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6. 17:38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구귤(枸橘)[본초강목]
탱자나무/구귤(枸橘)
탱자나무
학명: Poncirus trifoliata Raf.
분류군: Rutaceae(운향과)
일어: カラタチ
영문: Trifoliate Orange, Hardy Orange
잎
잎은 호생하고 삼출엽이며 엽병에 날개가 약간 있다. 소엽은 혁질이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로서 둔두 또는 미요두이며 예저이고 둔한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2.5cm정도이고 잎 표면에 투명점이 있다.
열매
장과는 둥글고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며 지름 3cm로서 향기가 좋으나 먹을 수 없고 9-10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1-1.3cm쯤 된다. 어린 가지는 약간 편평하고 녹색이다.
꽃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3.5-5cm로서 정생 또는 액생하고 1개 또는 2개씩 달리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5개가 이생하고 꽃잎은 길이 1.5cm정도이며 개출한다. 수술은 20개이고 털은 없으며 자방은 8-10실로 나뉘고 밀모가 있다.
줄기
가지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3-5㎝정도의 굳센 가시가 호생한다.
가시와 가지가 녹색이므로 다른 식물과 쉽게 구별된다.
원산지
중국 중부 지방이 원산
분포
경기 이남 표고 700m 이하의 따뜻한 지역에서 식재하고 있다.
형태
낙엽활엽관목
크기
높이가 3-5m 정도 자란다.
생육환경
내한성이 강한 편이고 토성을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양수(陽樹)이다. 토양은 비옥하고 물이 잘 빠지는 곳이 좋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꽃/번식방법
▶번식은 실생으로 한다.
ⓐ종자채취를 하여 직파하거나 습기있는 모래와 섞어 두었다가 파종한다.
ⓑ발아율은 매우 높아서 95%인데, 종자저장시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육성된 묘목은 귤나무의 대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재배특성
이식이 쉽고 전정을 하여 수형을 다듬어 줄 수 있다.
파종기
10월,11월
결실기
9월
이용방안
▶줄기에 매우 강한 가시가 나 있어 방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과수원 생울타리로 최적합한 수종이며, 차폐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묘목은 밀감나무류의 접목용 대목으로 사용한다.
▶미성숙 과실은 枸橘(구귤), 根皮는 枳根皮(지근피), 수피의 小片(소편)은 枳茹(지여), 가시는 枸橘刺(구귤자), 잎은 枸橘葉(구귤엽), 성숙 직전의 과실은 枳殼(지각), 종자는 枸橘核(구귤핵)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枸橘(구귤) - 疏肝(소간), 和胃(화위), 理氣(이기),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胸腹脹滿(흉복창만), 胃痛(위통), 疝氣(산기), 乳房結核(유방결핵), 子宮下垂(자궁하수), 타박상을 치료하고 酒毒(주독)을 해독한다.
⑵枳根皮(지근피) - 齒痛(치통), 치질, 혈변을 치료하고 뿌리를 술에 담갔다 달인 즙을 입안에 머금고 있으면 치통을 다스릴 수 있다.
⑶枳茹(지여) - 탱자나무의 枝莖(지경) 및 피(皮)는 水脹(수창), 異風(이풍), 骨筋疼痛(골근동통)을 치료한다.
⑷枸橘刺(구귤자) - 風蟲齒痛(풍충치통)에 구귤자의 달인 액을 머금고 있다가 뱉아낸다.
⑸枸橘葉(구귤엽) - 理氣(이기), 祛風(거풍), 消毒(소독),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⑹枳殼(지각) - 破棄(파기), 行痰(행담), 消積(소적),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胸膈痰滯(흉격담체), 胸痺(흉비), 脇脹(협창), 食積(식적), 噫氣(희기), 嘔吐(구토), 下痢後重(하리후중), 脫肛(탈항), 子宮脫垂(자궁탈수)를 치료한다.
⑺枸橘核(구귤핵) - 腸風下血不止(장풍하혈부지)에 구귤핵, 樗根白皮(저근백피) 각 等量(등량)을 볶아서 가루 내어 1회 3g씩 莢子(급협자)를 달인 액으로 調服(조복)한다.
병충해정보
▶병충해 : 탄저병, 그을음병, 흑반병, 깍지벌레.
학명 Poncirus trifoliata Raf.
Sylva. tellur. 143 (1838)
1. Citrus trifoliata L.
Sp. Pl., (ed. 2) 2 : 1101 (1763)
국명 탱자나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영문명 : Trifoliate Orange, Hardy Orange
일본명 : カラタチ
북한명 : 탱자나무
Poncirus trifoliata ( L. ) Raf.
