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체(瓜蒂) 첨과(甛瓜)[본경/동의보감]

2022. 3. 20. 05:18[신농본초경]/상경(上經)

과체(瓜蒂) 첨과(甛瓜)[본경/동의보감]

 

 

 

참외/첨과(甛瓜)

 

참외

 

이명 : [백사과]

학명 : Cucumis melo var. makuwa Makino

분류군 : Cucurbitaceae(박과)

일명 : マクワウリ(Makuwa-uri)

영명 : Oriental melon

漢名 : 瓜帶(오이 과, 띠 대).甛瓜(달 첨, 오이 과) .香瓜(향과)

 

엽액에 덩굴손이 있음. 잎은 호생하며 엽병은 길고 장상으로 얕게 갈라지며 밑부분은 얕은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서 원주상 타원형이고 황록색, 황색 및 그 밖의 여러가지 색으로 익으며 향기가 나고 단맛이 있다.

 

꽃은 일가화로서 6-7월에 피며 단성화이고 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황색이고 암꽃에 하위자방이 있다.

 

줄기

원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붙고 굽은 털이 있다.

 

원산지

인도 원산

 

분포

전국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덩굴성 1년초

 

 

 

 

생육 환경

밭에서 재배한다.

 

이용방안

 

열매는 식용 어린잎은 소의 먹이로 한다.

과실은 甛瓜(첨과), 뿌리는 甛瓜根(첨과근), 줄기는 甛瓜莖(첨과경), 잎은 甛瓜葉(첨과엽), 꽃은 甛瓜花(첨가화), 未熟(미숙)한 과실의 꼭지는 과체, 果皮(과피)甛瓜皮(첨과피), 종자는 甛瓜子(첨과자)라 하며 약용한다.

 

甛瓜(첨과) -

 

성분 : Globulin, 구연산 등의 有機酸(유기산), β-carotene, 비타민B,C 등을 함유한다.

 

약효 : 淸暑熱(청서열), 解煩渴(해번갈), 利尿(이뇨)의 효능이 있다. 風濕(풍습)에 의한 마비와 四肢疼痛(사지동통)을 치료한다.

 

甛瓜根(첨과근) - 달인 ()으로 씻으면 風癩(풍라)를 치료할 수 있다.

 

甛瓜莖(첨과경) - 鼻茸(비용), 鼻閉塞(비폐새)를 치료한다. 月經不通(월경불통)을 치료한다.

 

甛瓜葉(첨과엽) - 잎의 생즙을 내어 바르면 머리카락이 나온다. 粉末(분말)을 술로 복용하면 瘀血(어혈)이 없어지고 소아의 疳氣(감기)가 치료된다. 달인 ()으로 환부를 씻으면 風癩(풍라)가 치료된다.

 

甛瓜花(첨가화) - 心痛(심통), 咳逆(해역)을 치료하고 ()에 붙이면 解毒(해독)한다.

 

과체 -

성분 : 과체에는 elaterin, cucurbitacin B·D, a-spinasterol, cucurbitacin B-2-o-β-d-pyranoglucoside, isocucurbitacin B가 함유되어 있다.

 

약효 : 風痰(풍담), 宿食(숙식)()하게 하며 水濕停飮(수습정음)()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 (), 宿食(숙식), 上腹部閉塞(상복부폐새), 흉중비편, 風痰(풍담), 癲癎(전간), 濕熱黃疸(습열황달), 四肢浮腫(사지부종), 鼻塞(비새), 喉痺(후비-편도선염, 咽喉痛(인후통) )를 치료한다.

 

甛瓜皮(첨과피) - 껍질을 달인 ()을 졸여서 만든 羹劑(갱제)()을 다스리고 煩渴(번갈)을 제거하고 껍질의 浸出液(침출액)齒痛(치통)을 멈추게 한다.

 

甛瓜子(첨과자) -

 

성분 : 脂肪油(지방유)를 함유하고 그 중에는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myristic acidglyceride, lecithin, cholesterol이 들어 있고 또 glbulinglutelin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 galactan, 포도당, 식물고무질, 樹脂(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散結(산결), 消瘀(소어), 淸肺(청폐), 潤腸(윤장)의 효능이 있다. 腹內(복내)結聚(결취-病塊(병괴)), 腸癰(장옹), 咳嗽口渴(해수구갈)을 치료한다.

