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간(射幹)[본경/동의보감]

2022. 12. 22. 02:08[신농본초경]/하경(下經)

사간(射幹)[본경/동의보감]

 

 

 

범부채/사간(射幹)

 

범부채

 

이명 : [사간]

학명 : Belamcanda chinensis (L.) DC.

분류군 : Iridaceae(붓꽃과)

일명 : 檜扇ヒオウギ(Hi-ogi)

영명 : Blackberry Lily, Leopard Flower

漢名 : 篇竹(편죽 ; 책 편, 대 죽)

 

藥名 : 射幹(사간 ; 쏠 사, 방패 간)

 

잎은 호생하고 좌우로 납작하며 2줄로 부채살 모양으로 퍼져서 자라고 녹색 바탕에 약간 분백색이 돌며 길이 30-50cm, 나비 2-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서로 감싸고 있다.

열매

삭과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3cm 정도이고 종자는 검은색에 윤기가 난다.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5-6cm로서 수평으로 퍼지고 황적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이 1-2회 갈라져서 한군데에 몇개의 꽃이 달리고 밑 부분에 4-5개의 포가 있다. 포는 좁은 난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1cm 정도로서 막질이며 소화경은 길이 1-4cm이다. 화피열편은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꽃밥은 길이 1정도이다. 자방은 3실이다.

줄기

근경은 짧고 옆으로 뻗는다.

뿌리

근경은 짧고 옆으로 뻗으며 황색의 많은 수염뿌리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베트남 / 한국(전국의 산지; 인천시 옹진군)

형태

근경을 가진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크기

높이 50-100cm.

희귀, 특산식물 정보

[취약종]

평가내용:취약종 / 국가단위

 

 

 

생육환경

산지에서 자란다.

일반적으로 토질은 가리지 않는 편이나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더 잘 자란다.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란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번식방법

실생 또는 분주로 번식한다.

/번식방법

보통으로 관수 관리한다. 환경 내성이 강하며, 이식도 용이하다.

이용방안

관상용으로 화단에 심는다.

근경을 射幹(사간)이라 하며 약용한다.

 

, 가을에 채취하여 줄기와 細根(세근)을 제거하고 반쯤 말려서 수염부리를 불에 태우고 다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근경에는 belamcandin, iridin, tectoridin, tectorigenin이 함유되어 있고 꽃과 잎에는 mangifrein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降火(강화), 解毒(해독), 散血(산혈), 消痰(소담)의 효능이 있다. 喉痺咽痛(후비인통). 咳逆上氣(해역상기), 痰涎壅盛(담연옹성), 누력결핵, 棲母(학모), 婦女經閉(부녀경폐-무월경), 癰腫瘡毒(옹종창독)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2.5-4.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散劑(산제)로 또는 생즙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목안에 吹喉(취후)하거나 고루 바른다.

보호방안

해안에 인접한 산야지에 자생지가 있으나 산업화로 인하여 훼손되고, 꽃이 아름다워 남획이 심해 자생지가 많이 남아 있지 않다.

 

 

 

 

 

 

 

 

학명 Belamcanda chinensis (L.) DC.

Lil. 3 : 121 (1807)

1. Belamcanda punctata Moench

Meth. Pl. 529 (1794)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Gemnigia chinensis (L.) Kuntze

Nom. Pl. Jap. 362 (Honda, 195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Ixia chinensis L.

Sp. pl. : 36 (1753)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4. Moraea chinensis Murr

Fl. jap. 2 : 34 (Thunb., 178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Pardanthus chinensis KerGawl.

Ann. Bot. 1 : 247 (Koenig & Sims, 1805)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국명 범부채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사간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영문명 : Blackberry Lily, Leopard Flower

일본명 : ヒオウギ

북한명 : 범부채

 

Belamcanda chinensis [DC.]

Liliac. (Redouté) iii. t. 121.

iii. t. 121 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사간(射幹)

Belamcanda chinensis (Linn.) DC.

 

이명(異名)

 

Ixia chinensis L.

Pardanthus chinensis (L.) Ker Gawl.

Belamcanda chinensis var. taiwanensis S. S. Ying

Belamcanda pampaninii H. Lév.

Belamcanda punctata Moench

 

 

多年生草本根狀莖橫走略呈結節狀外皮鮮黃色2嵌迭狀排列寬劍形扁平長達60厘米寬達4厘米莖直立40-120厘米傘房花序頂生排成二歧狀苞片膜質卵圓形花桔黃色2-3厘米花被片6基部合生成短筒外輪的長倒卵形或橢圓形開展散生暗紅色斑點內輪的與外輪的相似而稍小雄蕊3著生於花被基部花柱棒狀頂端3淺裂被短柔毛蒴果倒卵圓形2.5-3.5厘米室背開裂果瓣向後彎曲種子多數近球形黑色有光澤

 

廣布於全國各省區朝鮮日本蘇聯印度也有

 

多生於幹山坡草地溝穀及灘地根狀莖藥用能清熱解毒等

 

 

^^^^^^^^^^^^^^^^^^^^^^^^^^^^^^^^^^^^^^^^^^^^^^^^^^^^^^^^^^^^^^^^^^^^^^^^^^^

射幹

 

味苦平

 

主欬逆上氣喉痺咽痛不得消息散急氣腹中邪逆食飲大熱一名烏扇一名烏蒲生川穀

 

吳普射幹一名黃遠也(《禦覽》)。

名醫一名烏痓翣一名烏吹一名草薑生南陽田野三月三日採根陰乾

廣雅鳶尾烏萐射幹也。《荀子勸學篇雲西方有木焉名曰射幹莖長四寸。《範子計然射幹根如□□□安定

 

 

[本經/下經]

 

 

^^^^^^^^^^^^^^^^^^^^^^^^^^^^^^^^^^^^^^^^^^^^^^^^^^^^^^^^^^^^^^^^^^^^^^^^^^^

 

 

射幹

 

사간(射幹)

 

 

범부체性平味苦有小毒

 

()은 평()하고 미()는 고()하며, 소독(小毒)이 있다.

 

 

主喉痺咽痛水漿不入療老血在心脾間咳唾言語氣臭除積痰消結核

 

후비인통(喉痹咽痛)의 수장불입(水漿不入)에 주효(主效)하다. 노혈(老血)이 심(), 비간(脾間)dpl 있어 해타(咳唾)하고, 말을 할 때 구기(口氣)의 취()한 것을 치료(治療)하며, 적담(積痰)을 제()하고 결핵(結核)을 소()한다.

 


處處有之葉狹長橫張疎如翅羽狀故一名烏扇根多鬚皮黃黑肉黃赤三月九月採根日乾厹浸用之本草

 

처처(處處)에 있다.()은 좁고 길며 옆으로 퍼져 새의 날개를 펴 놓은 모양과 같기 때문에 일명 오선(烏扇)이라고도 한다. 뿌리에 잔털이 많고 피()는 황흑색(黃黑色)이고, ()은 황적색(黃赤色)으로 삼월(三月), 구월(九月)에 채근(採根)하여 일건(一件)하고 미감수(米泔水)에 담갔다가 사용(使用)한다.[본초].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