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6. 27. 16:46ㆍ[신농본초경]/상경(上經)
황백(黃柏)[본경/동의보감]
황벽나무/황백(黃柏)
황벽나무
이명:[황경피나무] [황경나무] [황병피나무]
학명; Phellodendron amurense Rupr.
분류군: Rutaceae(운향과)
일어: アムルキハダ
영문: Amur Corktree
잎
잎은 대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5-13개이며 피침상 난형 또는 난형이고 미상(尾狀) 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5-10㎝, 넓이 3-5㎝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고 진녹색이며, 뒷면은 백색이고 엽맥 기부에 털이 약간 있다.
열매
핵과는 둥글고 7-10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겨울 동안 나무에 그대로 달려 있고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꽃
원추화서는 잔털이 있으며 지름 5-7cm이고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가지 끝에 모여 황록색으로 피며 길이 6mm로서 소화경이 짧고 화피는 5-8개이다. 꽃받침열편은 짧으며 꽃잎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 밑부분과 더불어 내면에 털이 있고 자방은 5실이다.
줄기
가지는 굵고 사방으로 퍼지며, 수피는 연한 회색으로 코르크질이 잘 발달하여 깊이 갈라지고 내피는 황색이다. 내피를 건위제로 이용하고 황벽이란 이름은 황색 내피에서 온 것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과 일본, 우수리, 아모루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표고 1,300m이하에서 자생한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 원개형
크기
수고 10m 정도
학명 Phellodendron amurense Rupr.
Bull. Cl. Phys.-Math. Acad. Sci. Saint.-Petersbourg 15 : 353 (1856)
국명 황벽나무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황경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황경피나무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황병피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영문명 : Amur Corktree
일본명 : アムルキハダ
북한명 : 황경피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Rupr.
Bull. Phys.-Math. Acad. Petersb. xv. (1857) 353.
xv. (1857) 353 0
Original Data:
Notes: Reg. Amu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황벽(黃蘗)
Phellodendron amurense Rupr.
異名(이명)
Phellodendron wilsonii Hayata et Kaneh.
Phellodendron japonicum Maxim.
Phellodendron nikkomontanum Makino
Phellodendron amurense var. sachalinerse F. Schmidt
Phellodendron lavallei Dode
Phellodendron insulare Nakai
Phellodendron molle Nakai
Phellodendron amurense var. angustifolium E. Woy.
Phellodendron amurense var. latifolium E. Worf.
Phellodendron piriforme E. Worf.
Phellodendron kodamanum Makino
Phellodendron sachalinense var. suberosum H. Haro
落葉喬木,高10-15米,胸徑約50厘米,枝廣展;樹皮淺灰或灰褐色,有深溝裂,木栓質很發達,內皮鮮黃色;小枝棕褐色,無毛。單數羽狀複葉對生;小葉5-13,卵狀披針形至卵形,長5-12厘米,寬3-4.5厘米,頂端長漸尖,基部寬楔形,邊有細鈍鋸齒,有緣毛,下面中脈基部有長柔毛。花小,5數,雌雄異株,排成頂生聚傘狀圓錐花序;雄花的雄蕊較花瓣長,花絲線形,基部被毛,退化雄蕊小;雌花退化雄蕊鱗片狀,子房有短柄。果爲漿果狀核果,黑色,有特殊香氣與苦味。
分布於東北、華北;朝鮮,蘇聯,日本也有。
多生雜木林中。樹皮藥用,能清熱瀉火、燥濕解毒;木栓層可作軟木塞,內皮可作染料。
&&&&&&&&&&&&&&&&&&&&&&&&&&&&&&&&&&&&&&&&&&&&&&&
천황벽(川黃檗)/황백(黃柏)
천황벽(川黃檗)
Phellodendron chinense Schneid.
異名(이명)
Phellodendron chinense var. glabriusculum Schneid.
Phellodendron sinense Dode
Phellodendron chinense var. falcatum C. C. Huang
Phellodendron amurense var. wilsonii Chang
Phellodendron chinense var. omeiense C. C. Huang
Phellodendron chinense var. yunnanense C. C. Huang
Phellodendron fargesii Dode
喬木,高10-12米;樹皮暗灰棕色,薄,開裂,無加厚的木栓層,內層黃色,有粘性;小枝紫褐色,粗大,光滑無毛。單數羽狀複葉對生;小葉7-15,矩圓狀披針形至矩圓狀卵形,長9-15厘米,寬3-5厘米,頂端長漸尖,基部寬楔形或圓形,不對稱,上面僅中脈密被短毛,下面全密被長柔毛。花單性,雌雄異株,排成頂生圓錐花序,花序軸密被短毛;萼片5;花瓣5-8;雄花有雄蕊5一6,長於花瓣,退化雌蕊鑽形;雌花有退化雄蕊5-6。果軸及果枝粗大,常密被短毛;漿果狀核果球形,直徑1-1.5厘米,密集,黑色,有核5-6,
分布於四川、雲南及湖北。生雜木林中,也有栽培的。樹皮供藥用;種子可榨油。
Phellodendron chinense C.K.Schneid.
