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6. 8. 21:37ㆍ[약전등]/약전
오배자(五倍子)[약전]
^^^^^^^^^^^^^^^^^^^^^^^^^^^^^^^^^^^^^^^^^^^^^^^^^^^^^^^^^^^^^^^^^^^
오배자(五倍子)
Rhus Galls Rhus Galls
Galla Rhois
이 약은 붉나무 Rhus javanica Linné, 청부양 (靑∃楊) Rhus potaninii Maximowicz 또는 홍부양 (紅∃楊) Rhus punjabensis Stew. var. sinica Rehder et Wilson (옻나무과Anacardiaceae)의 잎 위에 주로 오배자면충 Schlechtendalia chinensis Bell (면충과 Pemphigidae)이 기생하여 만든 벌레집이다. 외형에 따라 두배(肚倍)와 각배 (角倍)로 나뉜다.
성 상두배(肚倍)
이 약은 벌레집으로 긴 원형 또는 방추형의 주머니 모양이고 길이 25~ 90 mm, 지름 15 ~ 40 mm이다. 바깥면은 회갈색이고 약간의 부드러운 털이 있다. 질은 딱딱하면서 무르고 쉽게 부서지며, 횡단면은 각질 모양이고 광택이 있으며 벽의 두께는 2 ~ 3 mm이다. 안쪽 벽은 매끈하고 부드러우며 흑갈색의 진딧물과 가루 모양인 회색의 배설물이 있다.
이 약은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떫다.
각배 (角倍)
이 약은 벌레집으로 마름모꼴이고 고르지 않은 둔각상(鈍角狀)의 분지가 있다. 부드러운 털이 뚜렷하며 벽은 비교적 얇다.
확인시험
이 약의 가루 0.5 g을 달아 물 10 mL로 온침한 여액에 염화철(Ⅲ)시액을 넣을 때 남색을 띤다.
회 분 5.0 % 이하.
저 장 법 밀폐용기.
[대한민국약전(大韓民國藥典)]
^^^^^^^^^^^^^^^^^^^^^^^^^^^^^^^^^^^^^^^^^^^^^^^^^^^^^^^^^^^^^^^^^^^
오배자(五倍子)
영문명(英文名)
GALLA CHINENSIS
별명(別名)
棓子、百藥煎、百蟲倉
래원(來源)
本品爲漆樹科植物鹽膚木Rhus chinensis Mill.、青麩楊Rhus potaninii Maxim. 或紅麩楊Rhus pun-jabensis Stew.var.sinica (Diels)Rehd. et Wils.葉上的蟲癭,主要由五倍子蚜Melaphis chinensis (Bell)Baker寄生而形成。秋季采摘,置沸水中略煮或蒸至表面呈灰色,殺死蚜蟲,取出,幹燥。按外形不同,分爲“肚倍”和“角倍”。
성상(性狀)
肚倍:呈長圓形或紡錘形囊狀,長2.5~9cm,直徑1.5~4cm。表面灰褐色或灰棕色,微有柔毛。質硬而脆,易破碎,斷面角質樣,有光澤,壁厚0.2~0.3cm,內壁平滑,有黑褐色死蚜蟲及灰色粉狀排泄物。氣特異,味澀。
角倍:呈菱形,具不規則的角狀分枝,柔毛較明顯,壁較薄。
감별(鑑別)
取本品粉末0.5g,加甲醇5ml,超聲處理15分鍾,濾過,濾液作爲供試品溶液。另取五倍子對照藥材0.5g,同法制成對照藥材溶液。再取沒食子酸對照品,加甲醇制成每1ml含1mg的溶液,作爲對照品溶液。照薄層色譜法(附錄Ⅵ B)試驗,吸取上述三種溶液各2μl,分別點於同一矽膠GF254薄層板上,以氯仿-甲酸乙酯-甲酸(5:5:1)爲展開劑,展開,取出,晾幹,置紫外光燈(254nm)下檢視。供試品色譜中,在與對照藥材和對照品色譜相應的位置上,分別顯相同顏色的斑點。
함량측정(含量測定)
取本品粉末(過三號篩)約2g[同時另取本品粉末測定水分(附錄Ⅸ H 第一法)],精密稱定,照鞣質含量測定方法(附錄Ⅹ B)測定,即得。
本品按幹燥品計算,含鞣質不得少於50.0%。
포제(炮制)
敲開,除去雜質。
성미(性味)
酸、澀,寒。
귀경(歸經)
歸肺、大腸、腎經。
공능(功能)
렴폐강화(斂肺降火),삽장지사(澁腸止瀉),렴한지혈(斂汗止血),수습렴창(收濕斂瘡)。
주치(主治)
폐허구해(肺虛久咳),폐열(肺熱)담수,구사구리(久瀉久痢),도한(盜汗),소갈(消渴),변혈치혈(便血痔血),외상출혈(外傷出血),옹종창독(癰腫瘡毒),피부습란(皮膚濕爛)。
용법용량(用法用量)
3~6g;外用適量。
저장(貯藏)
置通風幹燥處,防壓。
【적록】 《중국약전(中國藥典)》
'[약전등] > 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칠(乾漆)[약재] (0) | 2022.06.08 |
---|---|
아담자(鴉膽子)[약전] (0) | 2022.06.08 |
오미자[약전] (0) | 2022.05.31 |
여로(旅路)[약전] (0) | 2022.05.23 |
빈랑(檳榔)[약전] (0) | 202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