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실(梅實) 오매(烏梅)[본경/동의보감]

2023. 3. 2. 01:25[신농본초경]/중경(中經)

매실(梅實) 오매(烏梅)[본경/동의보감]

 

 

 

 

매실나무/오매(烏梅)

 

 

 

 

매실나무

 

이명 [매화나무]

학명 Prunus mume Siebold & Zucc. f. mume

분류군 Rosaceae(장미과)

일명 ウメ

영명 Japanese Apricot, Japanese Flowering Apricot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인데 원저이며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잎은 길이 4~10이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 맥액에 갈색털이 있다. 엽신기부 또는 엽병의 상부에 선점이 있다. 탁엽은 길이 5-9이다.

열매

지름 2-3의 핵과로서 겉은 짧은 털로 덮여있고 6-7월에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익으며 신맛이 나며, 오매(烏梅)라 한다. 열매의 한 쪽에 얕은 골이 진다. 종자는 과육이 잘 떨어지지 않으며 종자 표면에 작은 구멍이 많이 있다.

백색 또는 담홍색으로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전년도 잎겨드랑이에 1-3개씩 달리며 화경이 거의 없다. 지름 2.5내외로 향기가 강하고 색깔이 다양한데 기본종은 분홍색이다. 꽃받침은 5개로 자갈색의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꽃잎은 넓은 거꿀달걀모양으로 끝이 둥글고 많은 수술이 울타리처럼 1개의 암술을 보호하고 있다. 씨방에 밀모(密毛)가 나 있다.

줄기

우산모양의 아름다운 수형이다. 일년생가지는 녹색이나 오래된 가지는 암자색으로 나무껍질은 갈라진다.

원산지

중국 원산

분포

일본,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남, 전북, 경남, 충남, 충북, 경기, 황해도에서 야생 또는 재배한다.

형태

낙엽 활엽 교목.

크기

높이 4-6m 정도, 직경 60정도이다.

 

 

 

매실나무

 

학명 Prunus mume Siebold &Zucc. For. Mume

생물학적 분류 현화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벗나무속

특징적 분류 유실수

크기와 너비 크기 5~10m

꽃색깔 흰색, 분홍색

꽃말 고결, 충실, 인내, 맑은 마음

파종 및 수확시기 수확 6~ 7

종류 식용식물(열매)

 

 

정의, 어원, 동일명 및 전설

 

"망매지갈": 매실을 자극하여 목마름을 풀었다는 고사로 중국 위나라의 조조는 젊어서부터 機警權數가 출중했던 인물인데, ''의 조조가 행군하던 중 물이 있는 곳을 찾지 못하여 모든 장병이 목이 말라 허덕이고 있었다. 이모양을 바라보던 조조는 갑자기 소리쳤다. " ! 저너머에 커다란 매실나무 숲이 있다." 장병들은 이 소리를 듣고 매실의 신맛을 생각하자 절로 입안에 침이 고여 갈증을 풀고 기운을 내었다는 이야기이다.

 

특징매실은 4군자의 하나로 문인, 화가들의 소재로 많이 쓰여온 나무로 꽃을 매화라 하고, 열매를 매실이라고 한다. 매실나무는 이른봄에 백색 또는 연분홍색의 향기롭고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6월이 되면 수없이 많은 열매를 맺어 정원수로서 이용되어 오고 있다. 매실은 산미가 강하여 생과로 먹지는 못하고 매실주, 장아찌, 엑기스, 매실차 등의 가공품으로 이용되며 그 대표적인 것이 매실주다.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하는 낙엽성 활엽 교목으로 우리나라는 주로 전남, 전북, 경남, 충남, 경기, 황해도에서 야생 또는 재배하고 있다. 원산지는 중국의 사천성과 호북성의 산간지로 알려져 있다. 매실은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여 연평균기온이 12-15이고 개화기간중 기온이 10이상인 지역이 재배에 알맞다.

