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28. 18:46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낭유(樃楡)[본초강목]
참느릅나무/낭유피(榔榆皮)
참느릅나무
이명:좀참느릅나무, 둥근참느릅나무, 둥근참느릅, 좀참느릅
학명:Ulmus parvifolia Jacq.
분류군:Ulmaceae(느릅나무과)
일본명:チョウセンアキニレ(Chosen aki nire)
영명:Chinese Elm
잎
잎은 호생하며 두꺼우며 도란상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좌우가 같지 않으며 단거치가 있고 길이 3~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윤채가 있고 측맥은 10~20쌍이다. 엽병은 길이 7㎜이하로서 털이 나 있다. 같은 가지에서 윗쪽의 잎일수록 크다.
열매
열매는 시과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8~11mm로서 털이 없으며 10월에 익고 담갈색이며 종자는 날개 중앙에 있다.
꽃
꽃은 잡성으로 9월에 피며 황갈색이고 수술은 4~5개이며 꽃밥은 자황색이다.
줄기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직립하고 소지에 털이 있으며 수피는 홍갈색으로 두꺼우며 잘게 갈라진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중국 등지에도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표고 50~1,100m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
크기
수고:10m, 직경 70cm.
생육환경
▶습기가 많고 비옥한 계곡이나 하천변, 호숫가 또는 토심이 깊은 평지에서 자란다. 표토가 거의 없는 암석층에서도 자란다.
▶양수이나 반음지에서도 잘 자라고 내한성, 내조성, 내공해성이 강하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꽃/번식방법
▶실생으로 번식한다. 10월 하순경에 종자를 채취, 노천매장하였다가 다음해 봄에 파종한다. 충분히 건조시켜 다음해 봄까지 1-5℃의 저온에 저장하였다가 뿌려도 된다.
파종기
3월,4월
이식기
3월,4월
결실기
10월
삽목기
6월
이용방안
▶재질이 견고하고 무거워 기구재나 가구재, 차량재로 이용되나, 목재는 주로 땔감으로 쓰인다.
▶어린잎과 껍질을 식용으로 한다.
▶광택이 있는 잎과 수형이 아름답고 수피가 독특해 가로수나 공원수로도 이용된다.
▶참느릅나무, 당느릅나무의 수피 또는 根皮(근피)를 낭유피, 莖葉(경엽)은 낭유경엽라 하며 약용한다.
⑴낭유피
①수피 또는 근피를 가을에 채취하여 생것으로 쓰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수피에는 전분, 점액질, tannin, stigmasterol 등의 phytosterol이 함유되어 있고 cellulose 22.3%, hemicellulose 10.56%, lignin 25.17%, pectin 8.0%, 油脂(유지) 7.75%가 함유되어 있다. 목재에는 7-hydroxycadalenal, 3-methoxy-7-hycroxycadalenal, mansonone C, mansonone G, sito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利水(이수), 通淋(통림), 消癰(소옹)의 효능이 있다. 熱淋(열림), 소아해로, 風毒流注(풍독유주), 乳癰(유옹)을 치료한다.
⑵낭유경엽
①경엽을 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②약효 : 瘡腫(창종), 腰背酸痛(요배산통), 齒痛(치통)을 치료한다. 瘡腫(창종)의 未膿(미농)한 것의 치료에는 생엽 적당량을 깨끗이 씻어서 紅糖(홍당) 소량을 가하여 짓?어서 환부에 붙인다. 1일 1회씩 바꿔 붙인다. 腰背酸痛(요배산통)의 치료에는 줄기를 잘게 썬 것 15-30g을 猪脊骨(저척골) 적당량을 물과 술에 각 반으로 달여서 복용한다. 치통의 치료에는 생엽을 달인 물에 醋(초)를 조금 넣어 가지고 양치질을 한다.
보호방안
지속적인 관리와 보호가 필요하다.
유사종
▶둥근참느릅나무(U. coreana for. cycloptera UYEKI) : 열매가 둥글고 길이 7-10mm, 나비 6-9mm이고 계룡산에서 자란다.
▶좀참느릅나무(U. coreana for.lanceolata UYEKI) : 잎이 좁은 피침형이고 전남 백운산, 애도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특징
목재는 황갈색 변재와 적갈색 심재가 뚜렷하게 구별되는 환공재(環孔材)로서 재질이 견고하고 무겁다. 맹아력이 강하다.
학명 Ulmus parvifolia Jacq.
1. Ulmus coreana Nakai
Fl. Sylv. Kor. 19: 33-35 (1932)
2. Ulmus coreana var. cycloptera Nakai
Fl. Sylv. Kor. 19: 35 (1932)
1) Taxonomical study of the Korean Ulmaceae (M.Y.Kim & Lee, 1989)
3. Ulmus coreana var. lanceolata Nakai
Fl. Sylv. Kor. 19: 35 (1932)
1) Taxonomical study of the Korean Ulmaceae (M.Y.Kim & Lee, 1989)
4. Ulmus parvifolia f. cycloptera Uyeki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5. Ulmus parvifolia f. lanceolata Uyeki
6. Ulmus sieboldii var. coreana Nakai
Veget. Chirisan Mts. 30 (1915)
문헌정보
기재문
문헌명 : Pl. hort. schoenbr. 3: 6
국명 참느릅나무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둥근참느릅
2. 둥근참느릅나무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좀참느릅
4. 좀참느릅나무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북한명 참느릅나무
외국명 영문명
Chinese Elm
일본명
チョウセンアキニレ
Ulmus parvifolia Jacq.