 

유사종

 

수박: 아프리카 원산.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잎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 깃모양으로 깊에 갈라지고 갈래는 3-4, 녹백색,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오이: 전체에 굵은 털이 있다. 잎은 호생, 잎자루의 길이 8-15cm, 얕게 갈라진 손바닥 모양, 갈래는 끝이 뾰족하고 꺼칠꺼칠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특징

인도산의 야생종에서 개량된 것이라고 한다.

 

 

 

학명 Cucumis melo var. makuwa Makino

J. Jap. Bot. 5-8 : 32 (1928)

1. Cucumis chinensis Pangalo

Bull. App. Bot. & Pl. Breed. 23(3) : 559 (1930)

국명 참외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백사과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영문명 :

일본명 :マクワウリ

북한명 :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참외

 

학명 Cucumis melo L.

 

 

원산지는 인도지역으로 전파된 지역에 따라 동양계 참외와 서양계 멜론으로 분리되어 발달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에 만주를 거쳐 들어온 것으로 여겨진다. 박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식물로 줄기는 털이 있고 여름에 노란 꽃이 자웅으로 피며 열매는 원주상 타원형이다. 동양계 참외는 외피가 백색 내지 황색이고 과육이 백색인 것이 대부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은천(銀泉)참외는 과피는 황금색이고 10개 내외의 은백색 골이 있다. 과육은 두껍고 감미가 있으며 향기가 좋고 육질이 단단하여 저장성이 좋다. 만생종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며, 재배하기 쉽다. 충청남도의 성환 참외는 우리나라의 재래종의 대표 품종으로 과피의 녹색바탕에 개구리 무늬 같이 얼룩이 져있고 울퉁불퉁하다. 과육은 성숙하면 등황색으로 되며 두껍고 유연하며 감미가 많으나 모양과 색깔이 나쁜 것이 결점이다. 참외는 이식이 어렵고 높은 온도와 건조한 기후를 좋아한다. 보통 4~5월에 직파하여 7~8월에 수확하지만 온상재배를 통하여 5~9월까지 수확한다. 과숙한 것은 품질이 저하되므로 숙기를 정확히 판단하여야 한다. 미숙과는 살이 단단하고 향이 좋지 않기 때문에 후숙시키는 정도가 지나치면 겉은 멀쩡하나 속이 곯아서 부패하게 되므로 후숙이 어렵다. 참외에는 단맛과 독특한 향이 있어 과채류의 일종으로 널리 식용되고 있다. 참외에는 탄수화물이 7.3~7.4%로 많고, 카로텐과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고 수박처럼 이뇨작용이 인정되고 있다.

 

출처/식품과학기술대사전,

 

 

 

 

 

 

 

Cucumis melo var. makuwa Makino 異名瓜丁

 

 

첨과(甛瓜)

Cucumis melo Linn.

 

 

 

 

一年生蔓生草本莖被短剛毛

 

卷須不分叉葉柄有短剛毛葉片近圓形或腎形長寬均8-15厘米3-7淺裂兩面有柔毛下面脈上有短剛毛邊緣有鋸齒雌雄同株雄花常數朵簇生雌花單生花萼裂片鑽形花冠黃色裂片卵狀矩圓形急尖長約2厘米雄蕊3藥室S形折曲藥隔頂端引長子房長橢圓形花柱極短柱頭3,靠合果實的形狀顏色因品種而異有香味果皮平滑種子汙白色廣泛栽培於溫帶至熱帶地區我國各地栽培其品種繁多果實變化較大可分爲數個變種而園藝上可歸屬於數個品系其中菜瓜見下頁)、哈密瓜和白蘭瓜也各屬於不同的變種或者品系果實作水果或蔬菜瓜蒂和種子藥用

 

Cucumis melo L.