 

꽃생김새

 

백색 또는 담홍색으로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전년도 엽액에 1-3개씩 달리며 화경이 거의 없음. 지름 2.5cm내외로 향기가 강하고 색깔이 다양한데 기본종은 분홍색을 띰. 꽃받침조각은 5개로 둥근모양이고 꽃잎은 여러장이며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임. 수술은 많고 씨방에는 빽빽한 털이 나있음.

 

심는 방법

 

매실은 가을 낙엽직후, 봄 해빙 직후 심는다. 심을 때는 구덩이를 파고 퇴비, 석회, 용성인비 등과 파놓은 흙과 잘 섞어 2/3가량 묻은 후 겉흙을 지면까지 채운 다음 20cm 정도 높게 심는다.

가꾸기포인트) 매실은 화기가 불완전한 품종이 많아 결실율이 떨어지므로 다른 품종과 혼실하거나 인공수분을 한다.

 

기후, 토양조건

 

기후조건) -연평균기온이 12-15, 개화기간중 기온은 10이상되는 지역에서 안전하게 재배될 수 있다. 생육기인 4월은 9, 성숙기는 22, 10월은 21정도 가 적당하다. 개화기의 저온정항한계온도는 -8이나 개화 후의 어린과실은 -4가 한계온도이다.

토양조건)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은 모래참흙(사양토~식양토)으로서 토양산도가 pH 6.5~7.1의 미산성 내지 중성 땅에서 잘 자란다. 토양은 pH 4.3이하의 강산성 또는 pH 7.5의 알칼리성 토양에서는 말라 죽는다.

 

, 거름주기

 

물주기) 우리나라에서는 과실의 수확이 끝난후에 가뭄과 장마가 들어가므로 꽃핌과 결실에는 큰 지장이 없으나 여름철 심한 가뭄으로 피해를 입으면 나무의 세력이 약해지므로 물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거름주기) 매실의 수량은 질소량에 따라 좌우되나 질소가 과다하면 수세가 왕성하게 되어 결실이 불량하고 과실의 성숙도 지연되므로 수령에 맞도록 준다. 타 과실에 비하여 칼리, 석회, 마그네슘의 요구량이 많으므로 충분한 양을 사용한다. 매실은 12월 중순부터 양분을 흡수하고 뿌리신장도 시작되므로 밑거름을 11~12월 사이에 주어 개화결실과 신초의 자람을 촉진시킨다.

 

꺾꽂이, 가지치기, 분갈이방법

 

가지치기) 1. 재식시: 묘목을 재식 후 60-70cm에서 절단한다.

2. 2년차: 지상에서 30-40cm이하는 제거하고, 주지로 이용한 가지 3개만 남기고 그외는 기부에서절단하고 주지 후보지의 가지는 끝만 약간 잘라준다.

3. 3년차: 주지상에서 제1부주지가 될 가지를 형성시키고 가지의 선단을 절단한다

4. 4년차: 1부주지에[1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반대 방면에 제2부주지가 될 후보지를 선정하고 나무의 골격을 만든다.

 

수확하기

 

 

매실은 청과를 이용하므로 완숙 전에 수확해야 한다, 수확시기는 일반적으로 용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만개기로부터 70~80일 사이인 6월상순~ 중순경이다. 과실이 충분이 비대하여 둥글게 되고 과피면의 털이 없어지고 색깔이 농록색에서 담록색으로 변화되는 시기이다.

수확시기에 따라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데 청매는 껍질이 파랗고 과육이 단단한 상태로 신맛이 가장 강할 때이며, 황매는 노랗게 익은 것으로 향기가 매우 좋으며, 과육이 부드러워 물러지기 쉽다.