Ill. Handb. Laubholzk. ii. 126 (1907).
ii. 126 (1907). 0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IPNI
^^^^^^^^^^^^^^^^^^^^^^^^^^^^^^^^^^^^^^^^^^^^^^^^^^^^^^^^^^^^^^^^^^^^^^^^
蘗木
味苦寒。
主五藏,腸胃中結熱,黃疸,腸痔,止洩利,女子漏下赤白,陰陽蝕創。一名檀桓。生山穀。
《名醫》曰:生漢中及永昌。
案《說文》雲:蘗,黃木也,蘗木也,《司馬相如賦》有蘗;張揖雲:蘗木可染者;顏師古雲:蘗,黃薜也。
[神農本草經/上經]
^^^^^^^^^^^^^^^^^^^^^^^^^^^^^^^^^^^^^^^^^^^^^^^^^^^^^^^^^^^^^^^^^^^^^^^^
黃蘗
황벽(黃蘗)
황벽나모겁질性寒味苦無毒
성(性)은 한(寒)하고 미(味)는 고(苦)하며 무독(無毒)하다.
主五藏腸胃中結熱黃疸腸痔療泄痢女子漏下赤白陰蝕瘡殺疳盤疥癬治目熱赤痛口瘡除骨蒸勞熱
오장(五臟), 장(腸), 위중(胃中)의 결열(結熱), 황달(黃疸), 장치(腸痔)에 주효(主效)하다. 여자(女子)의 누하적백(漏下赤白), 음상식창(陰傷蝕瘡)을 요(療)하며, 감충(疳蟲)을 살(殺)하고, 개선(疥癬), 목열적통(目熱赤痛), 구창(口瘡)을 치(治)하며 골증로열(骨蒸勞熱)을 제거(除去)한다.
生山中處處有之五月六月採皮去皺㵋暴乾《本草》
산의 곳곳에서 난다. 오월(五月), 유월(六月)에 채피(採皮)하여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폭건(暴乾)한다.[본초].
俗名黃栢鮮黃色厚者佳足少陰手厥陰本經藥足太陽引經藥也又瀉膀胱火亦治龍火有瀉火補陰之功《丹心》
속명(俗名) 황백(黃柏)이다. 선황색(鮮黃色)으로 후(厚)한 것이 좋다. 족소음(足少陰), 수궐음(手厥陰)의 본경약(本經藥)이며 족태양(足太陽)의 인경약(引經藥)이다. 또한 방광(膀胱)의 화(火)를 사(瀉)하고 용화(龍火)도 사(瀉)한다. 화(火)를 사(瀉)하고 음(陰)을 보(補)하는 공(功)이 있다[단심].
銅刀刮去㵋皮蜜水浸半日取出灸乾用又雲入下部鹽酒炒火盛者童便浸蒸《入門》
동도(銅刀)로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밀수(蜜水)에 반일(半日) 담갔다가 꺼낸 다음 구워 말려 쓴다. 또한 약 기운을 아래로 내려가게 하려면 소금을 푼 술에 축여 볶아서 쓰고 화가 성한 때에는 동변에 담갔다가 쪄서 쓴다[입문].
銅刀切片蜜炒酒炒人乳汁炒童便炒或生用大治陰虛《回春》
동도(銅刀)로 절편(切片)하여 밀초(蜜炒), 주초(酒炒), 인유즙초(人乳汁炒), 동변초(童便炒)하거나 생용(生用)한다. 음허(陰虛)를 대치(大治)한다. [회춘].
根
황벽근(黃蘗根)
名檀桓主心腹百病久服輕身延年《本草》
이름을 단환(檀桓)이라 한다. 심복(心腹)의 백병(百病)을 치(治)한다. 구복(久服)하면, 경신연년(輕身延年)한다.[본초].
[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상경(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피(陳皮) 청피(靑皮)[본경/동의보감] (0) | 2022.07.06 |
---|---|
맥문동(麥門冬)[본경/동의보감] (0) | 2022.06.27 |
옥죽(玉竹)[본경] (0) | 2022.06.09 |
건칠(乾漆)[본경/동의보감] (0) | 2022.06.08 |
오미자(五味子)[본경/동의보감]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