Sylva Tellur. 143. 1838 [Oct-Dec 1838]
143 1838
Links:
basionym:Rutaceae Citrus trifoliata L. Sp. Pl., ed. 2. 2: 1101. 1763 [Jul-Aug 1763]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지(枳)
Poncirus trifoliata (Linn.) Raf.
이명(異名)
Poncirus trifoliata (Linn.) Raf.
Citrus trifolia Thunb.
Aegle sepiaria DC.
Bilacus trifoliata (L.) Kuntze Citrus triptera Desf.
Poncirus trifoliata var. monstrosa (T. It?) Swingle
Pseudaegle sepiaria (DC.) Miq.
落葉灌木或小喬木,全株無毛;分枝多,稍扁平,有稜角,密生粗壯棘刺,刺長1-7厘米,基部扁平。3小葉複葉,互生;葉柄長1-3厘米,有翅;小葉紙質或近革質,卵形、橢圓形或倒卵形,長1.5一5厘米,寬1-3厘米,先端圓而微凹缺,基部楔形,具鈍齒或近全緣,近於無毛。花單生或成對腋生,常先葉開放,黃白色,有香氣;萼片5,長5一6毫米;花瓣5,長1.8-3厘米;雄蕊8-20,長短不等。柑果球形,直徑3-5厘米,橙黃色,具茸毛,有香氣。 產我國中部,廣泛栽種作綠籬。果供藥用,能破氣消積,並治脫肛等症,也可提有機酸;種子可榨油;葉、花及果皮可提芳香油。
^^^^^^^^^^^^^^^^^^^^^^^^^^^^^^^^^^^^^^^^^^^^^^^^^^^^^^^^^^^^^^^^^^^^^^^
枸橘
(《綱目》)
【釋名】
臭橘。
【集解】
時珍曰︰枸橘處處有之。樹、葉並與橘同,但幹多刺。三月開白花,青蕊不香。結實大如彈丸,形如枳實而殼薄,不香。人家多收種為藩蘺,亦或收小實,偽充枳實及青橘皮售之,不可不辨。
葉
【氣味】
辛,溫,無毒。
【主治】
下痢膿血後重,同萆薢等分炒存性研,每茶調二錢服。又治喉瘻,消腫導毒(時珍)。
下利膿血(하리농혈), 後重(후중)에는 萆薢(비해)와 等分(등분)을 炒(초)하여 性(성)을 남겨 硏末(연말)하고, 二錢(이전)을 차로 調和(조화)하여 服用(복용)한다. 또한 喉瘻(후루)를 治(치)하고, 消腫(소종)하며, 導毒(도독)한다.
【附方】
新一。
咽喉怪症︰咽喉生瘡,層層如疊,不痛,日久有竅出臭氣,廢飲食。用臭橘葉煎湯連服,必愈。(夏子益《奇病方》)
刺
【主治】
風蟲牙痛,每以一合煎汁含之(時珍)。
風蟲牙痛(풍충아통)에는 一合(일합)씩을 煎汁(전즙)하여 含(함)한다.
橘核
【主治】
腸風下血不止。同樗根白皮等分炒研,每服一錢,皂莢子煎湯調服(時珍)。
腸風下血(장풍하혈)이 멎지 않는 경우에는 樗根白皮(저근백피)와 等分(등분)을 炒硏(초연)하여 每服(매복) 一錢(일전)을 皂莢子(조협자)의 煎湯(전탕)으로 調服(조복)한다.
【附方】
新一。
白疹瘙癢遍身者︰小枸橘細切,麥麩炒黃為末。每服二錢,酒浸少時,飲酒。初以枸橘煎湯洗患處。(《救急方》)
樹皮
【主治】
中風強直,不得屈伸。細切一升,酒二升,浸一宿。每日溫服半升。酒盡再作(時珍)。
中風強直(중풍강직)으로 屈身不能(굴신불능)인 경우에는 細切(세절)하여 一升(일승)을 술 二升(이승)에다 하룻밤 浸(침)한 다음 매일 半升(반승)씩을 溫服(온복)한다. 술이 盡(진)하면 다시 만든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자피(橙子皮)[본초강목] (0) | 2022.07.16 |
---|---|
대산(大蒜)[본초강목] (0) | 2022.07.06 |
맥문동(麥門冬)[본초강목] (0) | 2022.06.27 |
향연(香櫞)[본초강목] (0) | 2022.06.27 |
건칠(乾漆)[본초강목] (0)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