 

경기도농업기술원

 

 

 

 

 

 

학명 Prunus mume Siebold & Zucc. f. mume

Fl. jap. 1 : 29

 

 

1. Armeniaca mume Siebold

Verh. Batav. Genootsch. Kunsten 12,1 : 69, no. 367 (1830)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2. Prunus mume var. rosea Ingram

Gard. Chron. ser. 3, 119 : 107 (1946)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3. Prunus mume var. typica Maxim.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9 : 84 (1883)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문헌정보

기재문

문헌명 : Fl. jap. 1 : 29

 

국명 매실나무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1. 매화나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북한명 매실나무

외국명 영문명

Japanese Apricot, Japanese Flowering Apricot

일본명

ウメ

 

 

 

Prunus mume Siebold & Zucc.

Fl. Jap. (Siebold) 1: 29. 1836

1: 29 1836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표준식물목록.IPNI

 

()

 

Armeniaca mume Sieb.

 

 

이명(異名)

 

Prunus mume var. formosana Kudo et Masam.

Prunus mume var. tonsa Rehder

Prunus anomala Koehne

Prunus mume Siebold et Zucc.

Prunus mume var. typica Maxim.

 

^^^^^^^^^^^^^^^^^^^^^^^^^^^^^^^^^^^^^^^^^^^^^^^^^^^^^^^^^^^^^^^^^^^^^^^^^^^

梅實

 

味酸平

 

主下氣除熱煩滿安心肢體痛偏枯不仁死肌去青黑志惡疾生川穀

 

 

吳普梅實(《大觀本草作核)。明目益氣,(《禦覽》)不飢(《大觀本草》,引吳氏本草)。

名醫生漢中五月採火幹

 

說文:(左木右上艸下尞),幹梅之屬或作左氵右上艸下尞),酸果也以梅為楠。《爾雅梅楠郭璞雲似杏實酢是以某注梅也,《周禮籩人饋食其實幹左木右上艸下尞)。鄭雲左木右上艸下尞),幹梅也有桃諸梅諸是其乾者。《毛詩疏雲梅暴為臘羹臛世中人含之以香口(《大觀本草》)。

 

 

[本經/中經]

 

^^^^^^^^^^^^^^^^^^^^^^^^^^^^^^^^^^^^^^^^^^^^^^^^^^^^^^^^^^^^^^^^^^^^^^^^^^^

 

 

梅實

 

매실(梅實)

 

 

화여鿑性平味酸無毒

 

()은 평()하고 미()는 산()하며 무독(無毒)하다.

 

 

止渴令人膈上熱

 

지갈(止渴)하고 격상(膈上)의 담열(痰熱/담은 대명(大明)에서 추가)을 발()하게 한다.

 


生南方五月採黃色梅實火熏乾作烏梅又以檁殺爲白梅又煙熏之爲烏梅暴乾藏密器中爲白梅用當去核微熬之


남방(南方)에서 생()하며, 오월(五月)에 황색(黃色)의 매실(梅室)을 채()하여 훈화(熏火)해서 건조하여 오매(烏梅)를 만든다. 또 염지(鹽漬)한 것을 백매(白梅)라고 하고, 또 연()에 훈()한 것을 오매(烏梅)라고 하며, 폭건(曝乾)하여 밀기중(密器中)에 장()하여 백매(白梅)가 된다. 거핵(去核)하고 미오(微熬)하여 사용(使用)한다.

 


生實酸而損齒傷骨發虛熱不宜多食蓋人食酸則津液泄水生木也津液泄故傷齒腎屬水外爲齒故也本草

 

() 열매는 산()하여 손치상골(損齒傷骨)하고, 허열(虛熱)을 발()하기 때문에 다식(多食)하면 안 된다. 대개 산()을 식()하면 진액(津液)이 설()하는 것은 수생목(水生木)이기 때문이다. 진액(津液)이 설()하면 상치(傷齒)한다. ()은 수()에 속()하고 외()로는 치()가 되기 때문이다. [본초].

 

 

烏梅

 

오매(烏梅)

 

 

性煖味酸無毒

 

()은 난()하고 미()는 산()하며 무독(無毒)하다.