Sp. Pl. 2: 1011. 1753

2: 1011 1753

Original Data:

Notes: Geront. trop

 

 

 

출처:IPNI

 

^^^^^^^^^^^^^^^^^^^^^^^^^^^^^^^^^^^^^^^^^^^^^^^^^^^^^^^^^^^^^^^^^^

 

瓜蒂

 

味苦寒

 

主大水身面四肝浮腫下水殺蠱毒欬逆上氣及食諸果病在胸腹中皆吐下之生平澤

 

 

名醫生蒿高七月七日採陰乾

說文,(瓜瓜象形瓜當也。《廣雅水芝瓜也陶宏景雲甜瓜蒂也

 

 

[本經/上經]

 

^^^^^^^^^^^^^^^^^^^^^^^^^^^^^^^^^^^^^^^^^^^^^^^^^^^^^^^^^^^^^^^^^^

 

甛瓜

 

첨과(甛瓜)

 

 

쏑외性寒味甘有毒一雲無毒

 

()은 한()하고 미()는 감()하며, 유독(有毒)하다. <일운(一雲)무독(無毒)>

 

 

止渴除煩熱利小便通三焦間壅塞氣兼主口鼻瘡

 

지갈(止渴)하고 번열(煩熱)을 제()하고, 소변(小便)을 이()하고, 삼초(三焦)사이의 옹색(壅塞)한 기()를 소통(疏通)시키며, ()하여 구비창(口鼻瘡)에 주효(主效)하다.

 


處處有之多食則動宿冷病破腹令人腳手無力

 

처처(處處)에 있다. 다식(多食)하면 숙냉(宿冷)을 동()하고, 파복(破腹)하며, 사람의 각(), ()가 무력(無力)하게 한다.

 


有琋癖患腳氣人尤不可食沈水者及兩疵兩鼻拄殺人本草


징벽(癥癖), 각기병(腳氣病)이 있을 때에는 더욱 먹지 말아야 한다. 물에 침()하거나 꼭지와 배꼽이 두개씩인 것은 살인(殺人)한다.[본초].

 

 

 

@瓜疵

 

과체(瓜蔕)

 

 

쏑외고고리性寒味苦有毒

 

()이 한()하고 미()는 고()하며 유독(有毒)하다.

 

 

主通身浮腫下水殺蠱毒去鼻中息肉療黃疸及食諸物過多病在胸中者皆吐下之

 

통신부종(通身浮腫)일 때 수()를 하()한다. 고독(蠱毒)을 살()하고, 비중(鼻中)의 식육(瘜肉)을 거()하며, 황달(黃疸)을 치료(治療)하고, 여러 가지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서 병()이 흉중(胸中)에 있는 경우 모두 토(), ()한다.

 


卽甛瓜疵也一名苦丁香瓜有靑白二種當用靑瓜疵七月得瓜熟氣足其疵自然落在蔓莖上約半寸許採取陰乾掦炒黃色用本草

 

(), 첨과체(甜瓜蒂)이다. 일명(一名) 고정향(苦丁香)이라고도 한다. ()는 청백(淸白) 이종(二種)이 있는데 반드시 청과(靑瓜)의 체()를 사용(使用)한다. 칠월(七月)에 과()의 기()가 충분해지면 그 체()가 절로 떨어져 만상(蔓上)에 있는 약반촌(約半寸) 정도를 잘라서 음건(陰乾)하여 황색(黃色)으로 초()하여 사용(使用)한다.[본초].

 

 

 

@瓜子

 

과자(瓜子)

 

 

主腹內結聚破潰膿血最爲腸胃癰要藥又主婦人月經太過

 

복내(腹內)의 결취(結聚)에 주효(主效)하고, 농혈(膿血)을 파궤(破潰)한다. (), 위옹(胃癰)에 요약(要藥)으로서 가장 좋은 것이다. 또 부인(婦人)의 월경태과(月經太過)에 주효(主效)하다.

 


暴乾搗末三種紙包嚸壓去油用之本草

 

폭건(暴乾)하여 도말(搗末)하여 종이에다 세겹으로 싼 다음 유()를 압거(壓去)한 후 사용(使用)한다.[본초].

 

 

@

 

()

 

 

主無髮取汁塗之本草

 

()이 없는 경우 도즙(搗汁)을 도포(塗布)하면 주효(主效)하다.[본초].

 

 

 

@

 

()

 

 

主心痛咳逆本草

 

심통해역(心痛咳逆)에 주효(主效)하다.[본초].

 

 

 

@野甛瓜

 

야첨과(野甛瓜)

 

 

又名馬剝兒味酸似甛瓜而小治漴膈有功入門

 

마박아(馬剝兒)라고도 하는데 미()는 산()하고 첨과(甜瓜)와 비슷하나 작다. 열격(噎膈)을 치()하는 공()이 있다. [입문].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