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두(烏頭)[본경]

2022. 1. 19. 03:03[신농본초경]/하경(下經)

오두(烏頭)[본경]

 

 

이삭바꽃/초오두(草烏頭)

 

 

 

이삭바꽃

 

학명:Aconitum kusnezoffii Rchb.

분류군: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

일본명:Hosaki-bushi)

 

잎은 호생하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중렬하고 소열편은 끝이 뾰족하며 예리한 톱니가 있다.

 

 

열매

과실은 골돌로 타원형이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어 밖으로 젖혀진다.

 

꽃은 8월에 청색으로 피며 줄기 끝과 위쪽 잎짬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에 잔털이 있다. 꽃잎모양의 꽃받침조각은 5개로 투구모양을 이루고 2개의 꽃잎은 위쪽 꽃받침 속으로 들어가 밀선을 이룬다. 자방은 5개로 털이 거의 없으며 수술은 많고 수술의 하부는 날개처럼 된다.

 

줄기

줄기는 곧추서고 자웅이주이다.

 

원산지

함북

 

분포

함북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이다.

 

크기

높이 1m이다.

 

 

 

 

생육환경

산지의 숲 속

 

 

학명 Aconitum kusnezoffii Rchb.

Ill. sp. Acon. gen. tab. 21. (1823)

1. Aconitum birobidshanicum Vorosch.

Ind. Sem. Inst. Experim. Pl. Offic. URSS 31 (194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Aconitum gibbiferum Rchb.

Ill. sp. Acon. gen. tab. 19. (1823)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284 (Kitag., 1979)

3. Aconitum ningwuense W.T.Wang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Aconitum pulcherrimum Nakai

Rep. 1st. Sci. Exp. Manch. Sect. , Part. : 161 (1935)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284 (Kitag., 1979)

5. Aconitum triphylloides Nakai

Bot. Mag. (Tokyo) 63 : 56 (195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이삭바꽃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초본류) (정태현, 1965)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영문명 :

일본명 :

북한명 : 이삭바꽃

 

 

 

 

Aconitum kusnezoffii Rchb.

Monog. Acon. t. 21.

t. 21 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2.

 

북오두(北乌头)

Aconitum kusnezoffii Reichb.

 

 

이명(异名)

 

Aconitum pulcherrimum Nakai

Aconitum yamatsutae Nakai

Aconitum pulcherrimum var. dissectum (Regel) Nakai

Aconitum triphylloides Nakai

Aconitum pulcherrimum var. tenuisectum (Regel) Nakai

Aconitum kusnezoffii var. yamatutae (Nakai) Kitag.

Aconitum pulcherrimum subsp. luferovii Vorosch.

Aconitum volubile var. pulcherrimum (Nakai) U.C.La

 

 

 

草本块根圆锥形或胡萝卜形2.5-5厘米茎高80-150厘米无毛茎中部叶的叶片五角形9-16厘米10-20厘米3全裂中央裂片菱形渐尖近羽状深裂小裂片三角形上面被微柔毛下面无毛花序常分枝具多数花无毛花梗长1.8-5厘米小苞片条形萼片5紫蓝色外面几无毛上萼片盔形1.5-2.5厘米侧萼片长1.4-1.7厘米花瓣2无毛有长爪距长1-4毫米雄蕊多数心皮4-5无毛蓇葖长1-2厘米种子有膜质翅分布在山西河北内蒙古和东北朝鲜苏联西伯利亚地区也有生于山坡草地或疏林中块根供药用有散风寒湿止痛之效种子含油量约16%供工业用油为有毒植物

 

按省份分布

河北省,河北,东北,北京,内蒙古自治区,,辽宁省,黑龙江省,吉林省,山西省,东三省,青海省,陕西省,河南省,四川省,北京市,山东省

 

 

 

 

&&&&&&&&&&&&&&&&&&&&&&&&&&&&&&&&&&&&&&&&&&&&&&&&&&&&&&&&&&&&

 

 

오두(烏頭)/초오두(草烏頭)

 

 

 

천오

 

 

미나리아재비과의 오두(Aconitum carmichaeli Debeaux:烏頭)의 모근의 덩이뿌리로 만든 약재(한국, 중국). 일본은 공정생약에 수재되지 않았다.

 

 

오두의 자근(子根)을 부자(附子)라고 하고 모근(母根)을 천오라고 한다. .

 

오두는 처음 심었을 때 나는 뿌리이며 까마귀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오두(烏頭)라는 이름이 붙었다. 여기에 붙어 자라는 것이 부자(附子)인데 이는 자식이 어미의 곁에 붙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혀끝을 마비시키며 맛은 맵고 성질은 뜨거우며 독이 있다.[辛熱有毒]

 

천오는 수분을 말리고 발산하여 풍한습 사기를 없애므로 급성류머티즘성다발성관절염, 사지가 오그라들면서 저리고 아픈 증상, 반신불수, 명치와 배가 차면서 아플 때, 부스럼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심장근육수축력증가, 혈압상승, 항염, 진통, 항한랭작용, 면역증강작용, 부신피질흥분작용, 혈당강하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고르지 않은 원추형이나 방추형으로 바깥 면은 회갈색이나 흑갈색을 띠고 위쪽에는 파인 줄기자국과 자근(子根) 및 뿌리가 떨어진 흔적이 있고 가는 가로주름 무늬가 있다. 질은 단단하여 꺾기 어렵다. 이 약의 횡단면은 가루상이고 사부는 갈색, 목부는 유백색에서 회백색을 나타낸다.

