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6. 18:04ㆍ[신농본초경]/상경(上經)
진피(陳皮) 청피(靑皮)[본경/동의보감]
귤
이명:[귤나무] [밀감나무] [참귤나무]
학명:Citrus unshiu S.Marcov.
분류군:Rutaceae(운향과)
일명:ミカン(Mikan)
영명:Unshiu Orange, Satsuma Orange, Mandarin Orange
漢名:柑子木(감자나무 감, 아들 자, 나무 목)
잎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5~7cm, 넓이 5㎝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엽병의 날개가 있거나 없다.
열매
열매는 편구형이며 지름 3-4cm로서 10월에 등황색 또는 황적색으로 익고 과피는 과육과 잘 떨어지며 중심부가 비어 있고 9-10개의 실로 구분되어 있다. 외피가 평활하며 윤채가 있다. 열매를 식용으로 한다. 과피(果皮)를 진피(陣皮)라고 한다. 대개 종자가 없다.
꽃
꽃은 백색으로 6월에 피고 액출(腋出)하며 단립(單立)하고 꽃의 길이는 2㎝로 소형이며 짙은 향기가 있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이며 수술은 20개 정도이고 암술은 1개이다.
줄기
줄기는 곧추서지만 가지가 많으며 수피는 갈색이고 잘게 갈라진다.
가지에 가시가 없다.
원산지
일본 원산
분포
제주도에서 재배한다.
형태
상록 활엽 소교목
크기
높이 5m에 달한다.
생육 환경
내조성은 강하나 바람이 부는 곳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며 토심이 깊고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는 양수이다.
광선
양생
내한성
약함
토양
비옥
꽃/번식방법
종자, 삽목에 의한다. 탱자나무를 대목으로 하여 접목재배한다.
결실기
10월
유사종
▶당귤나무(C. sinensis Osbeck): 귤과 비슷하지만 잎이 타원형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열매가 원형이거나 난형이고 중심부가 충실하며 제주도에서 재배한다.
▶광귤나무(C. aurantium L var. daidai Mak.)
▶홍귤나무(C. deliciosa)
▶유자나무(C. junos)
▶여름귤나무(C. natsudaidai)
학명 Citrus unshiu S.Marcov.
Izves. Scoh. Obl. Sukh. Sadov. Opyt. Stant. 2 : (1921)
국명 귤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1. 귤나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밀감나무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참귤나무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영문명 : Unishiu Orange, Satsuma Orange, Mandarin Orange
일본명 : ミカン
Citrus unshiu ( Swingle ) Marcow.
in Isev. Soch. Obl. Sukh. Sadov. Sel. Opyt. Stant. No. 2: 5. 1921 ; Tanaka in Mem. Tanaka Citrus Exper. Stat. i. No. 1, 28 (1927)
No. 2: 5 1921
Links:
basionym:Rutaceae Citrus nobilis Lour. var. unshiu Swingle Stand. Cycl. Hort. 2: 784. 1914
basionym of:Rutaceae Citrus reticulata Blanco subsp. unshiu D.Rivera, Obón, S.Ríos, Selma, F.Méndez, Verde & F.Cano Varied. Tradic. Frutales Río Segura Cat. Etnobot. Cítricos 181. 1998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온주밀감(溫州蜜柑)
Citrus reticulata 'Unshiu'
이명(異名)
Citrus unshiu Marc.
Sinocitrus unshiu (Marc.) Tseng
葉片質地較厚,墨綠色,葉緣具明顯的圓或鈍裂齒,頂端凹口亦明顯,中脈在葉面明顯凸起,側脈通常在葉面亦微凸起,與黃岩早橘及本地早的葉最近似,但葉柄較長且略粗壯,通常長1.5—2厘米。個別品種的則長1厘米以內。花大;花瓣長可達3厘米,寬達8毫米,也有長約1.5厘米的;花萼裂片長3—4毫米;柱頭與子房略窄;花梗通常粗而長。長可達1.2厘米。果扁圓形,大小不一,重量差異也較大,橙黃至橙紅色,油胞大,凸起,果心空,孤囊8—12瓣,瓢壁稍厚,果肉嫩,質脆,甜酸適度,通常無種子。果期10月上旬至12月。
&&&&&&&&&&&&&&&&&&&&&&&&&&&&&&&&&&&&&&&&&&&&&&&&&&&&&&&&&&&&
감귤(柑橘) /청피(青皮)
Citrus reticulata Blanco 감귤(柑橘)
이명(異名)
Citrus nobilis Lour.
Citrus madurensis Lour.
Citrus deliciosa Ten.
Citrus reticulata var. austera Swingle
Citrus chrysocarpa Lush.
Citrus depressa Hayata
Citrus himekitsu Yu.Tanaka
Citrus madurensis var. deliciosa (Ten.) Sagot
Citrus nippokoreana Yu.Tanaka
Citrus nobilis var. koozi Sisb.
