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귀(當歸)[본경/동의보감]

2023. 4. 26. 03:29[신농본초경]/중경(中經)

당귀(當歸)[본경/동의보감]

 

 

 

 

 

당귀(當歸)

 

Angelica sinensis (Oliv.) Diels

 

 

이명(異名)

 

Angelica polymorpha var. sinensis Oliv.

 

 

 

多年生草本40-100厘米莖帶紫紅色基生葉及莖下部葉卵形8-18厘米二至三回三出式羽狀全裂最終裂片卵形或卵狀披針形1-2厘米5-15毫米3淺裂有尖齒葉脈及邊緣有白色細毛葉柄長3-11厘米有大葉鞘莖上部葉簡化成羽狀分裂複傘形花序無總苞或有2傘幅913不等長小總苞片2-4條形花梗12-36密生細柔毛花白色雙懸果橢圓形4-6毫米3-4毫米稜側棱具翅翅邊緣淡紫色分布於陝西甘肅湖北四川雲南貴州多爲栽培少見野生根供藥用能補血活血調經潤腸是治療一切痛經的主藥

 

 

Angelica sinensis ( Oliv. ) Diels

Bot. Jahrb. Syst. 29(3-4): 500. 1900 [4 Dec 1900]

29(3-4): 500 1900

Links:

basionym:Apiaceae Angelica polymorpha Maxim. var. sinensis Oliv. Hooker's Icon. Pl. 20: t. 1999. 1891 [Aug 1891]

 

 

^^^^^^^^^^^^^^^^^^^^^^^^^^^^^^^^^^^^^^^^^^^^^^^^^^^^^^^^^^^^^^^^^^^^^^^^^^^^

 

 

 

當歸

 

味甘溫

 

主欬逆上氣溫虐寒熱洗在皮膚中(《大觀本》,洗音癬)。婦人漏下絕子諸惡創瘍金創煮飲之一名乾歸生川穀

 

吳普當歸神農黃帝桐君扁鵲甘無毒岐伯雷公辛無毒李氏小溫或生羌胡地

名醫生隴西二月八月採根陰乾

廣雅山靳當歸也。《爾雅山靳郭璞雲今似靳而粗大又薜白靳郭璞雲即上山靳。《範子計然當歸出隴西無枯者善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중경(中經)]

 

^^^^^^^^^^^^^^^^^^^^^^^^^^^^^^^^^^^^^^^^^^^^^^^^^^^^^^^^^^^^^^^^^^^^^^^^^^^^

 

 

當歸

 

 

숭엄초불휘性溫味甘辛無毒

 

성온(性溫)하고 미()는 감신(甘辛)하며 무독(無毒)하다.

 

 

 

治一切風一切血一切勞破惡血養新血及主琋癖婦人崩漏絶子療諸惡瘡瘍金瘡客血內塞止痢疾腹痛治溫秇補五藏生肌肉

 

일체(一切)의 풍(), 일체(一切)의 혈(), 일체(一切)의 노()를 주()하며, 악혈(惡血)을 파()하고 신혈(新血)()한다. 징벽(癥癖), 부인(婦人)의 붕루(崩漏)와 절자(絶子)를 주()하며, 여러 가지 나쁜 창양(瘡瘍), 금창(金瘡)으로 인한 객혈(客血)이 내색(內塞)한 것을 요()하고, 이질복통(痢疾腹痛)을 지()하며 온학(溫瘧)을 치()하며, 오장(五臟)을 보()하며 생기육(生肌肉)한다.

 

 


生山野或種蒔二月八月採根陰乾以肉厚而不枯者爲勝又雲肥潤不枯燥者爲佳又雲如馬尾者好
要破血卽使頭一節硬實處要止痛止血卽用尾本草

 

 

산야(山野)에서 생()하는데, 심기도 한다. 이월(二月), 팔월(八月)에 채근(採根)하여 음건(陰乾)한다. ()이 후()하고, 여위지 않은 것이 제일 좋다. 또는 살이 많고 윤()하면서 빳빳하게 마르지 않은 것이 좋다고 한다. 또는 말꼬리와 같은 것이 좋다고도 한다. 파혈(破血)할 때는 두()에서 경()한 것 일절(一節)을 사(使)하고 지통(止痛), 지혈(止血)에는 미()를 사용(使用)한다. [본초].

 

 


用頭則破血用尾則止血若全用則一破一止卽和血也入手少陰以心主血也入足太陰以其脾裹血也入足厥陰以肝藏血也湯液

 

 

()를 사용(使用)하면 파혈(破血)하고 미()를 사용(使用)하면 지혈(止血)한다. 만일 전용(全用)하면 한편으로는 파()하고 한편으로는 지()하므로 즉 화혈(和血)한다. 수소음(手少陰)에 들면 심이 생혈(生血/主血)한다. 족태음(足太陰)에 들면 그것으로 비()가 혈()을 감싼다.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면 그것으로 간()이 장혈(藏血)한다.[탕액].

 

 

 


氣血昏亂者服之卽定各有所當歸之功治上酒浸治外酒洗血病酒蒸痰用薑汁炒入門

 

 

기혈(氣血)이 혼란(昏亂)한 자() 복용(服用)하면 곧 안정(安定)된다. 그것을 각기 해당한 곳으로 가게 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상()을 치()하려면 주침(酒浸)하고 외()를 치()하려면 주세(酒洗)하며 혈병(血病)에는 주증(酒蒸)하고, ()에는 강즙초(薑汁炒)하여 사용(使用)한다.[입문].

 

 


得酒浸過良東垣

 

 

주침(酒浸)하여 쓰는 것이 좋다[동원].

 

 

 

 

治一切血能和血行血養血芎塥當歸合爲芎歸湯爲血藥第一綱目

 

 

일체(一切)의 혈()을 능()히 치()하며, 혈행(血行), 양혈(養血)한다. 천궁(川芎)와 당귀를 섞은 것을 궁귀탕(芎歸湯)이라고 하는데 혈약(血藥) 가운데서 제일 좋다[강목].

 

 

主崩漏及月水不利煎服末服拄佳本草

 

붕루(崩漏), 월경불조(月經不調)를 주()한다. 전복(煎服), 말복(末服)하면 다 좋다[본초].

 


血積當歸四錢乾漆三錢爲末蜜丸酒下十五丸良方

 

혈적(血積)에는 당귀 사전(四錢), 건칠(乾漆)삼전(三錢)을 가루를 내어 연밀(煉蜜)에 반죽하여 환()을 만들어 한 번에 십오환(十五丸)알씩 술로 먹는다[양방].

 

 

 

治婦人百病又治産後腹痛當歸末三錢水煎服名獨聖湯良方

 

 

부인(婦人)의 백병(百病), 산후복통(産後腹痛)을 치()한다. 당귀(當歸)가루 삼전(三錢)을 물에 달여 먹는데 독성탕(獨聖湯)이라고도 한다[양방].

 

 


血刺痛用當歸乃和血之藥若血積刺痛宜用桃仁紅花當歸頭丹心

 

 

궂은 피로 찌르는 듯이 아픈 데는 당귀(當歸)를 쓴다. 이것은 혈을 고르게 하는 약이기 때문이다. 만일 혈적(血積)으로 쑤시는 것처럼 아플 때에는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를 쓴다[단심].

 

 

[동의보감(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