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17. 18:30ㆍ[신농본초경]/상경(上經)
토사자(菟絲子)[본경/동의보감]
갯실새삼/토사자(菟丝子)
갯실새삼
이명:[갯새삼] [실새삼]
학명:Cuscuta chinensis Lam.
분류군:Convolvulaceae(메꽃과)
일명:ハマネナシカズラ(Hama-nenashi-kazora)
漢名: 血葉藤(피 혈, 잎 엽, 등나무 등)
잎
잎이 없으며 비늘같은 삼각상 난형의 인편이 드문드문 호생한다.
열매
삭과는 편구형이며 지름 2mm로서 꽃받침이 숙존하고 종자가 4개씩 들어 있으며 종자는 지름 1.5mm이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길이 2.5mm로서 짧은 소화경의 꽃이 총상화서에 달리지만 밀접하여 1개의 덩어리 같고 꽃 밑에 작은 포엽이 있다. 포편과 소포편은 비늘잎꼴이고 화경은 1mm정도에 불과하다. 꽃받침은 짧은 종형으로서 5개의 능선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고 길이 1.5mm로서 수평으로 퍼진다. 화관통 안쪽에는 가장자리가 털처럼 갈라진 5개의 인편이 있으며 수술은 5개로서 화관통에 붙어 있고 인편 길이의 1/2정도이다.
줄기
순비기 등에 잘 기생하는 실같은 기생식물이고 털이 없으며 줄기는 지름 1mm이내로 황색이고 왼쪽으로 감아 올라 1m에 이른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등 동북아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바닷가에서 자라며 내륙지방(수원, 경주 및 강계)에서도 발견되었다.
형태
기생성 1년초.
크기
줄기의 길이가 1m에 이른다.
생육 환경
바닷가의 순비기 등에 잘 기생하며 내륙지방에서도 발견되었다.
결실기
10월
이용방안
▶새삼/실새삼/갯실새삼의 全草(전초)는 토사, 종자는 토사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토사
①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갯실새삼의 전초는 amylase, 비타민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利水(이수), 해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便血(변혈), 血崩(혈붕), 淋濁(임탁), 帶下(대하), 이질, 황달, 癰疽(옹저), (정창), 熱毒瘡疹(열독창진)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또는 짓찧어 낸 즙을 바른다.
⑵토사자
①7-9월에 걸쳐 종자가 성숙했을 때 寄主(기주)와 함께 잘라서 햇볕에 말려 종자를 채취한다.
②성분 : 갯실새삼은 樹脂配糖體(수지배당체), 糖類(당류)를 함유한다. 실새삼은 배당체, 비타민A類(류)를 함유하며, 함유율은 비타민A로 해서 계산햐면 0.0378%가 된다.
③약효 : 强精(강정), 强壯藥(강장약)으로서 補肝腎(보간신), 益精髓(익정수), 明目(명목)의 효
능이 있다. 腰膝酸痛(요슬산통), 遺精(유정), 음위, 당뇨, 冷症(냉증), 습관성 유산, 消渴(소
갈), 尿(뇨)에 餘瀝(여력)이 있는 것, 目暗(목암-시력감퇴)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볶아서 粉末(분말)로 만들어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특징
실새삼과 비슷하지만 콩과식물에 기생하지 않고 꽃받침이 열매보다 길며 능선이 있고 화관통 안쪽의 인편이 다르다. 실새삼과 같이 사용되어 왔다.
학명 Cuscuta chinensis Lam.
Encycl. (Lamarck) 2 : 229 (Lamarck, 1786)
1. Cuscuta ciliaris Hohen.
Diagn. 2-3 : 129 (Boiss., 185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Fl. U.S.S.R. - use Fl. URSS (1963-x)
2. Cuscuta fimbriata Bunge ex Engelm.
Trans. Acad. Sci. St. Louis 1 : 480 (186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Cuscuta maritima Makino
J. Jap. Bot. 1-9 : 30 (191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Grammica aphylla Lour.
Fl. Cochinch. 1 : 171 (179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Pentake chinense (Lam.) Raf.
Fl. Tellur. 4 : 90 (183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갯실새삼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1. 갯새삼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실새삼
1) 한조식물명칭사전 (한진건, 장굉문, 왕용, 풍지원, 1982)
영문명 :
일본명 : ハマネナシカズラ
북한명 :
Cuscuta chinensis Lam.