Citrus nobilis var. major Ker Gawl.
Citrus nobilis var. ponki Hayata
Citrus nobilis var. poonensis Hayata
Citrus nobilis var. spontanea Ito
Citrus nobilis var. sunki Hayata
Citrus nobilis var. tachibana (Makino) Ito
Citrus nobilis var. unshiu (Marcow.) Yu.Tanaka ex Swingle
Citrus nobilis var. vangasy (Bojer) Guillaumin
Citrus otachihana Yu.Tanaka
Citrus ponki Yu.Tanaka
Citrus reticulata var. chrysocarpa (Lush.) Tanaka
Citrus suhuiensis Hayata
Citrus sunki Yu.Tanaka
Citrus vangasay Bojer
Citrus vangasy Bojer
常綠小喬木或灌木,高約3米;枝柔弱,通常有刺。葉互生,革質,披針形至卵狀披針形,長5.5-8厘米,寬2.9-4厘米,頂端漸尖,基部楔形,全緣或具細鈍齒;葉柄細長,翅不明顯。花小,黃白色,單生或簇生於葉腋;萼片5;花瓣5;雄蕊18-24,花絲常3-5枚合生;子房9-15室。柑果扁球形,直徑5-7厘米,橙黃色或淡紅黃色,果皮疏松,肉瓤極易分離。
長江以南各省區廣泛栽培。爲我國著名果品之一;果皮即“陳皮”,爲理氣化痰、和胃藥;核仁及葉能活血散結、消腫;種子油可制肥皂、潤滑油。
Citrus reticulata Blanco
Fl. Filip. [F.M. Blanco] 610. 1837
610 1837
출처:IPNI
^^^^^^^^^^^^^^^^^^^^^^^^^^^^^^^^^^^^^^^^^^^^^^^^^^^^^^^^^^^^^^^^^^
橘柚
味辛溫。
主胸中瘕熱逆氣,利水穀。久服,去臭下氣通神,一名橘皮。生川穀。(舊在果部,非)
《名醫》曰:生南山,江南,十月採。
案《說文》雲:橘果出江南,柚條也。似橙而酢。《爾雅》雲:柚條。郭璞雲:似橙實酢,生江南。禹貢雲:厥包橘柚。偽孔雲:大曰橘,小曰柚。列子湯問篇雲:吳楚之國有木焉,其名為,碧樹而冬生,實丹而
味酸,食其皮汁,已憤厥之疾,《司馬相如賦》,有橘柚。張揖曰:柚,即橙也。似橘而大,味酢皮厚。
[神農本草經/上經]
^^^^^^^^^^^^^^^^^^^^^^^^^^^^^^^^^^^^^^^^^^^^^^^^^^^^^^^^^^^^^^^^^^
橘皮
귤피(橘皮)
동뎡귤性溫(一雲煖)味苦辛無毒
성(性)은 온(溫)하고 <(일운(一雲)난(煖)>미(味)는 고(苦), 신(辛)하며 무독(無毒)하다.
能治胸膈間氣開胃止痢消痰涎主上氣咳嗽止嘔槊利水穀道
흉격(胸膈)간(間)의 기충(氣衝)을 치(治)하고 개위(開胃), 지리(止痢)하며 담연(痰涎)을 소(消)한다. 상기해수(上氣咳嗽)데 주효(主效)하며, 구역(嘔逆)을 멎게 하고 수곡(水穀)의 도(道)를 이(利)한다.
木高一二丈葉與枳無別刺生莖間夏初生白花六七月而成實至冬黃熟乃可啖十月採以陳者爲良生南方《本草》
나무의 높이는 일(一)~이장(二丈)이며 엽(葉)은 지(枳)와 같고 가시가 줄기 사이에 돋아 있으며 초여름에 흰 꽃이 핀다. 육(六)~칠월(七月)에 열매가 열리고 겨울에 노랗게 익으므로 먹을 수 있다. 열매는 십월(十月)에 따는데 껍질은 묵은 것이 좋다. 이 열매는 남방에서 난다[본초].
我國惟産濟州其靑橘柚子柑子皆産焉《俗方》
우리나라에서는 오직 제주도에서만 난다. 제주도에서는 청귤, 유자, 감자 등이 다 난다[속방].
補脾胃不去白若理胸中滯氣須去白色紅故名紅皮日久者佳故名陳皮
비위(脾胃)를 보하려면 흰 속을 긁어 버리지 말아야 한다. 만일 가슴에 막힌 기를 치료하려면 흰 속을 긁어 버리고 써야 한다. 그 빛이 벌겋기 때문에 홍피(紅皮)라고 한다. 오래된 것이 좋은데 이것을 진피(陳皮)라고 한다.