 

 

去痰止吐逆止渴止痢除勞熱骨蒸消酒毒主傷寒及囍亂燥渴去黑獻療口乾好唾本草

 

 

거담(去痰)하며 토역(吐逆)을 멎게 하고, 지갈(止渴), 지리(止痢)한다. 노열(勞熱), 골증(骨蒸)을 제거(除去)하며, 주독(主櫝)을 해소(解消)하고 상한(傷寒) 및 곽란(癨亂), 조갈(燥渴)에 주효(主效)가 있으며, 흑지(黑痣)를 제거(除去)하고 다타구건(多唾口乾)을 요()한다.[본초].

 

 

收肺氣作茶飮之湯液

 

폐기(肺氣)를 수()하는데 차()를 만들어 마신다[탕액].

 

 

澁腸作茶飮之本草

 

()을 삽()하는데 차를 만들어 마신다[본초].

 

 

去痰止渴可作茶飮本草

 

 

거담(去痰)하고 지갈(止渴)하는데 차를 만들어 마신다[본초].

 

 

澁腸止痢

 

삽장(澁腸), 지리(止痢)한다.


血痢白梅肉一箇合臘茶加醋湯沃服之一畆而差

 

혈리(血痢)에는 백매육(白梅肉) 일개(一個)와 납차(臘茶)를 합()하고 초탕(醋湯)을 가()해서 쓰는데 한번 먹으면 낫는다.


赤痢及久痢烏梅水煎和蜜服

 

적리(赤痢) 및 구질(久疾)에는 오매(烏梅) 달인 물에 꿀을 타서 먹는다.

 


休息痢合建茶乾薑爲丸服之大驗本草

 

휴식리(休息痢)에는 건차(建茶)와 건강(乾薑)을 합()하여 환()으로 먹으면 대효(大效)가 있다.[본초].

 

 

 

治骨蒸去煩悶水煮作茶飮本草

 

골증(骨蒸)을 치()하며 번민(煩悶)을 제거(除去)하는데 수자(水煮)하여 차처럼 마신다[본초].

 

 

治食恪不消膨脹取肉作丸白湯下三十丸類聚

 

먹은 국수가 소화되지 않고 팽창(膨脹)한 것을 치()하는데 육()으로 환()을 만들어 삼십환(三十丸)씩 백탕(白湯)으로 먹는다[유취].

 

治囍亂煩渴木漬和蜜飮之妙本草

 

곽란(癨亂), 번갈(煩渴)을 치()하는데 목지(木芝)에 화()하여 밀()로 마시면 묘()하다.[본초].

 

 

 

療口乾止消渴作渴和少蜜常畆本草

 

구건(口乾)을 요()하고, 소갈(消渴)을 멎게 하는데 달여서 꿀을 좀 섞어 늘 먹어야 한다[본초].

 

 

 

主熱秇煩渴煮湯飮本草

 

열학(熱瘧)으로 번갈(煩渴)하는데 달여서 마신다[본초].

 

 

治不眠作茶飮令得睡本草

 

불면(不眠)을 치()하는데 차를 만들어 먹으면 잠이 온다[본초].

 

 

 

白梅

 

백매(白梅)

 

 

性煖味酸無毒

 

()은 난()하고 미()는 산()하며 무독(無毒)하다.

 

 

主金瘡止血點獻蝕惡肉除痰唾

금창(金瘡)에 주효(主效)하며, 지혈(止血)하고 흑지(黑痣), 악육(惡肉)을 식()하고 담타(痰唾)를 제거(除去)한다.

 

 

 

水浸爲醋和羹篰燜中好本草


수침(水浸)하여 초()와 화()하여 국이나 김치에 넣으면 좋다[본초].

 

 

매엽(梅葉)

 

 

濃煎湯治休息痢及囍亂本草

 

 

농전(濃煎)하여 휴식리(休息痢) 및 곽란(霍亂)을 치()한다.[본초].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