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자(蛇床子)[본경/동의보감]

2023. 4. 17. 19:21[신농본초경]/중경(中經)

사상자(蛇床子)[본경/동의보감]

 

벌사상자/사상자(蛇床子)

 

 

 

 

벌사상자

 

이명:[산미나리] [개사상자] [돌사상자]

학명:Cnidium monnieri (L.) Cusson

분류군:Umbelliferae(산형과)

일명:オカゼリ(Oka-jeri)

영명:Common Cnidium

 

근생엽과 줄기 밑부분 잎의 엽병은 짧고 밑이 엽초로 되며 개화기에 없어진다. 줄기 윗부분 잎의 엽병은 엽초로 된다. 잎은 호생하며 삼각상 난형이고 3회 우상으로 잘게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선형이고 길이 2-10mm, 1-2mm로서 가장자리가 뒤로 말려 두꺼워지며 짙은 녹색이고 끝이 뾰족하며 짧고 흰 까끄라기가 달린다.

 

열매

분과는 타원형이고 륵()이 넓은 날개이며 륵사이에 1, 합생면에 2개씩의 유관이 있으며 길이 2.3mm로서 날개같은 백색 능선이 10개 있고 7-8월에 성숙한다.

 

6-7월에 흰꽃이 복산형화서로 핀다. 화서의 지름은 2-5cm이고 소산경은 15-30개이며 가장자리에 흰털이 있는 8-11개의 선형의 총포편이 있다. 소산형화서는 지름 5-10mm이고 10-20여개의 꽃이 있으며 소산경에는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는 9-11개의 송곳형 소총포편이 있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밑부분은 때때로 자줏빛을 띠고 털이 있으며 윗부분은 털이 없고 가지를 치며 속이 비고 세로로 능선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주로 북부지방에서 자라지만 남부지방의 산지에서도 자란다.

 

형태

월년초

크기

높이가 1m에 이른다.

 

 

 

 

생육 환경

산야의 잡초지.

결실기

7, 8

 

이용방안

 

과실을 蛇床子(사상자)라 하며 약용한다.

열매가 노랗게 익으면 全株(전주)를 베어 열매만 떨어 햇볕에 말린다.

약효 : 溫腎(온신), 壯陽(장양), 祛風(거풍), 濕燥殺蟲(습조살충)의 효능이 있다. 남자양위,

陰囊濕癢(음낭습양), 女子帶下陰癢(여자대하음양), 婦人陰中腫痛(부인음중종통), 子宮寒冷不

(자궁한냉불임), 風濕痺痛(풍습비통), 疥癬濕瘡(개선습창)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熏洗(훈세)하거나 좌약으로 한다. 분말을 살포하거나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학명 Cnidium monnieri (L.) Cusson

Hist. Mem. Soc. Roy. Med. Paris (1782)

1. Athamanta chinensis L.

Sp. Pl. 1 : 245 (1753)

2. Selinum monnieri L.

Amoen. Acad. 4: 269 (1755)

국명 벌사상자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개사상자

2. 돌사상자

3. 산미나리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영문명 : Common Cnidium

일본명 : オカゼリ

북한명 : 벌사상자

 

 

 

Cnidium monnieri Cusson

Hist. Soc. Roy. Méd. 1782-83: 280. 1787

1782-83: 280 1787

Nomenclatural Notes:

nom. inval. Cusson did not combine the epithet monnieri with Cnidium (see Vienna Code Art. 33.1).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사상(蛇床)

 

Cnidium monnieri (Linn.) Cuss.

 

 

이명(異名)

 

Cnidium mongolicum Wolff

Pinasgelon monnieri (L.) Raf.

Selinum monnieri L.