留白者補胃和中去白者消痰泄氣
흰 속이 그대로 있는 것은 위(胃)를 보하고 속을 편안하게 한다. 흰 속을 버린 것은 담을 삭히고 체기를 푼다.
有白朮則補脾胃無白朮則瀉脾胃有甘草則補肺無甘草則瀉肺《丹心》
백출(白術/큰꽃삽주)와 함께 쓰면 비위를 보하고 백출(白術/큰꽃삽주)와 함께 쓰지 않으면 비위를 사(瀉)한다. 감초와 함께 쓰면 폐를 보하고 감초와 함께 쓰지 않으면 폐를 사한다[단심].
入下焦用檁水浸肺燥者童尿浸望用《入門》
약 기운이 하초(下焦)에 들어가게 하려면 소금물에 담갔다가 쓰고 폐가 건조하면 동변(東邊)에 침(浸)하여 망건(望乾)하여 용(用)한다.[입문].
@肉
귤육(橘肉)
性冷味甘酸
성(性)이 랭(冷)하고 미(味)는 감(甘), 산(酸)하다.
止消渴開胃卽橘之榺也不可多食令人多痰
소갈(消渴)을 멎게 하고, 개위(開胃)하며 귤 속을 많이 먹으면 담(痰)이 많아 지므로 다식(多食)하면 안 된다.
酸者聚痰甛者潤肺皮堪入藥肉非宜人《本草》
산(酸)은 취담(聚痰)하고 첨(甛)은 윤폐(潤肺)한다. 껍질은 약으로 쓰지만 귤의 속살은 사람에게 그리 좋지 않다[본초].
@橘囊上筋膜
귤낭상근막(橘囊上筋膜)
治渴及吐酒煎湯飮妙《本草》
갈(渴), 및 토주(吐酒)를 치(治)한다. 초숙(炒熟)하여 전탕(煎湯)하여 음(飮)한다.[본초].
@核
귤핵(橘核)
治腰痛膀胱氣腎冷炒作末酒服良《本草》
신주요통(腎疰腰痛), 방광기통(膀胱氣痛), 신랭(腎冷)에는 초연(初演)하여 일전(一錢)을 온주(溫酒)로 복용(服用)한다.[본초].
@@靑橘皮
청귤피(靑橘皮)
프른귤性溫味苦無毒
성(性)은 온(溫)하고 미(味)는 고(苦)하며, 무독(無毒)하다.
主氣滯下食破積結及膈氣《本草》
기체(氣滯)에 주효(主效)하고 식(食)을 하(下)하며, 적결(積結) 및 격기(膈氣)를 파(破)한다. [본초].
形小而色靑故一名靑皮足厥陰引經藥又入手少陽經氣短者禁用消積定痛醋炒《入門》
생김새가 작고 푸르기 때문에 청피(靑皮)라고 한다. 이것은 족궐음경(足厥陰經)의 인경약(引經藥)이며 또는 수소양경(手少陽經)의 기단(氣短)한 자(者)에게는 금용(禁用)한다. 소적(消積), 정통(定痛)에는 초초(醋炒)하여 용(用)한다.[입문].
陳皮味辛理上氣靑皮味苦理下氣二味俱用散三焦氣也宜去白用《易老》
진피(陳皮)는 미(味)가 신(辛)하여 상기(上氣)를 이(理)하고 청피(青皮)는 미(味)가 고(苦)하여 하기(下氣)를 이(理)한다. 이미(二味) 함께 쓰면 삼초(三焦)의 기(氣)를 산(散)한다. 이때는 흰 속을 버리고 쓴다[역로].
今之靑橘似黃橘而小別是一種耳收之去肉暴乾《本草》
지금의 청귤은 황귤(黃橘)과 비슷하면서도 작은 것이 다른데 이것은 딴 종류일 것이다. 그것을 따서 속살은 버리고 볕에 말린다[본초].
靑皮乃肝膽二經之藥人多怒脇下有鬱積最效《正傳》
청피(青皮)는 간담(肝膽) 이경(二經)의 약(藥)이다. 사람이 다노(多怒)하여 협하(脇下)에 울적(鬱積)이 생긴 데 쓰면 아주 좋다[정전].
葉
청귤엽(靑橘葉)
導胸中逆氣行肝氣乳腫及脇癰用之《入門》
흉중(胸中)의 역기(逆氣)를 인도(引導)하여 순행(循行)하게 하고, 간기(肝氣), 유종(乳腫) 및 협옹(脇癰) 때에 쓴다[입문].
[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상경(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황(蒲黃)[본경/동의보감] (0) | 2022.11.18 |
---|---|
의이인(薏苡仁)[본경/동의보감] (1) | 2022.09.05 |
맥문동(麥門冬)[본경/동의보감] (0) | 2022.06.27 |
황백(黃柏)[본경/동의보감] (0) | 2022.06.27 |
옥죽(玉竹)[본경]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