Pl. Rar. Hort. Schoenbr. 3: 6, t. 262. 1798
3: 6, t. 262 1798
Type Information
Original Data:
Notes: As. temp
출처: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랑유(榔榆)
Ulmus parvifolia Jacq.
이명(异名)
Planera parvifolia (Jacq.) Sweet
Ulmus campestris var. chinensis Loudon
Ulmus shirasawana Daveau
Ulmus sieboldii Daveau
Ulmus coreana Nakai
Microptelea parvifolia (Jacq.) Spach
Ulmus chinensis Pers.
Ulmus sieboldii f. shirasawana (Daveau) Nakai
落叶乔木。叶革质,椭圆形、卵形或倒卵形,通常长2-5厘米,边缘具单锯齿,上面光滑无毛,下面幼时被毛。花秋季开放,常簇生于当年枝的叶腋;花被裂至基部或近基部。翅果长1-1.2厘米;翅较窄较厚,无毛;种子位于翅果的中部或稍上处;柄细,长3-4毫米。
分布在华北、华东、中南及贵州、四川、西藏;
朝鲜和日本也有。
喜光,适应性强,在酸性土、中性土、钙质土的山坡、平原和溪边均生长良好。茎纤维为造纸、人造棉原料,还可织麻袋;木材坚韧,可作家具、车辆;根皮、嫩叶入药,消肿解毒,治疖肿、牙痛。
^^^^^^^^^^^^^^^^^^^^^^^^^^^^^^^^^^^^^^^^^^^^^^^^^^^^^^^^^^^^^^^^^^^^^^^^
樃楡
(《拾遺》)
【集解】
藏器曰︰朗榆生山中,狀如榆,其皮有滑汁,秋生莢,如
時珍曰︰大榆,二月生莢,朗榆八月生莢,可分別。
皮
【氣味】
甘,寒,無毒。
【主治】
下熱淋,利水道,令人睡(藏器)。
熱淋(열림)을 下(하)하고, 水道(수도)를 通利(통리)하며, 多睡(다수)하게 한다.
治小兒解顱(時珍)。
小兒(소아)의 解顱(해로)를 治(치)한다.
[本草綱目]
*해로(解顱)
어린아이가 일정한 연령기에 접어들어도 신(囟)이 봉합되지 않고 열려 있어 정상적인 아이에 비해 신문(囟門)이 큰 병태. 일반적으로 시상봉합 및 기타 두골의 봉합은 대부분 생후 6개월이 되면 골화된다. 영아가 갓 태어났을 때 전신의 사경(斜徑)은 약 2.5cm로서 생후 12~18개월에 폐합(廢合)되며, 후신은 태어날 때부터 폐합되어 있기도 하고 약간 열려 있기도 한데, 늦어도 생후 2~4개월에는 폐합된다. 폐합이 지연되는 것은 대부분 태품부족(胎稟不足)으로 신기가 선천적으로 휴허(虧虛)하여 뇌수를 충분히 기르지 못한 데서 오는 것이다.
解顱
解顱多由小兒先天不足,腎氣虛弱,不能生髓養骨,骨之生長受阻,或脾骨虛弱、運化失常,清陽不升等引起。常見證型有:
①腎精虧損型解顱。證見囟門不合,頭顱增大 ,頭皮光急,神情呆滯,面色?白,白睛多而目無光采,身體瘦弱,舌淡苔少,脈細弱。治宜補腎益精,方用補腎地黃丸等。
②肝腎陰虛型解顱。證見前囟寬大,顱縫裂解,目珠下垂,手足心熱,煩躁不安,脈細數。治宜平肝益腎,方用知柏地黃丸等。
③脾腎兩虛型解顱。證見顱縫裂開不合,白睛多而目無神采。頭皮光亮,身體羸瘦,納呆便溏,神情呆滯,肢冷尿清長,舌淡苔白,脈沉細。治宜溫補脾腎,方用附子理中湯等。
解顱
病證名。出《諸病源候論.小兒雜病諸侯.解顱侯》。又名囟開不合、囟解。相當於西醫學所指的先天或後天性腦積水。是指小兒到一定年齡,囟門應合而不合,頭縫開解以致囟門較正常爲大,或可見囟門部稍稍隆起。正常小兒的顱骨縫,大都在出生六個月間時,開始骨化,後囟在二至四個月時閉合,前囟在一歲至一歲半時閉合。如延遲不合,多由父母精血不足,以致小兒先天腎氣虛弱,不能充養腦髓而成。其病機有虛有實,病之本在腎,治宜培補氣血,滋腎充髓。用《醫宗金鑒》扶元散內服;或用六味地黃丸久服。外用封囟散,以豬膽汁調勻,攤紗布上貼於囟門。針灸:取腎俞、氣海、大杼、三陰交、複溜、足三裏。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후도(獼猴桃)[본초강목] (0) | 2021.12.28 |
---|---|
유피(楡皮)[본초강목] (0) | 2021.12.28 |
월계(月桂)[본초강목] (0) | 2021.12.08 |
천축계(天竺桂)[본초강목] 계피(桂皮) (0) | 2021.12.08 |
감송향(甘松香)[본초강목] (0) | 2021.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