 

다른 이름으로 천오두(川烏頭), 즉자(卽子), 오훼(烏喙), 오두(烏頭)가 있다.

 

네이버 백과사전

 

 

오두(乌头)

 

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이명(异名)

 

Aconitum jiulongense W. T. Wang

Aconitum carmichaeli Debx.

Aconitum kusnezoffii var. bodinieri (H. Lév. et Vaniot) Finet et Gagnep.

Aconitum bodinieri H. Lév. et Vaniot

Aconitum lushanense Migo

 

형태특정(形态特征)

 

  多年生草本块根通常23个连生在一起呈圆锥形或卵形母根称乌头旁生侧根称附子外表茶褐色内部乳白色粉状肉质茎高100130厘米叶互生革质卵圆形有柄掌状23回分裂裂片有缺刻立秋后于茎顶端叶腋间开蓝紫色花花冠像盔帽圆锥花序萼片5花瓣2蓇葖果长圆形3个分裂的子房组成种子黄色多而细小花期6-7果熟期7-8

 

 

按省份分布

湖北省,四川省,河南省,陕西省

 

 

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Actes Soc. Linn. Bordeaux 33:87 (1879) (Florule du Tientsin, 61).

33:87 (1879) (Florule du Tientsin, 61) 1879

 

 

 

출처:IPNI

 

 

 

오두(乌头)

 

Caudex obconical, 2--4 cm, 1--1.6 cm in diam. Stem 0.6--1.5(--2) m, branched, apically sparsely retrorse pubescent, with leaves equally arranged along stem. Proximal cauline leaves withered at anthesis; middle ones long petiolate; petiole 1--2.5 cm; leaf blade pentagonal, 6--11 × 9--15 cm, thinly leathery, papery, or herbaceous, abaxially sparsely pubescent or densely pubescent at veins, adaxially sparsely appressed pubescent, base slightly cordate, 3-sect or nearly to base; central segment broadly rhombic, sometimes obovate-rhombic or rhombic; lateral segments unequally 2-parted. Inflorescence terminal, 6--10(--25) cm, many flowered; rachis and pedicels ± densely retrorse and appressed pubescent, or spreading pubescent; proximal bracts 3-fid, others narrowly ovate to lanceolate. Pedicels 1.5--3(--5.5) cm, with 2 bracteoles at middle or below; bracteoles lanceolate to linear, 3--5(--10) × 0.5--0.8(--2) mm. Sepals blue-purple, abaxially pubescent; lower sepals 1.5--1.7 cm; lateral sepals 1.5--2 cm; upper sepal high galeate, 2--2.6 cm high, 1.7--2.2 cm from base to beak, lower margin slightly concave. Petals glabrous; limb ca. 1.1 cm; lip ca. 6 mm, slightly concave; spur usually circinate, (1--)2--2.5 mm. Stamens glabrous or sparsely pubescent; filaments 2-denticulate, or entire. Carpels 3--5, sparsely or densely pubescent, rarely glabrous. Follicles 1.5--1.8 cm. Seeds 3--3.2 mm. Fl. Sep--Oct. 2n = 32*, 48*, 64*.Forest margins, scrub, grassy slopes, mountains; 100--2200 m. Anhui, Fujian, SE Gansu, N Guangdong, N Guangxi, Guizhou, Hebei, S Henan, W Hubei, Hunan, Jiangsu, Jiangxi, S Liaoning, Nei Mongol, S and SW Shaanxi, Shandong, Shanxi, Sichuan, Yunnan, Zhejiang [N Vietnam].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placement of Aconitum carmichaelii var. angustius W. T. Wang & P. K. Hsiao (in W. T. Wang, Acta Bot. Yunnan. 15: 349. 1993).

 

 

^^^^^^^^^^^^^^^^^^^^^^^^^^^^^^^^^^^^^^^^^^^^^^^^^^^^^^^^^^^^^^^^^^^^^^^^^^^^

 

 

烏頭

 

味辛溫

 

主中風惡風洗洗出汗除寒濕痺欬逆上氣破積聚寒熱其汁煎之名射罔殺禽獸一名奚毒一名即子一名烏喙生山谷

 

吳普烏頭一名莨一名千狄一名毒公一名卑負(《御覽作果負),一名耿子神農雷公桐君黃帝甘有毒正月始生葉厚莖方中空葉四四相當與蒿相似

又云烏喙神農雷公桐君黃帝有毒李氏小寒十月採形如烏頭有兩岐相合如烏之喙名曰烏喙也所畏惡使盡與烏頭同一名萴子一名莨神農岐伯有大毒李氏大寒八月採陰乾是附子角之大者畏惡與附子同。(《御覽》,《大觀本節文

名醫生朗陵正月二月採陰乾長三寸已上為天雄

 

說文烏喙也。《爾雅堇草郭璞云即烏頭也江東呼為堇。《范子計然烏頭出三輔中白者善國語云驪姬置堇於肉韋昭云烏頭也。《淮南子主術訓云莫兇於雞毒高誘云雞毒烏頭也按雞毒即奚毒即子即萴子側子也,《名醫別出側子條

 

 

 

[本經/下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