芡子大日噙之盜汗不止太平白芷一兩辰砂半兩為末每服二錢溫酒下屢驗。(《朱氏集驗方》)

血風反胃香白芷一兩切片瓦炒黃)。為末用豬血七片沸湯泡七次蘸末食之日一次。(《婦人良方》)

腳氣腫痛白芷芥子等分為末薑汁和塗之效。(《醫方摘要》)

婦人白帶白芷四兩以鍛石半斤淹三宿去灰切片炒研末酒服二錢日二服。 (《醫學集成》)

婦人難產白芷五錢水煎服之。(唐瑤經驗》)

胎前產後 烏金散治胎前產後虛損月經不調崩漏及橫生逆產用白芷百草霜等分為末以沸湯入童子小便同醋調服二錢丹溪加滑石以芎歸湯調之。(《普濟方》)

大便風秘香白芷為末每服二錢米飲入蜜少許連進二服。(《十便良方》)

小便氣淋結澀不通白芷醋浸焙乾二兩為末煎木通甘草酒調下一錢連進二服。 (《普濟方》)

鼻衄不止就以所出血調白芷末塗山根立止。(《簡便方》)

小便出血白芷當歸等分為末米飲每服二錢。(《經驗方》)

腸風下血香白芷為末每服二錢米飲下神效。(餘居士選奇方》)

痔漏出血方同上並煎湯熏洗。(《直指方》)

痔瘡腫痛先以皂角煙熏之後以鵝膽汁調白芷末塗之即消。(《醫方摘要》)

腫毒熱痛醋調白芷末敷之。(《衛生易簡方》)

乳癰初起白芷貝母各二錢為末溫酒服之。(《秘傳外科方》)

疔瘡初起白芷一錢生薑一兩擂酒一盞溫服取汗即散此陳指揮方也。(《袖 珍方》)

癰疽赤腫白芷大黃等分為末米飲服二錢。(《經驗方》)

小兒丹瘤遊走入腹必 死初發急以截風散截之白芷寒水石為末生蔥汁調塗。(《全幼心鑒》)

刀箭傷瘡香白芷嚼爛塗之。(《集簡方》)

解砒石毒白芷末井水服二錢。(《事林廣記》)

諸骨哽咽白芷半夏等分為末水服一錢即嘔出。(《普濟方》)

毒蛇傷螫臨川有人被蝮傷即昏死一臂如股少頃遍身皮脹黃黑色一道人以新 汲水調香白芷末一斤灌之覺臍中 然黃水自口出腥穢逆人良久消縮如故雲以麥門冬湯調尤妙仍以末搽之又經山寺僧為蛇傷一腳潰爛百藥不愈一遊僧以新水數洗淨腐敗見白筋挹乾以白芷末入膽礬麝香少許摻之惡水湧出日日如此一月平複。(洪邁夷堅志》)

 

 

 

主治

 

作浴湯去屍蟲(《別錄》)。

 

浴湯(욕탕)에서 使用(사용)하면 屍蟲(시충)()한다.

 

浴丹毒癮疹風瘙時珍)。

 

丹毒(단독) 恩津(은진), 風瘙(풍소)()한다.

 

 

附方新一

 

小兒身熱白芷苗苦參等分煎漿水入鹽少許洗之。(《衛生總微論》)

 

小兒(소아)身熱(신열): 白芷(백지)(), 苦參(고삼) 等分(등분)漿水(장수)로 달이고 小量(소량)을 넣고 씻는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향지(楓香脂)[본초강목]  (0) 2023.05.18
호유(胡荽)[본초강목]  (1) 2023.05.07
녹리(鹿梨)[본초강목]  (1) 2023.04.17
임금(林檎)[본초강목]  (0) 2023.04.03
당리(棠梨)[본초강목]  (0) 202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