Encycl. (Lamarck) 2(1): 229. 1786 [16 Oct 1786]
2(1): 229 1786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토사자(菟丝子)
Cuscuta chinensis Lam.
이명(异名)
Cuscuta carinata R. Br.
Cuscuta chinensis var. carinata (R. Br.) Engelm.
Cuscuta fimbriata Bunge ex Engelm.
一年生寄生草本。茎细,缠绕,黄色,无叶。花多数,簇生,花梗粗壮;苞片2,有小苞片;花萼杯状,长约2毫米,5裂,裂片卵圆形或矩圆形;花冠白色,壶状或钟状,长为花萼的2倍,顶端5裂,裂片向外反曲;雄蕊5,花丝短,与花冠裂片互生;鳞片5,近矩圆形,边缘流苏状;子房2室,花柱2,直立,柱头头状,宿存。蒴果近球形,稍扁,成熟时被花冠全部包住,长约3毫米,盖裂;种子2-4个,淡褐色,表面粗糙,长约1毫米。
分布于吉林、辽宁、山西、河北、河南、山东、四川、贵州、广东;朝鲜,日本也有。寄生于草本植物上。种子入药,有补肝肾、养血、润燥之效。
&&&&&&&&&&&&&&&&&&&&&&&&&&&&&&&&&&&&&&&&&&&&&&&
새삼/토사자(菟丝子)
새삼
학명:Cuscuta japonica Choisy
분류군:Convolvulaceae(메꽃과)
일명:ネナシカズラ(Nenashi-kazura)
漢名:毛芽藤(털 모, 싹 아, 등나무 등)
잎
잎은 비늘같으며 길이 2mm정도로서 삼각형이다.
열매
삭과는 난형이며 9~10월에 성숙하고 익으면 벌어지면서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지름 2.5-3mm이다. 종자를 토사자라 한다.
꽃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소화경이 짧거나 없고 수상화서에 모여 달린 꽃이 다시 모여서 덩어리처럼 된다. 포는 비늘모양이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원두이며 길이 1mm 정도로서 곧추서고 화관은 총형이며 길이 3.5-4mm로서 위에서부터 1/3정도까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타원형이다. 5개의 수술이 있고 암술대는 길이 1.5mm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화사는 없으며 화통에 착생해 있다.
줄기
원줄기는 철사같고 황적색이 돌며 털이 없고 비후하다. 철사형의 덩굴이 처음에는 지상에 나고 곧 기주식물, 주로 목본에 흡판으로 붙는다.
뿌리
종자가 발아하여 다른 나무에 올라 붙게 되면 뿌리가 없어지고 기생식물의 양분을 흡수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진도, 전남(지리산), 전북,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강원(금강산), 경기(광릉, 천마산), 황해, 평북, 함북에 야생한다. 일본 오키나와, 중국, 만주, 아무르에 분포한다.
형태
기생 덩굴성 1년초.
생육 환경
칡이나 쑥 등에 기생하여 양분을 섭취한다.
꽃/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결실기
9월, 10월
이용방안
▶새삼/실새삼/갯실새삼의 全草(전초)는 (토사), 종자는 (토사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토사)
①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갯실새삼의 전초는 amylase, 비타민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利水(이수), 해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便血(변혈), 血崩(혈붕), 淋濁(임탁), 帶下(대하), 이질, 황달, 癰疽(옹저), 정창, 熱毒瘡疹(열독창진)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또는 짓찧어 낸 즙을 바른다.
⑵토사자
①7-9월에 걸쳐 종자가 성숙했을 때 寄主(기주)와 함께 잘라서 햇볕에 말려 종자를 채취한다.
②성분 : 갯실새삼은 樹脂配糖體(수지배당체), 糖類(당류)를 함유한다. 실새삼은 배당체, 비타민A類(류)를 함유하며, 함유율은 비타민A로 해서 계산햐면 0.0378%가 된다.
③약효 : 强精(강정), 强壯藥(강장약)으로서 補肝腎(보간신), 益精髓(익정수), 明目(명목)의 효
능이 있다. 腰膝酸痛(요슬산통), 遺精(유정), 음위, 당뇨, 冷症(냉증), 습관성 유산, 消渴(소
갈), 尿(뇨)에 餘瀝(여력)이 있는 것, 目暗(목암-시력감퇴)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
용> 볶아서 粉末(분말)로 만들어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특징
땅 속의 뿌리가 없어지고 전체에 엽록소가 없다.