Ligusticum mongolicum (H. Wolff) Leute

Ligusticum monnieri (L.) Calestani

Seseli daucifolium C. B. Clarke

Cicuta sinensis Zuccagni

Cicuta monnieri (L.) Crantz

Cnidium confertum Moench

Ligusticopsis mongolica (H.Wolff) Leute

 

 

 

 

 

 

一年生草本1060厘米

 

根圓錐狀較細長莖直立或斜上多分枝中空表面具深條棱粗糙下部葉具短柄葉鞘短寬邊緣膜質上部葉柄全部鞘狀;葉片輪廓卵形至三角狀卵形38厘米25厘米23回三出式羽狀全裂羽片輪廓卵形至卵狀披針形13厘米0.51厘米先端常略呈尾狀末回裂片線形至線狀披針形310毫米11.5毫米具小尖頭邊緣及脈上粗糙複傘形花序直徑23厘米;總苞片610,線形至線狀披釺形長約5毫米邊緣膜質具細睫毛;傘輻820不等長0.52厘米棱上粗糙;小總苞片多數線形35毫米邊緣具細捷毛;小傘形花序具花1520,萼齒無;花瓣白色先端具內折小舌片;花柱基略隆起花柱長11.5毫米向下反曲分生果長圓狀1.53毫米12毫米橫剖面近五角形主棱5,均擴大成翅;每棱槽內油管1合生面油管2;胚乳腹面平直花期47果期610

 

 

^^^^^^^^^^^^^^^^^^^^^^^^^^^^^^^^^^^^^^^^^^^^^^^^^^^^^^^^^^^^^^^^^^^^^^^^^^^

 

蛇床子

 

味苦平

 

主婦人陰中腫痛男子陰痿濕癢除痺氣利關節癲癇惡創久服輕身一名蛇米生川穀及田野

 

 

吳普蛇床一名蛇珠(《禦覽》)。

名醫一名蛇粟一名虺床一名思鹽一名繩毒一名棗棘一名牆蘼生臨淄五月採實陰乾

廣雅蛇粟馬床蛇床也,《爾雅盱虺床,《淮南子汜論訓雲亂人者若蛇床之與蘼蕪

 

[本經/上經]

 

^^^^^^^^^^^^^^^^^^^^^^^^^^^^^^^^^^^^^^^^^^^^^^^^^^^^^^^^^^^^^^^^^^^^^^^^^^^

 

蛇床子

 

사상자(蛇床子)

 

얌도랏性平一雲溫味苦辛甘無毒一雲小毒

 

()은 평()하고,<일운(一雲)()> ()는 고(), (), ()하며 무독(無毒)하다.<일운(一雲) 소독(小毒)>

 

主婦人陰中腫痛男子陰潯濕癢溫中下氣令婦人子藏熱男子陰強浴男女陰去風冷大益陽事腰痛陰汗濕癬縮小便療赤白帶下

 

부인(婦人)의 음중종통(陰中腫痛), 남자(男子)의 음위(陰痿), 습양(濕癢)에 주효(主效)하다. 온중하기(溫中下氣)하고 부인(婦人)의 자장(子臟)을 열()하게 하고, 남자(男子)의 음()을 강()하기 하며, 남녀(男女)의 음()을 욕()하면 풍랭(風冷)을 거()한다. 크게 양사(陽事)를 익()하며, 요통(腰痛), 음한(陰汗), 습선(濕癬), 소변(小便)을 축()하며, 적백대하(赤白帶下)를 치료(治療)한다.


處處有之似小葉芎塥花白子如黍粒黃白至輕虛生下濕地五月採實陰乾本草


처처(處處)에 있으며, 소엽(小葉)의 궁궁(芎窮)과 같고, 꽃은 희다. ()는 서립(黍粒) 정도이며, 황백색(黃白色)으로 경허(輕虛)하다. 하습(下濕)진 땅에서 자란다. 오월(五月)에 채실(採實)하여 음건(陰乾)한다.[본초].

 


凡入丸散微炒婔去皮殼取淨仁用之若作湯洗病則生使入門

 

(), ()에 넣을 때는 미초(微炒)하여 비벼서 피각(皮殼)을 거()하고 알맹이만 가려서 쓴다. 만일 달인 물로 환처(患處)를 씻으려면 생것을 그대로 쓴다[입문].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