학명 Cuscuta japonica Choisy
Syst. Verz. Ind. Arch. Jap. Pfl. 2 : 134 (Zoll., 1859)
1. Cuscuta japonica var. thyroidea Engelm.
Trans. Acad. Sci. St. Louis 1 : 517 (186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Fl. U.S.S.R. - use Fl. URSS (1963-x)
2. Cuscuta japonica var. thyroidea Kom.
Trudy Glavn. Bot. Sada 25: 310 (1907)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3. Cuscuta reflexa var. densiflora Benth. ex Engelm.
Trans. Acad. Sci. St. Louis 1 : 480 (186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Cuscuta systyla Maxim.
Prim. fl. amur. 200 (185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Fl. U.S.S.R. - use Fl. URSS (1963-x)
국명 새삼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영문명 :
일본명 : ネナシカズラ
Cuscuta japonica Choisy
Syst. Verz. (Zollinger) 130, 184.
130, 184. 0
Original Data:
Notes: China;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金灯藤(금정등)
Cuscuta japonica Choisy
异名(이명)
Cuscuta reflexa var. densiflora Benth.
Cuscuta colorans Maxim.
Cuscuta japonica var. paniculata Engelm.
Cuscuta japonica var. thyrsoidea Engelm.
Cuscuta systyla Maxim.
Monogynella japonica (Choisy) Hada? & Chrtek
一年生寄生草本。茎较粗壮,黄色,常带紫红色瘤状斑点,多分枝,无叶。花序穗状,基部常多分枝;苞片及小苞片鳞片状,卵圆形,顶端尖;花萼碗状,长约2毫米,5裂,裂片卵圆形,相等或不等,顶端尖,常有紫红色瘤状突起;花冠钟状,绿白色,长3-5毫米,顶端5浅裂,裂片卵状三角形;雄蕊5,花药卵圆形,花丝无或几无;鳞片5,矩圆形,边缘流苏状;子房二室,花柱长,合生为一,柱头2裂。蒴果卵圆形,近基部盖裂,长约5毫米;种子1-2个,光滑,褐色,长约0.3-0.5厘米。
分布于我国南北各省区;越南,朝鲜,日本也有。寄生于草本植物上。种子入药,功效与菟丝子同。
&&&&&&&&&&&&&&&&&&&&&&&&&&&&&&&&&&&&&&&&&&&&&&&
실새삼/토사자(菟丝子)
실새삼
학명:Cuscuta australis R.Br.
분류군:Convolvulaceae(메꽃과)
일명:マメダオシ(Mame-daoshi)
漢名: 兎絲子(토끼 토, 실 사, 아들 자)
잎
비늘같은 잎이 드문드문 호생한다.
열매
삭과는 편구형이며 껍질이 얇고 밑부분에 꽃받침이 달려 있으며 지름 4mm정도로서 중앙부가 오그라들어 2개의 방으로 되고 각 실에 종자가 2개씩 들어 있으며 종자는 넓은 난형으로서 겉이 밋밋하고 황백색이다. 종자를 토사자라 한다.
꽃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의 각 부분에 취산화서 또는 총상화서가 덩어리처럼 달리며 화경은 짧고, 소화경이 달린 잔꽃이 밀생한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넓은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약간 육질이며 화관길이의 1/2-2/3이다. 화관은 짧은 종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통부는 열편과 길이가 비슷하고 2개로 갈라진 인편이 있으며 열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다. 수술은 5개로서 화관에 달리며 열편과 호생하고 통부 밖으로 나오며 자방은 편평한 원형이고 4개의 비주가 있으며 암술대는 2개로서 길이 1mm정도이고 암술머리는 점상이다.
줄기
길이가 5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없고 왼쪽으로 감으면서 뻗으며 황색이고 실모양으로서 기주(寄主)에 감아 올라간다.
뿌리
뿌리가 없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남, 경남, 강원, 경기,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기생 덩굴성 1년초.
크기
길이 50cm 내외이다.
생육 환경
각처의 들, 밭둑, 콩밭에 나며 콩(大豆)에 기생한다.
꽃/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이용방안
▶새삼/실새삼/갯실새삼의 全草(전초)는 토사, 종자는 토사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토사
①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갯실새삼의 전초는 amylase, 비타민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利水(이수), 해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
혈), 便血(변혈), 血崩(혈붕), 淋濁(임탁), 帶下(대하), 이질, 황달, 癰疽(옹저), (정창), 熱毒瘡
疹(열독창진)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또는 짓찧어 낸 즙을 바른다.
⑵토사자
①7-9월에 걸쳐 종자가 성숙했을 때 寄主(기주)와 함께 잘라서 햇볕에 말려 종자를 채취한다.
②성분 : 갯실새삼은 樹脂配糖體(수지배당체), 糖類(당류)를 함유한다. 실새삼은 배당체, 비
타민A類(류)를 함유하며, 함유율은 비타민A로 해서 계산햐면 0.0378%가 된다.
③약효 : 强精(강정), 强壯藥(강장약)으로서 補肝腎(보간신), 益精髓(익정수), 明目(명목)의 효
능이 있다. 腰膝酸痛(요슬산통), 遺精(유정), 음위, 당뇨, 冷症(냉증), 습관성 유산, 消渴(소
갈), 尿(뇨)에 餘瀝(여력)이 있는 것, 目暗(목암-시력감퇴)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볶아서 粉末(분말)로 만들어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유사종
▶새삼(C. japonica) : 꼬투리는 타원형이고 완전히 익으면 뚜껑이 열려 속에 든 씨가 나온다.
▶갯실새삼(C. chinensis)
특징
새삼에 비해 아주 가늘고, 콩밭을 전멸시키는 기생 식물이다.
학명 Cuscuta australis R.Br.
Prodr. 491 (R.Br., 1810)
1. Cuscuta australis var. tinei (Insenga) Yunck.
Mem. Torr. Bot. Club, 18, 2 : 126 (1932)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2. Cuscuta breviflora Vis.
Fl. Dalm. 3 : 231 (184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Fl. U.S.S.R. - use Fl. URSS (1963-x)
3. Cuscuta hygrophilae Person
Icon. Pl. 28 (Hook., 190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Cuscuta kawakamii Hayata
Icon. Pl. Formosan. 5 : 125 (191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Cuscuta millettii Hook. & Arn.
Bot. Beechey Voy. 201 (Hook. & Arn., 183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Cuscuta obtusiflora var. australis (R.Br.) Engelm.
Trans. Acad. Sci. St. Louis 1 : 492 (186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Cuscuta obtusiflora var. breviflora Engelm.
Trans. Acad. Sci. St. Louis 1 : 493 (1860)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8. Cuscuta rogowitschiana Trautv.
Mel. Biol. 2 : 285 (185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Fl. U.S.S.R. - use Fl. URSS (1963-x)
9. Cuscuta sojagena Makino
Ill. Fl. Nippon 197 (194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0. Cuscuta somaxacola Makino
Yagai-Shokub. Zufu 2 : 209 (194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실새삼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영문명 :
일본명 : マメダオシ
Cuscuta australis R.Br.
Prodr. Fl. Nov. Holland. 491. 1810 [27 Mar 1810]
491. 1810
Original Data:
Notes: Austral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남방토사자(南方菟丝子)
Cuscuta australis R. Br.
이명(异名)
Cuscuta hygrophilae H. Pearson
Cuscuta obtusiflora var. australis (R. Br.) Engelm.
Cuscuta kawakamii Hayata
Cuscuta cordofana (Engelm.) Yunck.
Cuscuta millettii Hook. & Arn.
Cuscuta obtusiflora var. cordofana Engelm.
本种与菟丝子 C. chinensis Lam. 外形上极相似,主要区别为花冠比蒴果短,果熟时仅包围住蒴果的下半部;雄蕊着生于二个花冠裂片间弯缺处;鳞片小而二裂,边缘流苏状毛较少;蒴果不规则的开裂。
分布于吉林、河北、山东、甘肃、新疆、浙江、江西、湖北、台湾、广东;欧洲,日本也有。种子入药,功效与菟丝子同。
^^^^^^^^^^^^^^^^^^^^^^^^^^^^^^^^^^^^^^^^^^^^^^^^^^^^^^^^^^^^^^^^^^^^^^^^
菟絲子
味辛平。
主續絕傷,補不足,益氣力,肥健,汁,去面皯。久服明目,輕身延年。一名菟蘆,生川澤。
《吳普》曰:菟絲,一名玉女,一名松蘿,一名鳥蘿,一名鴨蘿,一名复實,一名赤網,生山谷(《御覽》)。
《名醫》曰:一名菟縷,一名唐蒙,一名玉女,一名赤網,一名菟累,生朝鮮田野,蔓延草木之上,色黃而細為赤網,色淺而大為菟累,九月,採實暴幹。
案《說文》云:蒙,玉女也;《廣雅》云:菟邱,菟絲也,女蘿,松蘿也;《爾雅》云:唐蒙,女蘿,女蘿,菟絲,又云蒙,玉女;《毛詩》云:愛採唐矣,《傳》云唐蒙,菜名,又蔦與女蘿,《傳》云,女蘿,菟絲松蘿也;陸璣云:今菟絲蔓連草上生,黃赤如金,今合藥,菟絲子是也,非松蘿,松蘿自蔓鬆上,枝正青,與菟絲異;《楚詞》云:被薛荔兮帶女蘿;王逸云:女蘿,菟絲也;《淮南子》云:千秋之松,下有茯苓,上有菟絲,高誘注云,茯苓,千歲松脂也,菟絲生其上,而無根,舊作菟,非。
[本經/上經]
^^^^^^^^^^^^^^^^^^^^^^^^^^^^^^^^^^^^^^^^^^^^^^^^^^^^^^^^^^^^^^^^^^^^^^^^
兎絲子
토사자(兎絲子)
새삼性平味辛甘無毒
성(性)은 평(平)하고 미(味)는 신(辛), 감(甘)하며 무독(無毒)하다.
主莖中寒精自出尿有餘瀝口苦燥渴添精益髓去腰痛膝冷
경중(莖中)의 한(寒)하여 정(精)이 자출(自出)하는 것, 배뇨(排尿)후에 여력(餘瀝)이 있는 것, 구고조갈(口苦燥渴)에 주효(主效)하다. 첨정익수(添精益髓)하며, 요통(腰痛), 슬랭(膝冷)을 거(去)한다.
處處有之多生豆田中無根假氣而生細蔓黃色六七月結實極細如蠶子九月採實暴乾得酒良仙經俗方拄以爲補藥
어디에나 있는데 흔히 콩밭 가운데서 자란다. 뿌리가 없이 다른 식물에 기생하며 가늘게 뻗어 올라간다. 황색(黃色)이며, 육(六)~칠월(七月)에 결실(結實)하는데 몹시 작아서 잠자(蠶子)와 같다. 구월(九月)에 채실(採實)하여 폭건(曝乾)한다. 술을 득(得)하면 좋다. 선경(仙經)이나 일반의방(一般醫方)에서도 모두 보약(補藥)으로 한다.
稟中和凝正陽氣受結偏補人衛氣助人筋怴《本草》
중화(中和)를 받아 정양(正陽)의 기(氣)를 응집(凝集)하여 결실(結實)하는데, 위기(衛氣)를 보(補)하고 인체(人體)의 근맥(筋脈)을 돕는다.[본초].
水淘洗去沙土望乾酒浸春五夏三秋七冬十日取出蒸熟搗爛作片望乾再搗爲末入藥若急用則酒煮爛望乾搗末用亦可《入門》
물로 씻어서 사토(沙土)를 도거(淘去)하고, 망건(望乾)하여 춘계(春季)에는 오일(五日), 하계(夏季)에는 삼일(三日), 추계(秋季)에는 칠일(七日), 동계(冬季)에는 십일(十日)을 주침(酒浸)하고, 꺼내어 증숙(蒸熟)하고, 도란(搗爛)하여 편(片)을 만들어 망건(望乾)한다. 다시 찧어서 가루 내어 입약(入藥)한다. 만약 급용(急用)할 때는 란(爛)하게 주자(酒煮)하여 망건(望乾)하여 도말(搗末)하여 사용(使用)해도 좋다.[입문].
兎絲子
토사자(兎絲子)
久服明目輕身延年酒浸曝乾蒸之如此九次搗爲末每二錢空心溫酒調服一日二次《本草》
구복(久服)하면 명목(明目), 경신연년(輕身延年)한다. 주침(酒浸)하여 구증구폭(九蒸九曝)하여 연말(硏末)하여 일일(一日) 이차(二次) 매(每) 이전(二錢)씩을 온주(溫酒)로 주복(酒服)한다. [본초].
[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상경(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피(楡皮)[본경/동의보감] (0) | 2021.12.28 |
---|---|
선화(旋花)[본경/동의보감] (0) | 2021.12.17 |
육계(肉桂)[본경/동의보감] (0) | 2021.12.08 |
상기생(桑寄生)[본경/동의보감] (0) | 2021.10.12 |
산약(山藥)[본경/동의보감] (0) | 2021.07.23 |